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인간☆ MYPI

☆잉여인간☆
접속 : 3420   Lv. 39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49 명
  • 전체 : 2412225 명
  • Mypi Ver. 0.3.1 β
[번역] [요청 번역]『일본의 신 해석 사전』#083 (0) 2017/01/17 PM 02:37

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쿠구노치노카미(久久能智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이 신은 나무의 신으로서, 이자나기(伊邪那岐)와 이자나미(伊邪那美) 부부에 의해 태어났다고 『古事記(코지키)』에 기록되어 있다.

 쿠구(久久)는 초목(草木)이 곧게 자라는 상태를 나타내며 줄기를 가르키는 것으로, 치(智)는 남성임을 나타내는 접미어(接尾語)이다. 다음에 태어난 오오야마즈미노카미(大山津見神), 노즈치노카미(野稚神)의 탄생에 대한 복선으로서 등장한 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쿠구노치노카미(久久能智神)를 모시는 진쟈(神社)]

효고 현(兵庫県) 니시미야 시(西宮市) 야마구치 쵸(山口町) 시모야마구치(下山口)에 있는 쿠치 진쟈(公智神社): 켄샤(県社)


[쿠구노치노카미와 카야노히메노카미(鹿屋野比売神)를 모시는 진쟈] 

홋카이도(北海道) 토마코마이 시(苫小牧市) 야시로 쵸(矢代町)에 있는 타루마에잔 진쟈(樽前山神社): 켄샤

 

 

 

◎ 쿠쿠마모리히메(玖玖麻毛理比売)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倭建命 = 日本武尊)의 비(妃).

 『古事記(코지키)』에 따르면,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는 야마시로(山代 = 山城)의 쿠쿠마모리히메(玖玖麻毛理比売)와도 결혼하여, 아시카가미와케노미코(足鏡別王)를 얻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어자(御子)는 카마쿠라노와케(鎌倉之別), 오츠노키미(小津君), 이와시로노와케(石代之別), 후키타노와케(漁田之別)의 선조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日本書紀(니혼쇼키)』에는 이 어자의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 쿠쿠리히메노카미(菊理媛神)/하쿠산히메노카미(白山比咩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이자나기(伊邪那岐)가 이자나미(伊邪那美)를 쫓다가 요미노쿠니(黄泉国)에 이르렀고, 이 나라에서 달아나려 하다 요모츠히라사카(黄泉平坂)에서 다퉜을 때, 그 사이에 서서 두 신의 말을 전하고 두 신의 사이를 중재하여 상호간의 주장을 귀담아 듣고 조언을 해준 신으로, 이 신의 이름도 그러한 고사(故事)에서 생긴 것이라 보는 설도 있다.

 이자나미는, 불의 신인 카구즈치노카미(迦具土神)를 낳다가 세상을 떠나 요미노쿠니(죽음의 나라)로 갔는데(이로 인해 요모츠오오카미라고 불리운다), 쿠쿠리히메노카미(菊理媛神)는 요모츠히라사카에서 달아나려던 이자나기와 그를 쫓는 이자나미가 대화를 나눴을 때, 이 신이 조언을 해주었기 때문에 이자나기가 무사히 죽음의 나라를 탈출할 수 있었다고 『日本書紀(니혼쇼키)』의 일서(一書)에 기록되어 있다. 쿠쿠리(ククリ)라는 것은 키키이루(聞き入る: 귀담아 듣다)라 설파하는 사람도 있다.

 또, 쿠쿠리히메노카미를 하쿠산히메노카미(白山比咩神: 하쿠산히메노미코토)라고도 한다.


[쿠쿠리히메노카미를 모시는 진쟈(神社)]

이시카와 현(石川県) 이시카와 군(石川郡) 츠루기 마치(鶴来町) 산노미야 쵸(三ノ宮町)에 있는 하쿠산히메 진쟈(白山比咩神社): 코쿠츄(国中) 

800px-白山比咩神社_外拝殿.JPG

 

그외에 전국각지에 있는 하쿠산 진쟈(白山神社)

 

 

 

◎ 쿠시아카다마노카미(櫛明玉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나라양도, 국토평정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 중 한 주(柱). 타마츠쿠리베(玉作部)의 선조신이라 여겨진다. 『日本書紀(니혼쇼키)』 일서(一書)에 나오는 나라양도 신화에서, 쿠시아카다마노카미(櫛明玉神)는 타마스리(作玉者)라 했다고 나오니, 타마츠쿠리베의 선조신이었을 것이다.

 『古語拾遺(코고슈이)』 진무 텐노(神武天皇) 조(条)에, 쿠시아카다마노미코토(櫛明玉命)의 손자에게 미호기타마(御祈玉)를 만들게 했다는 기록이 발견되며, 또, 『古事記(코지키)』에는 아마노이와야도(天石屋戸) 관련 조에 타마노오야노미코토(玉祖命)에게 야사카노마가타마노이오츠노미스마루노타마(八尺勾魂之五百津之御須麻流之玉)를 만들게 했다고 나와있으며, 『니혼쇼키』에는 타마야노미코토(玉屋命)라 기록하고 있다.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는, 『니혼쇼키』 일서에 나오는 타마츠쿠리베의 먼 선조인 이자나기노미코토(伊弉諾尊)의 어자(御子)인 아메노아카루타마(天明玉)라 나와있는 것도, 『姓氏録(쇼지로쿠)』의 아메노아카루타마노미코토(天明玉命)라는 것도 모두 같은 신으로, 모두 쿠시아카다마노카미를 가르키는 것이리라 주장하고 있다. 쿠시(クシ)는 奇霊(쿠시미타마)라는 뜻이고, 아카루(アカル)는 칭호, 타마(タマ)는 타마츠쿠리베의 선조라는 의의(意義)를 나타낸 이름일 것이다.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