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인간☆ MYPI

☆잉여인간☆
접속 : 3420   Lv. 39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65 명
  • 전체 : 2412241 명
  • Mypi Ver. 0.3.1 β
[번역] [요청 번역]『일본의 신 해석 사전』#068 (0) 2016/12/29 PM 03:58

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오시쿠마노미코(忍熊王)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제 14대 츄아이 텐노(仲哀天皇)의 둘째 황자(皇子). 모친은 히코히토노오오에(彦人大兄)의 딸인 오오나카츠히메(大中姫)이다.

 츄아이 텐노는 오오나카히메노미코토(大中比売命)와 결혼하여 카고사카노미코(香坂王)와 오시쿠마노미코(忍熊王)를 얻었다고 『古事記(코지키)』에 나와있다. 

 신라(新羅) 정벌 중에 텐노가 죽자, 진구우 황후(神功皇后)가 오우진 텐노(応神天皇)를 회임했음을 알리자, 형인 카고사카노미코와 함께 텐노의 능(陵)을 만들었다고 속여 잠복했다. 하지만, 카고사카노미코가 전사하자 두려움을 느끼고 후퇴, 타케노우치노스쿠네(武内宿禰), 타케후루쿠마(武振熊)와 싸우다 패배해 오사카(逢坂)에서 패주한 뒤에 세타(瀬田)에 뛰어들어 자살했다. 

 

 

 

◎ 오시쿠로노에히코노미코(押黒之兄日子王)/오시쿠로노오토히코노미코(押黒之弟日子王)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오오우스노미코토(大碓命)의 어자(御子).

 『日本書紀(니혼쇼키)』에 따르면, 제 12대 케이코 텐노(景行天皇)는 재위 4년 때, 숙부인 야사카노이리히코노미코(八坂入彦王)의 영지인 미노노쿠니(美濃国)의 쿠쿠리노미야(泳宮)로 행차한 적이 있었다. 어쩌면 이때에 눈여겨봤던 것인지, 미노노쿠니노미얏코(美濃国造)의 선조에 해당하는 카미오오네노미코(神大根子王)의 딸인 에히메(兄比売)와 오토히메(弟比売) 자매를 아내로 맞이할 목적으로 궁중에 초청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한 사자를 황자(皇子)인 오오우스노미코토에게 맡겼다. 

 그런데, 오오우스노미코토는 이 미인자매를 모두 가로채버렸다. 그리고, 오오우스노미코토와 에히메 사이에서 태어난 어자가 오시쿠로노에히코노미코(押黒之日子王)이다. 이 어자는 미노의 우네스와케(宇泥須和気)의 선조가 되었다고 한다. 

 또, 오오우스노미코토와 오토히메 사이에서 태어난 어자가 오시쿠로노오토히코노미코(押黒之弟日子王)이다. 이 어자는, 무게츠노키미(牟宜都君) 등의 선조가 되었다고 한다. 

 

 

 

◎ 오시와케노미코토(押別命)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제 12대 케이코 텐노(景行天皇)의 황자(皇子).

 케이코 텐노는 야사카노이리히코노미코토(八坂之入日子命)의 딸인 야사카노이리히메노미코토(八坂之入日売命)와 결혼하여 와카타라시히코노미코토(若帯日子命)와 이하키노이리히코노미코토(五百木之入日子命), 오시와케노미코토(押別命), 이호키노이리히메노미코토(五百木之入日売命), 네 사람의 황자와 황녀(皇女)를 얻었다. 

 

 

 

◎ 오치와케노미코(落別王)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제 11대 스이닌 텐노(垂仁天皇)의 황자(皇子).

 스이닌 텐노는 야마시로(山代) 오오쿠니노후치(大国之淵)의 딸인 카리바타토베(苅羽田刀弁)와 결혼하였다. 그리고, 두 사람 사이에서는 오치와케노미코(落別王)와 이카타라시히코노미코(五十日帯日子王), 이토시와케노미코(伊登志別王)가 태어났다.

 오치와케노미코는 오즈키노야마노키미(小月之山君), 미카와노코모로노키미(三川之衣君)의 선조가 되었으며, 이카타라시히코노미코는 카스가노야마노키미(春日山君)와 코시노이케노키미(高志池君), 카스가베노키미(春日部君)의 선조가 되었다. 이토시와케노미코는 「대를 이을 자식이 없었던 것으로 인해, 미코시로(子代)로서 이츠베(伊都部)를 정했다」고 나와있다.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