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이커
접속 : 5662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16 명
  • 전체 : 538367 명
  • Mypi Ver. 0.3.1 β
[도와줘 루리인!] 전산회계에서 계정과목에 대해 궁금한게있습니다. (8) 2014/11/06 PM 06:55
전산회계에서 계정과목을 공부중인데요

그곳에서 답이

"자산과 비용계정은 잔액이 항상 차변에 나타나고 부채,자본,수익계정은 잔액이 항상 대변에 나타난다"

이렇게입니다

궁금한건 왜 잔액이 자산 비용은 항상 차변이고 부채 자본 수익은 대변에 나타나는지 설명해주실분 안계신가요?

잔액이 왜 저렇게 가는지 모르겠습니다.

신고

 

데니시    친구신청

그런건 회계학원론을 보셔야할지도..

-_-]/    친구신청

그냥 그렇게 정한 규칙이라고 생각하시는게...
거래의 8요소라는걸 찾아보시면...

ROHENGRIN    친구신청

그거는 그냥 그렇게 정했으니 그렇게 한다고 생각하셔야 되는 부분임
지금 님이 궁금해 하시는 부분은 우리가 왜 '나무'를 나무라고 부르는가?
를 궁금해 하는 거랑 거의 비슷함 그냥 암묵적인 약속이란 거임
물론 죤~나 따지고 들어가면 뭐 답이 안나오지야 않겠지만 알아봐야 회계를 이해하는데에 도움도 안되고 의미도 없음

닌닌~    친구신청

고등학교 전공이 경영정보라 배우긴 했는데 너무 옛날이라 뭐라 말을 못하지만... 그때 기억으로는... 윗분도 말했듯이 그렇게 정했으니까 생각하는게 편한...

자산은 자본+부채고 기본적인거 있었는데 다까먹었네 데헷~

Exclave    친구신청

재무상태표 구조 때문에 그렇습니다. 결국 분개란게 재무상태표를 작성하기 위해 하는 것인데
재무상태표를 보면 자산이 왼쪽에 있고 부채, 자본이 오른쪽에 있거든요.
이익잉여금도 자본의 구성요소이므로 수익은 부채쪽(이익잉여금증가이므로)즉 대변,
비용은 차변쪽에 잡히게 됩니다. 간단하게 보면 이익잉여금이 결국 당기순이익의 누적액이니까요.

또한 대차평균의 원리에 따라 왼쪽이 늘어나면 오른쪽이 항상 같은 금액이 늘어납니다.
그러니 자산이 늘어나면 부채가 늘거나 수익이 발생하거나 자본금(출자의 경우)이 늘어나거나
하는 거겠죠.

궁금한게 이게 아니라 자산이 왜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에 와야 하는거냐면 그냥 처음부터 그랬다고 말할 수 밖에 없네요. ㅋㅋ

꽃간지헤이    친구신청

차변에 자산 증가 , 비용의 발생 대변에 감소, 소멸을 적으니 증감을 하면
자산과 비용 잔액이 차변에 남고
마찬가지로 대변은 비용,자본 증가, 수익의 발생 차변에 감소, 소멸을 적으니
비용 자본 수익의 잔액은 대변에 남는건데...
왜 차변 대변에 적는건지 이해가 안되시는 거라면.. 회계원리 책 보시는걸ㅊㅊ
저도 전산세무 딴지 오래돼서 기억이 가물가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