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모멘텀의 오묘한 세계 - 절대모멘텀 라이브 백테스트2021.06.19 PM 04:37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

 

 

▶ 절대모멘텀 (Momentum) vs 매수 후 보유 전략 (Buy & Hold)

▷ 절대모멘텀 : 현재 지수가 12개월 전 지수보다 올랐으면 매수, 내렸으면 매도 후 중기 미국채 매수

→ 연평균수익률은 비슷 (10.80%, vs 10.41%)

→ 최대 낙폭은 큰 차이 (-22.78%, vs -50.8%)

 

 

▶ 매수 후 보유 전략은 모멘텀 전략에 비해 최대 낙폭(MDD)도 크고 회복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길다

→ 큰 MDD를 겪은 투자자는 본전을 찾은 후 시장을 떠날 가능성이 큼

→ 그 후에 오는 대세 상승장을 놓치게 됨

→ 모멘텀 전략은 하락장에서는 채권투자로 수익을 거둠 

 

 

 

▶ KOSPI에 절대 모멘텀 전략을 적용 (2018년 12월 기준)

→ 연평균수익률은 비슷 (8.94%, vs 4.57%)

→ 최대 낙폭은 큰 차이 (-33.87%, vs -73.06%)

→ IMF 당시 매수 후 보유 전략은 약 - 73% 손실, 모멘텀 전략은 약 -20% 손실 후 주식 시장에서 Exit

 

▶ 절대 모멘텀의 기준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 과최적화 문제

→ 백테스트 결과 6개월이 가장 좋았지만 과거에 좋았던 수치가 미래에도 반드시 좋을 이유는 없음

 

기준점을 여러 개 두고 투자 비중을 조절

ex) 현재 지수가 과거 1, 3, 6개월 전 보다 높고 9, 12개월 전보다 낮으면 투자 비중을 60%로 조절

▷ 미국주식 백테스트 결과

→ 12개월 단일 기준 전략보다 연평균수익률, 최대 낙폭 개선

→ 연평균수익률 (12.29%, vs 10.80%)

→ 최대 낙폭 (-17.57%, vs -22.78%)

→ 최종 잔고 ($240,183 vs $166,285) 

 


▶ 세계 경제 위기 발생 시 한국 주식은 하락하고 안전자산인 달러/미국채는 상승

상승장에서는 한국 주식에 투자, 하락장에서는 미국채에 투자

① 1, 3, 6, 9 ,12개월 기준 + 비중 조절 모멘텀 전략으로 KOSPI에 투자

② 하락장에서는 중기 미국채에 투자

→ 연평균수익률 13.92%

→ 반면 매수 후 보유 전략의 연평균수익률은 5.11%에 불과

 

전 세계의 금융 가격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사이트

https://stooq.com/

→ 코스피도 포함

 

▶ 절대 모멘텀 응용 사례

→ 백테스트 결과 하락장에서 인버스 투자는 큰 효과가 없음

→ 하락장에서는 현금 또는 미국채 보유가 유리

→ 절대 모멘텀 전략을 사용하면 하락장을 피할 수 있어 큰 손실을 피할 수 있음

 

백테스트의 중요성

→ 투자 실력 : 재능 + 지식 + 경험

 

▷ 경험을 쌓는 방법

① 직접 부딪혀가며 배우는 방법 

→ 금전적 손실 + 마음고생

② 책을 통해 저자의 경험을 간접 체험 

→ 저자의 신뢰성 문제

수 많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감을 잡는 것이 최고

→ 최고의 경지 : 백테스트를 돌리기 전에 결과를 예측 가능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