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수
접속 : 5626   Lv. 66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69 명
  • 전체 : 1102415 명
  • Mypi Ver. 0.3.1 β
[저탄고지/키토제닉/인슐린] [My LCHF Life] 소고기 위주의 식생활 (8) 2018/11/27 AM 08:41


Resized_KakaoTalk_20181019_172747520.jpg

 

 

크기변환_DSC03070.JPG

 

 

크기변환_KakaoTalk_20181126_085850786.jpg

 

 

KakaoTalk_20181023_132207313.jpg

 

 

KakaoTalk_20181021_173213511.jpg

 

 

KakaoTalk_20181024_171844291.jpg

 

 

KakaoTalk_20181112_191137494.jpg

 

 

KakaoTalk_20181114_102534602.jpg

 

 

(사진 추가)

 

마이피에 제 저탄고지 식생활에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몇 분 계셨던 것 같아서 오랜만에 제 식생활 이야기를 업데이트하네요

 


 

 

최근 제 식생활이 너무 단순해져버려서.. 글을 올리기가 좀 뭐했습니다 (이걸 올리면 무슨 재미가 있을까 싶어서 ㅎㅎ) 

 

간단히 말씀드리면, 제가 보는 저탄고지 의학 팟캐스트와 유튜브 채널들의 신흥강자인 육식 다이어트(carnivore diet)를 제 몸 상태에 맞게 조정하는 중이네요

 

이미 저탄고지 키토제닉 식생활로 14kg 감량에 성공 + 잔두통, 신경성 위염 등으로부터 벗어나고 뉴욕에 플루 시즌이 와도 플루샷 없이 멀쩡하게 보내게 되었지만 그래도 더 건강한 식생활은 없을까 해서 조사와 실험을 했네요

 

최근에는 체지방 감량보다 근육량 증가에 더 중점을 두었는데, 식생활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보기 위해 일부러 과격한 운동을 안 했습니다만.. 오히려 뱃살이 더 줄면서 체중이 그대로이거나 때로는 늘기도 하는 걸 봐선 근육량이 늘었다고 봅니다..(물도 잘 안 마셨으니 수분+글리코겐은 아니겠고)


아무튼, 마지막으로 올렸던 글에서 소고기 위주의 식생활로 바꿔보겠다고 올렸는데요, 정말 소고기를 1주일중 4~5일, 매일 1파운드(454g) 이상 먹는 식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고기의 섭취량은 적당히 구경하면서 '이 정도면 한 끼 식사는 되겠다' 판단되면 사는 편입니다 (탄수화물은 애초에 먹지 않고 소고기를 그냥 먹는 플랜이라 탄단지 절대 계산 안 하는 쉽고 간편한 방법이죠 ㅎㅎ)

 

메인

1. 소고기 스테이크: 한 끼 식사에 400~600g (정육점이나 마트에서 사오는 크기에 따라 다른 편)

2. 다짐육(간 쇠고기): 한 끼 식사에 400~600g. 그냥 갈색이 될 때까지 팬에 굽고 나서 양파랑 같이 볶거나 물 부어서 스프 형태로 먹는 편. 식감이 쌀밥 같은데 맛은 고기라서 쌀밥 먹을 필요를 못 느끼네요 ㅎㅎ

3. 소고기 로스트: 한 끼 식사에 500~750g 로스트용 고기는 동네 이탈리안 슈퍼마켓에서 사는데, 보통 3파운드 크기로 진열되어 있어서 반으로 자른 다음에 두 번에 나눠서 전기압력솥으로 쪄먹습니다 (소고기 수육 느낌?)

4. 송아지간: 한 끼 식사에 150~250g? 영양소는 최강인데 맛있게 조리하는 법을 아직 찾는 중. 현재 발견한 베스트 조합은 베이컨+양파+버터+소금+후추

 

반찬

1. 베이컨: 반찬(!)으로 약 100g 정도 먹는 편

2. 계란: 먹는 날에는 하루에 3~4개 버터에 프라이

3. 정어리 / 꽁치 / 고등어 통조림

4. 아보카도: 최근 값이 올라서 못 먹다가 싸게 파는 마트를 찾아서 가끔 먹는 편. 칼륨/마그네슘이 식생활에서 부족한 게 아닌가 싶어서 먹는 편?

 

그 외

1. 독일식 살라미(German salami): 페페로니처럼 짠 소고기 소시지인데, 단골로 다니는 정육점의 수제 소시지.

육포처럼 간식으로 먹는 편인데, 소고기의 기름진 맛 + 소금 간 + 가게 특제 시즈닝의 단순하면서도 본능을 충족하는 고기맛에 만족.

