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읽기] 위플래쉬(Whiplash, 2014)2015.04.22 AM 12:55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위플래쉬(Whiplash, 2014)는 원스(Once, 2006)로 대표되는 이완과 위안의 단어로 축약되는 숱한 음악 영화와 각을 세운 이질적인 작품이다. 이 영화는 상영시간 내내 음악이란 밧줄로 관객을 결박하듯 옥죈다. 그 손길은 매우 흉폭하고 매서우며 끊임없이 내달린다. 이유는 간단하면서도 놀랍다. 음악에 대한 전통적 인식, ‘즐거움’이란 감성적 경험아래 숨은 ‘두려움’을 전면으로 내밀기 때문이다.


감독은 자신의 주머니를 주섬 뒤져 ‘두려움’의 감정을 불쑥 꺼낸다. “음악의 즐거움에 대한 영화는 너무나 많다. 위플래시는 두려움에 대한 영화다. 박자를 놓칠 수 있다는 두려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무엇보다 지휘자에 대한 두려움.” 관객은 암전(暗轉)의 도입 장면에서 들려오는, 뚜벅뚜벅 걸어오다 냅다 뛰어드는 드럼 소리로서 두려움의 한복판에 불쑥 놓인다. 신입생 앤드루와 폭군 지휘자인 플래처의 광기의 하모니는 그렇게 시작된다.


이와 같은 광기의 바탕엔 연주자와 지휘자의 (이 관계를 사제라 엮기엔 둘 사이 놓인 증오가 너무 깊다) 음악관이 공통점으로 놓여있다. 이 둘에게 음악은 ‘이데아의 완벽한 구현’이다. 정확한 타이밍에 정확한 박자, 혹은 음. 이 숱한 음악의 요소들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부딪치고 연결되어 악보가 가지는 근원의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표현할 때, 그제야 비로소 이들에게 음악은 가치를 지닌다. 그 외의 모든 것들은 심벌즈를 던져 부셔 버리고 싶은 쓰레기.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물론 차이도 존재한다. 폭군 플래처는 음악의 정확한 구현을 ‘경력의 도구’로 활용하는 노회함을 보였지만, 앳된 앤드루는 ‘음악’을 인정욕구의 해소도구로 사용하기도 버겁다. 사회적으로 잘나가는 사촌들 사이에서 드럼 하나로 존재감을 나타내기는 그리 쉽지 않다. 플래처의 심리적 압박에 못 이겨 그를 고발하고 학교를 그만두는 과정에서 스치는 지나는 장면, 노트북에서 꺼내본 자신이 드럼 스틱을 잡은 동기. ‘아버지 제 기술을 봐요!’란 대사로 점을 찍는 그 한 컷은 결국 소년의 지리한 인정욕구가 얼마나 강렬했는지 관객들로 하여금 엿보게 한다. ‘어른아이’라 불리는 지금, 여기의 다수가 겪는 ‘자평으로 자존할 수 없는 삶’에 대한 공포를 눅진하게 표현했기에 이 작품은 탄탄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닌다.


촬영 기법도 앞서 말한 진득함의 표현에 한 몫 단단히 한다. 사람과 악기에 대한 극단적인 클로즈업 구도는 철판처럼 강고해 보이나 한 겹 유리와 다를 바 없는 주인공의 편집증적인 심리를 가감 없이 드러내고 있다. 영화 내내 ‘사람, 사람, 악기, 악기, 악기, 사람, 사람, 악기, 사람.’의 꽝꽝 때려대는 중앙집중의 초점과 그에 비례하여 자취를 감춘 배경의 삭제는 영화의 다양한 요소를 전부 지우고 오롯이 대사와 음악만 들리고 보이게 한다. 이와 같은 기법은 관객을 안정적 감상의 자리에서 걷어차 현장으로 몰아세워 체험케 하는 감정적 집중을 가능케 한다.


