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인간☆ MYPI

☆잉여인간☆
접속 : 3419   Lv. 39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26 명
  • 전체 : 2412202 명
  • Mypi Ver. 0.3.1 β
[번역] [요청 번역]『일본의 신 해석 사전』#079 (0) 2017/01/13 PM 02:59

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카리바타토베(苅羽田刀弁)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제 11대 스이닌 텐노(垂仁天皇)의 비(妃).

 스이닌 텐노는 야마시로오오쿠니노후치(山代大国之淵)의 딸인 카리바타토베(苅羽田刀弁)와도 결혼하였다. 그리고 두 사람 사이에서 오치와케노미코(落別王)와 이카타라시히코노미코(五十日帯日子王)와 이토시노와케노미코(伊登志別王)가 태어났다.

 오치와케노미코는 오즈키노야마노키미(小月之山君), 미카와노코로모노키미(三川之衣君)의 선조가 되었고, 이카타라시히코노미코는 카스가노야마노가노키미(春山日山君), 코시노이케노키미(高志池君), 카스가베노키미(春日部君)의 선조가 되었다. 이토시와케노미코는 「자식이 없어 미코시로(子代: 후계자)로서 이츠베(伊都部)를 삼았다」고 나와있다.

 

 

 

◎ 카와카미노타케루(川上梟帥)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日本書紀(니혼쇼키)』에 등장하는 쿠마소(熊襲)의 수장으로, 토로시카야(取石鹿文)라고도 한다. 

 제 12대 케이코 텐노(景行天皇)로부터 쿠마소 토벌을 명령받은 오우스노미코토(小碓尊: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는 카와카미노타케루(川上梟帥)의 친족이 모여 주최한 연회석에 여장을 하고 들어가 술에 취한 카와카미노타케루를 찔러 죽였다. 이때, 카와카미노타케루는 오우스노미코토의 강함을 찬양하며 그 이름을 물었고, 오우스노미코토가 야마토오구나(日本童男)라고 답하자, 이후에는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日本武尊)라는 이름을 사용할 것을 권하며 그 검에 쓰러졌다고 한다. 

 

 

 

◎ 카와마타노이나요리비메(河俣稲依毘売)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오키나가노스쿠네노미코(息長宿禰王)의 비(妃: 두번째 부인).

 진구우 황후(神功皇后)의 부친인 오키나가노스쿠네노미코는, 두번째 아내로 카와마타노이나요리비메(河俣稲依毘売)를 맞이하였고, 두 사람 사이에서는 오오타무사카노미코(大多牟坂王)가 태어났다. 『古事記(코지키)』에 따르면, 이 오오타무사카노미코는 타지마노쿠니노미얏코(多遅摩国造)의 선조가 되었다고 한다.

 

 

 

◎ 카와마타비메(河俣毘売)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제 2대 스이제이 텐노(綏靖天皇)의 황후.

 제 2대 텐노인 스이제이 텐노는, 카츠라기(葛城) 타카오카노미야(高岡宮)에서 정무를 집행했다. 이 텐노는 시키아가타누시(師木県主 = 磯城県主)의 선조에 해당하는 카와마타비메(河俣毘売)와 결혼하여 시키츠히코타마데미노미코토(師木津日玉手見命)를 얻었다. 이 황자(皇子)가 훗날의 3대 안네이 텐노(安寧天皇)로, 카타시오(片塩)의 우키아나노미야(浮穴宮)에서 즉위하여 이곳에서 정무를 맡아보았다. 

 『日本書紀(니혼쇼키)』에는 카와마타비메를 텐노의 이모인 이스즈요리히메(五十鈴依媛)라 하며, 또 일서(一書)에는 시키아가타누시의 딸인 카와마타히메(川派媛)라고 하고, 또 다른 일서에는 카스가노아가타누시오오히모로(春日県主太日諸)의 딸인 이토오리히메(糸織媛)라고도 나와있다. 안네이 텐노는 시키츠히코타마데미노스메라미코토(磯城津彦玉手看天皇)라 나와있다.

 

 

 

◎ 칸나츠소히메(神夏磯媛)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日本書紀(니혼쇼키)』에서 보이는 북부 큐슈(九州)의 여성 추장. 제 12대 케이코 텐노(景行天皇)가 츠쿠시(筑紫)로 행차했을 때,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기척을 느끼고 오오노오미(多臣)의 선조인 타케모로키(武諸木)들을 파견시켰더니, 칸나츠소히메(神夏磯媛)가 사카키(賢木: 비쭈기 나무)에 야츠카노츠루기(八握剣), 야타노카가미(八咫鏡), 야사카노니(八尺瓊)를 걸고 복종의 뜻을 보였고, 또 아직 모반할 뜻을 가진 네 사람의 이름을 가르쳐주었다. 이로 인해 타케모로키들은 이 네 사람을 추토하여 츠쿠시를 평정했다고 한다.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