주변 사람들한테 조금씩 나눠줬는데 담번에 1kg씩 주문해달라고 부탁 받았네요 ㅎㅎ 정말 맛있었나 봅니다

2. 각종 치즈: 구다(gouda), 스위스(swiss), 뻬꼬리노 로마노(pecorino romano) 등 요리에 곁들여보면서 이것저것 시도중

 

열량과 음식 맛을 위해 넣는 지방 재료: 목초(grass-fed)버터, 엑스트라 버진 코코넛 오일,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기(ghee) 버터

그 외 향신료: 쿠바식(Cuban) 시즈닝, 이탈리안 시즈닝, 타임 허브, 소금, 후추, 카이옌 페퍼

 

이런 식재료 안에서 로테이션으로 돌려먹습니다. 무엇보다 조리시간+설거지가 40분 이내라서 너무 좋네요.

 

식사패턴은..배고프면 먹고, 배가 고프지 않으면 안 먹는다, 입니다. 몸의 반응에 따라 식사를 하는데, 소화가 어느정도 되고 나서는 몸이 가볍고 덥수룩하지 않아서 활력을 느끼는데, 아는 분한테 얘기했다가 자연인 같다는 소리를 들었네요 ㅋㅋㅋ

 

아무튼 결과적으로 1일 1식이 주로 되는 편인데, 토요일이나 일요일은 24시간 불편함 없이 단식을 하고, 무엇보다 간식의 필요성을 본능적으로 느끼지 않아서 식비+간식비가 엄청 줄었네요 (의외의 부작용? ㅎㅎㅎㅎ)

 

두서 없이 마구 휘갈겨 적었는데요, 병원 다닐 정도는 아니었지만 허약하게 지내오던 제 10대~20대를 30대에 와서 보상 받는 느낌을 받는 요즘이네요

 

슈퍼푸드라던가 그런 건 다 장식이고, 사실 메인으로 꼽을 수 있는 최강의 식사는 소고기가 아니었나 하는 게 제 최근 생각입니다

 

p.s.: 참고로, 저는 이런 인터뷰 영상들을 보면서 식생활을 리서치했습니다.

 

 

 

 

 

 

신고

 

질풍의 데보네아    친구신청

저탄고지 강추합니다. 저도 저탄고지로 현재 20키로 감량 성공했습니다. 일단 살 빠지는 것 하나는 확실한 방법인 듯.

최후의수    친구신청

마이피에서 또 성공하신 분을 뵙는군요 반갑습니다 ㅎㅎ 살 빠지는 건 사실 일종의 부가효과죠~
근본적으로 보면 지방간, 심혈관 질환 / 대사증후군을 치료하는 식생활인데 한국에선 아직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게 아쉬울 뿐이죠 ㅜㅜ

최후의수    친구신청

비용도 그렇고 사실 샐러드 위주의 식생활 할 때 제가 화장실 다니는 게 많이 불편했었어서요..
최근에 몇 번 경조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외식을 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고기 위주의 식생활 하면서 신체의 모든 면에서 좋아지는 걸 느꼈는데, 크게 보고 최선을 다해 일상식을 고기 위주로 하면 그래도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damnedone    친구신청

저탄고지 할때 잘못 계획하면 콜레스테롤 오른다고 하던데 콜레스테롤 수치는 어떠신가요?

최후의수    친구신청

최근 의학계를 뒤집고 있는 내용인데, 그게 LDL 콜레스테롤 수치'만' 오르는 거라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심혈관 질환과 관련성이 1도 없다는 게 최근 Dave Feldman이라는 엔지니어와 영미권 저탄고지 의료계 전문가/실무인들의 연구내용이거든요
비만, 심혈관 질환, 대사증후군, 제 2형 당뇨 관련으로 봐야하는 수치는 HDL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지방, 헤모글로빈 a1c, CAC(관상동맥경화수치), HRV 등이 더 확실합니다
작년 11월 검진 때는 전부 다 정상범위라서 의사 선생님도 그냥 계속 건강하게 잘 다니라고만 들었는데, 이번 목요일에 검사 받을 예정이네요

최후의수    친구신청

http://mypi.ruliweb.com/mypi.htm?nid=633555&num=14298

예전 제 마이피글에 콜레스테롤 관련으로 대댓글을 달았는데, 링크에서 제 대댓글 보시면 되겠습니다
일단 결론부터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LDL 콜레스테롤 단일수치만으로는 사람의 건강을 알 수가 없습니다
(24시간 넘는 단식을 해도 LDL 콜레스테롤이 엄청 올라가거든요)

슈퍼100딸기    친구신청

소고기값 비싼 한국에선 조금 힘든방법이네요...

최후의수    친구신청

목심, 우둔살, 다짐육(간 쇠고기)도 많이 비싼가요?
뉴욕에서 고퀄 등심은 500g에 2만원 넘는 편인데, (파운드당 19.99불)
저는 부위 상관 없이 세일 품목을 찾아서 먹다 보니 500g에 4~7천원 꼴로 먹는 편이네요 (파운드당 2.99~5.99불)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