감독의 이 같은 의도는 도입과 결말에서 보이는 수미상관 구조에서도 엿볼 수 있다. 마지막 장면, 마침내 폭군을 압도하는 연주의 끄트머리에서 느닷없이 덮친 엔딩 크레디트의 암막과 쏟아져 나오는 위플래시 곡의 도입부는 도입부의 암전과 동일하게 관객을 내동댕이치는 듯하다. 마치 ‘델마와 루이스’의 엔딩 신. 절벽을 향해 뛰어드는 자동차처럼 말이다. 다만, 이 영화는 절벽의 허공 대신 시속 200km로 달리다 큰 강벽과 정면충돌을 선택한 것처럼 보인다.


영화평론가 이동진은 엔딩의 중의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영화의 종결점에서 앤드루의 클로즈업은 미소가 화면에 담기지만 플레처의 클로즈업은 입이 보이지 않는다. 이런 프레이밍은 결국 플레처의 속마음을 영화가 괄호쳐버림으로써 이 이야기의 결말을 전혀 다른 뉘앙스로도 파악할 수 있게 만든다. 나에겐 눈먼 열정의 독성과 아이러니에 대한 영화로 보인다.’ 인정욕구에 눈길을 맞춘 나는 엔딩의 중의성에 다른 의문이 들었다. ‘성공적 연주 후 두 사람의 심리적 위치는 대등하게 되었을까?' 고개를 저을 수 밖에 없었다. 아마 그렇지 않을 것이다. 연주자는 앞으로도 당분간은 아버지가 포옹으로도 채워주지 못한 '인정'을 바라며 지휘자에게 매달릴 것이다. 비루하게. 그래서 이 영화는 서글프다.


감독인 데미안 샤젤은 참 젊다. 1985년생 우리 나이로 서른 안팎이다. 위플래쉬는 그의 데뷔작이다. 그가 이 영화로 받은 상은 통틀어 140여개이고 그 중에 3개는 아카데미 음악상, 편집상, 남우조연상이다. 삐뚤어진, 광기어린 열정에 대한 무거운 침잠이 미친 영화를 만들어 냈다. “음악영화지만 전쟁영화처럼 만들고 싶었다.”란 감독의 말이 다음 작품에 대한 기대를 절로 북돋는다. 이런 포화라면 다음에도 그 한복판에 서고 싶다. 나에게 심벌즈가 날아와도.



Ps. 간만에 끄적여 봅니다. 끄적이지 않을 수록 한 번 끄적이는 시간은 늘어만 간다는 게 참 아이러니 입니다. 스포일러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인상비평의 탈을 써봤습니다. 흠.. 물론 이 영화는 내용을 안다고 해서 다 보이는 영화는 아니죠. 가서 듣고 부딪쳐야 체험이 되는 영화니까요. ^^;; 다들 좋은 밤 깊은 밤 되세요. _(_.,_)_
댓글 : 7 개
아 이건 영화관에서 보셨어야하는데...
영화관에서 보고 뒤늦게 씁니다. 정말 다행이죠. ^^;;
진짜 다행이시네요.
영화관이 아니라면 감동이 확 줄어들듯
정말 인정사정없이, 끝나는 그 순간까지 미친듯이 몰아치더군요
그동안 봐왔던 음악영화와는 너무도 다른.. 그래서 너무나 인상깊었네요

그런데.. 혹시 전문 리뷰어 아니신가요?
무슨 리뷰가 이렇게 찰지죠?
제목은 위플레쉬인데 카라반만 죽어라 치다 끝남 ㅋㅋㅋ
위플래시로 시작해서 카라반을 죽도록 위플래시 하면서 끝나는거죠.
새벽에 좋은 글 잘봤습니다. 대부분 동의하지만, 본문의 두려움이란 단어보단 전 열정이란 표현이 더 어울릴거같단 생각이 들었네요. 이동진 해설의 인용글과 감독의 코멘트는 저두 몰랐던거라 새로웠습니다..ㅎㅎ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