• [기본] 에어컨 계속 켜두는게 맞는거죠?2023.06.25 PM 09:35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예전여름엔 계속 키고 끄고를 반복했거든요...


지금은 처음키면 최저온도 파워냉방 틀었다가...


어느정도 시원해지면...


25도로 맞춰놓고...(파워냉방 오프)


한번도 끄지않고 계속 돌립니다!(온도는 23도나 24도 유지중이네요)


캐리어 벽걸이형이구요...


5등급에..


월간소비전력량이 129키로와트(월3만원) 적혀있네요...


마이피 선배님들도 이렇게 에어컨 조작하시나요?





댓글 : 18 개
저는 켜놓다가
밤에 온도가 25-6도 정도 된다고 하면 에어컨 끕니다
그렇게 하니 괜찮더라구요
인버터면 걍 켜놓는게 좋습니다.
어차피 일정 온도 되면 실외기 안 돌려서 실외기 안돌 때는 전기 많이 안 먹습니다.
주말정도는 걍 어느정도 풀로 틀어놓니다.
5등급이면은 인버터 아닐껀데요? 껐다 켰다 컨트롤 하시는게 좋아요.
시스템 인버터라 온도 설정하고 환기 시에만 꺼요.
등급이 걸리긴 한데 저는 인버터 에어컨으로 교체한 후엔 계속 켜놓습니다 예전 에어컨은 일정온도 되면 끄고 차후에 다시 켜곤 했고요 (교체한 에어컨은 1등급으로 예전에 정부에서 에너지절약 캠페인같은걸로 일부 비용 환급해주었습니다)
에어컨을 켜고 끌 때 가 전력 소비가 제일 크다고 들었네요. 그래서 아예 끌 때 아니면 계속 켜놓습니다.
인버터 모델은 계속 켜놓는게 맞음
에어컨 그게 뭐라고 별것도 아닌걸로 걱정해야 하는 대한민국 ㅈ같음
벽걸이는 계속 켜는거나 껐다 켜는거나 비슷해요

스탠드는 계속 켜고 온도 유지하는게 더 저렴합니다.
인버터형인지, 정속형인지 알아보시고,
정속형이면 켜놓으시면 안되요.
지금 쓰시는 모델에 대해 알아보시는게 더 정확할겁니다.
주로 옛날 모델은 그래도 껐다 켰다하는게 더 낫다고 하더라구요.
정속형인지 인버터형인지 확인하신 후
인버터형인 경우는 계속 켜놓는 편이 더 좋아요
원룸 살면서 처음엔 켰다가 껐다가 하고 살았는데, 나중에 인버터는 켜놓는게 좋다는 거 듣고
그 후론 더운 시즌에 26~27도로 두고 2~3 달 내내 켜고 살았습니다.(하루 이상 집 비울 때 빼고)
그렇게 한 2년간 여름에 안 끄고 살아봤는데 결론은 전기세에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집이 크기랑 내부온도 변화(문이나 커튼 차이로도 실내 온도 변화가 생김) 요소에 따라 다르지만
원룸에 이중창, 외출 시에도 커튼 사용이라면 인버터형은 계속 켜도 2~3천원 더 들어가는 수준인 것 같습니다.
우리 집은 인버터가 아니라 껐다켰다합니다.
  • Neito
  • 2023/06/25 PM 10:37
그런데 잠잘때나 출근할때도 켜놓고 있어야 되나요?
전기 등급 기준이 바뀌어서 현재 인버터 방식이라도 1,2등급은 별로 없는편.... (제가 작년에 설치한 엘지 듀얼인버터 에어컨도 3등급).
하지만. 5등급이면 정속형일 가능성이...
캐리어 5등급이면 정속형입니다.

정속형은 온도값 상관없이 실외기 돌아가는 전력이 똑같습니다.
껏다 켰다하는게 좋습니다.

켤 때 최저온도 강력냉방으로 온도 낮아지고 시원하다 싶으면 끄고, 더우면 키고 반복.


인버터 방식은 일정온도 맞춰서 구동하면 맞춘 온도에 실외기가 멈췄다 켜졌다하는 방식으로 전기를 절약하는 방식이니까 24도 내외로 유지하는게 맞습니다.
걍 24 25 맞추고 계속 ㄱㄱ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