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인간☆ MYPI

☆잉여인간☆
접속 : 3420   Lv. 39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62 명
  • 전체 : 2412238 명
  • Mypi Ver. 0.3.1 β
[번역] [요청 번역]『일본의 신 해석 사전』#074 (0) 2017/01/06 AM 09:06

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카니누이카즈치노미코(迦邇米雷王)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야마시로노오오츠츠키마와카노미코(山代之大筒木真若王)의 어자(御子). 

 히코이마스노미코(日子坐王)와 오케츠히메노미코토(袁祁都比売)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 야마시로노오오츠츠키마와카노미코는, 동생인 이리네노미코(伊理泥王)의 딸인 타니하노아지사하비메(丹波能阿治佐波毘売)와 결혼했다. 즉, 백부와 조카딸 관계인데, 이 두 사람 사이에서 카니누이카즈치노미코(迦邇米雷王)가 태어났다.

 그런 카니누이카즈치노미코는, 타니하노토오츠오미(丹波之遠津臣)의 딸인 타카키히메(高材比売)와 결혼하여 오키나가노스쿠네노미코(息長宿禰王)를 얻었다. 

 여기에 나오는 오키나가(息長)라는 것은, 이 오키나가노스쿠네노미코의 장녀이자, 다른 항목에서 등장할 오키나가타라시히메노미코토(息長帯比売命)... 즉, 진구우 황후(神功皇后)가 태어난다는 것에 대한 복선 같은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라 여겨진다.

 

 

 

◎ 카누치아마츠마라(鍛人天津麻羅)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아마노이와야도(天岩屋戸) 앞으로 모여들었던 신들 중 한 주(柱).

 아마노이와야도로 아마테라스오오미카미(天照大神)가 숨어버리고 온 세상이 암흑이 되었을 때, 야오요로즈(八百万)의 신들이 모여 아마테라스오오미카미가 나오기를 기원하는 회의를 열었다. 

『古事記(코지키)』의 그 구절에는 「아메노야스노카와(天安河) 상류의 아메노카타시와(天堅石)를 가져오고, 아메노카네야마(天金山)의 철을 가져오고, 카누치아마츠마라(鍛人天津麻羅)를 찾아오도록 이시코리도메노미코토(伊斯許理度売命)에게 맡겨서...」라고 나온다.  

 보통, 신의 이름 끝에는 카미(神)라던가 미코토(尊 = 命)처럼 경칭이나 존칭이 더해지기 마련인데, 이 신에게는 그런 게 없이 이름을 부르는 몇 안 되는 신들 중 한 주로서 그저 아마츠마라(天津麻羅)로 기록되곤 한다. 

 앞에서 소개한 『코지키』의 기술에는, 「카누치아마츠마라를 찾아오도록...」이라 나와있는데, 허나 무엇을 만들게 했다고는 쓰여져있지 않다. 

『日本書紀(니혼쇼키)』 혹은 일서(一書)를 모조리 뒤져보면, 이시코리도메노미코토(石凝姥命)를 치공(冶工)으로 삼아 아메노카구야마(天香山)의 금(쇠)을 채취해서 히보코(日矛: 태양 창)를 만들었다고 나온다. 또, 아메노우즈메노미코토(天鈿女命)가 치마키(茅纏)를 감은 창을 손에 들고 아마노이와야도 앞에서 공연을 펼쳤다고 하는 기술도 있다.

 그러한 기록들을 통해 생각해보면, 이때 창을 만든 것은 아마츠마라일 것이라 추측된다. 『코지키』에 누가 만들었는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은, 그저 생략된 것이라 여겨진다.

 鍛人의 카누치(カヌチ)는 카네우치(金打ち)이며, 아마츠(天津)는 쿠니츠(国津)의 반대말이다. 야마토 신화(大和神話)에 등장하는 신들은 아마츠카미(天津神)로 표시되며, 그외의 이즈모 신화(出雲神話) 등에 등장하는 신은 쿠니츠카미(国津神)로 표시하고 있다. 마라(麻羅)는 『旧事紀(큐지키)』 권 3, 천손강림(天孫降臨) 조에 「倭鍛師等祖天津真浦(야마토의 대장장이들의 선조인 아마츠마우라)」라는 인명이 있는데, 그 전후에 「物部造等祖天津麻良・阿刀造等祖天麻良(모노노베노미얏코들의 선조인 아마츠마라, 아토노미얏코들의 선조인 아메노마라)」라는 이름이 나오기 때문에, 마우라(真浦)는 마라의 자손이 아닐까 하고 여겨진다. 

 일설에는, 마라는 특정한 신의 이름이 아니라, 카누치(대장장이)들의 총칭이라는 설이나, 마라(マラ)는 몽골어로 철(鉄)이라는 뜻이라 보는 설 등이 있다. 단치(鍛冶)에 필요한 망치는 남근을 나타내는 것이기에 남근을 마라라 속칭하는데, 그런 표현이 뜻밖에도 맞아떨어질지도 모르겠다. 

 

 

 

◎ 카미이쿠스비노카미(神活須毘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오오토시가미(大年神)의 비(妃)인 이누히메노카미(伊怒比売神)의 부친.

 『古事記(코지키)』에는 카미이쿠스비노카미(神活須毘神)의 딸인 이누히메노카미는 오오토시가미(스사노오노카미와 카미오오이치히메노미코토 사이에서 태어난 신)와 결혼했다고 나와있다.

 카미이쿠스비노카미(神活須毘神)의 活須毘는 무스비(産霊 = 産巣日)와 같은 의미라 카미무스비노카미(神産巣日神)와 같은 신이라고도 여겨진다. 딸의 이름에 있는 이누(伊怒)는, 『出雲国風土記(이즈모노쿠니후도키)』에 이즈모 군(出雲郡) 이누 고(伊怒郷)라는 지역 이름이 나오는데, 이 지명이 아닐까 하고 생각된다.

 스누비노카미(須沼毘神)라고도 한다.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는 『古事記伝(코지키덴)』에서, 스누비(須沼毘)의 沼는 나중에 잘 못 들어간 글자였으리라 추론하고 있다.

 덧붙이자면, 이누히메노카미와 오오토시가미 사이에서 태어난 어자(御子)는 오오쿠니미타마노카미(大国御魂神), 카라노카미(韓神), 소호리노카미(曾富理神), 무카히노카미(向日神), 히지리가미(聖神)이다... 라고 『코지키』에 기재되어 있다.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