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수
접속 : 5626   Lv. 66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67 명
  • 전체 : 1102413 명
  • Mypi Ver. 0.3.1 β
[저탄고지/키토제닉/인슐린] (스크랩) 스티븐 피니 박사가 말하는 저탄고지 식생활 (7) 2018/05/08 AM 04:33

 

 

 

일단은 스크랩 목적으로..

한국어로 번역된 책은 없지만, (지미 무어가 쓴 <지방을 태우는 몸>에 언급되는 정도?)

의료계와 키토제닉 식생활 커뮤니티에서 세계적으로 알려진 스티븐 피니 박사라고 하네요. (같이 연구하는 파트너로 저번에 올렸던 제프 볼렉 박사가 있습니다)

인슐린과 운동 퍼포먼스와 관련된 저탄수 식단에 대해 40년간 연구하신 분이라고 합니다.

 

잘 지켜지는 키토제닉 식생활이면 대부분의 암, 간질, 발작, 당뇨, 과체중, 비만, 고혈압 등 이들 질병에 대한 예방은 물론이고 치료까지 가능하다고..

(다른 의사들은 우울증, 알츠하이머, dementia, 수면장애 등의 뇌 건강/질병에도 이 저탄고지 키토제닉 식생활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실제 실무자들과 환자들을 돌보면서 영양과 식생활에 대한 교육까지 하는 사람들이니 충분히 믿고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신고

 

파멸한세상    친구신청

저탄고지를 좋아하는 편이지만
다른건 몰라도 치매는... 이건 답 없는 질병인데 식습관으로 먼가 변할리가 없을듯
또 치매 증상중에 하나가 음식에 대한 집착이니.....

최후의수    친구신청

제가 본 의료인들/실무자들은, 치매 환자에게 탄수화물 함유량이 높은 식단을 권장하는 건 마치 알콜 중독자에게 알콜을 더 권장하는 것과 같다면서.. 인과관계를 거꾸로 생각하고 병원에서도 식생활 개선도 같이 권장해야 한다고 하네요
증상을 잠깐 달래기 위해 근본적인 원인해결로부터 더 멀어지는 방법을 택해서는 안된다고..

파멸한세상    친구신청

최후의수님// 궁금한게 있는데
요즘 국비지원을 받는 돌보미 시설 식단을 보면 일반 식단이랑 별 상관 없는데 이쪽은 원래 그런가요?
+@로 치매 약도 증상을 좀 느리게 오게 하는 약이지 다른병처럼 막아버리는 그런게 아니자나요
십수년 고생하고 작년부터 또 시작해서 그런지 궁금하네요

최후의수    친구신청

제가 북미 지역에 살면서 주로 보는 자료들이 북미쪽 자료들이다보니 한국 사정은 잘 모르겠는데..
의료인들도 사실 의과대학에서 식생활과 영양에 대해 교육을 잘 받지 않는다고 하네요
(본 글 영상 파트1에 나오는 스티븐 피니 박사가 본인이 박사과정을 영양 쪽으로 한 이야기를 합니다. 그러면서 본인도 박사과정 때 기존에 알던 영양에 대한 지식이 많이 바뀌었다고..)
그렇다 보니 의료인/실무자들이 식생활과 영양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대중매체에서 건강하다고 하는 식단을 그대로 권장하거나 실제 영양학/과학과는 상관 없는 진단을 내리기도 하고..
현 의료계를 전부 일반화하면서 비판하고 싶지는 않지만, 알려져 있는 지식들 중에서 사실과 맞지 않는 지식들이 있음에도 약으로만 급한 불만 끄는 것이 맞다고 할 수는 없으니까요
물론 증상 완화를 위해 전문가들의 개입으로 약과 수술, 치료 등이 필요합니다만, 식생활 개선 없이 약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의미에서 말씀드리는 겁니다

제 자신이 이쪽 전문가는 아니지만, 적어도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보는 사람으로서.. 전문가들도 새로운 지식을 업데이트하고 계속 배워야 하는데, 식단을 바꾸지 않는다는 건 근본적인 원인과 문제해결에 관심이 없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보네요 (치료와 회복을 위한 이론과 정보가 있고 결과와 사례들이 나오는데도 그러는 거면..)

최후의수    친구신청

파멸한세상님//치매 관련해서 설명하는 유튜브 영상도 있습니다 (식이요법 관련)

https://youtu.be/pTSYg98zqkI

책 <환자혁명>의 저자로 책 자체는 논란성이 좀 있기는 하지만, 유튜브 채널에서 다루는 내용들 자체는 제가 보는 의학/건강 내용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이야기를 합니다

가짜수달    친구신청

당뇨에 대해서는 엄청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죠.
애시당초 인슐린 저항성 높이는 식습관이라...

최후의수    친구신청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769828/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치매가 당뇨 3형이라고까지..
저는 스펙트럼의 관점으로 보고 아직 제가 환자로서 증상을 보이는 정도까지 이르진 않았지만, 예방과 전반적인 건강을 위해서 이 식생활을 하고 있네요
(당뇨뿐만이 아니라 다른 영역에까지 좋다고 하니까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