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4월 19일 주식테마 동향2022.04.19 PM 03:39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 강세테마 : 사료, 육계, 조선기자재, 철강 주요종목, 통신, 조선, 해운, 반도체, 니켈 관련주, MLCC, 종합상사,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화학섬유, 미용기기 등...


■ 약세테마 : 자전거, 항공/저가 항공사, 국내 상장 중국기업, 여행, 건설 중소형,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등...



■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상승 및 주가 탄력적 반등 전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강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6.96(+1.88%) 상승한 3,085.19를 기록. 엔비디아(+2.47%), 인텔(+2.12%), 마이크론테크놀로지(+1.45%), AMAT(+1.33%), AMD(+0.89%) 등이 상승.


▷아울러 신한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매크로 이슈로 IT 및 반도체 수요 불확실성이 확대됐으나, 우려가 선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주가는 악재 노출 논리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는 강한 하방 경직성을 가지고 있으며, 매크로 이슈 해소 구간에서 주가가 탄력적으로 반등할 것으로 분석. 또한, Cycle과 무관하게 구조적인 장기 성장세를 시현할 것이라며 한국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들에게도 높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원익IPS, 디엔에프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 비료/농업/사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곡물값 급등 지속 등에 상승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곡물값이 급등세를 지속하고 있음. 현지시간으로 18일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 따르면, 7월 인도분 옥수수 선물은 장중 한 때 전일대비 2.66% 오른 811.25센트로 2012년 9월 이후 처음으로 8달러선을 돌파한 것으로 전해짐. 시카고상품거래소의 밀 선물 가격미국과 캐나다의 추운 봄 날씨 여파로 이날 장중 최고 3.5% 상승하는 등 다른 곡물들의 가격 급등세도 지속되고 있음.


▷아울러, 전 세계 주요 곡창지대의 생산 부진 우려도 부각. 언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흑토’ 지역, 북미의 ‘프레리’, 아르헨티나의 ‘팜파스’ 등 세계 3대 곡창지대를 비롯, 세계 최대 식량 산지인 중국이 모두 극도의 생산 부진에 빠져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심각한 가뭄, 중국의 코로나19 확산 봉쇄에 따른 파종시기를 놓치고 있는 것 등이 이유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한일사료, 애드바이오, 아시아종묘 등 사료/비료/농업 테마가 상승.


1003x-1 (2).png

 

 

■ 2차전지/전기차 


테슬라, 中 상하이 공장 재가동 소식 등에 상승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등에 소폭 하락한 가운데, 대표적 전기차 업체 테슬라(+1.96%) 주가는 中 상하이 공장 재가동 소식에 상승세를 기록.


▷지난 17일 외신에 따르면, 상하이시경제정보위원회는 '상하이시공업기업 조업재개 감염병 방역 가이드 제1버전'을 발표하고 일명 자동차, 반도체, 바이오의약 등 중점 산업 666개 기업의 순차적 조업 재개를 공표했음. 조업 재개가 가능한 회사 명단에는 테슬라, 상하이자동차 등 자동차 주요 기업들이 다수 포함됐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코스모신소재, 엘앤에프, 에코프로비엠, 신흥에스이씨, 동원시스템즈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특히, 엘앤에프는 1분기 호실적 전망, 동원시스템즈는 2차전지용 원통형 배터리 캔 본격 양산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중.



■ 해운 


1분기 이익 개선 전망 등에 상승


▷업계에 따르면, 해운주들의 올해 1분기 이익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분기 HMM의 영억이익이 2조5,892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5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매출 또한 전년동기대비 82% 증가한 4조4,27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아울러 최근 상하이 봉쇄 완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업계 관계자는 "중국 상하이 봉쇄가 풀리면 물량 급증으로 해운 운임이 다시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2분기에도 1분기 못지 않은 좋은 실적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대한해운, HMM, 팬오션 등 해운 테마가 상승.



■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삼성, QD-OLED 패널 개발 돌입 및 투명 롤러블폰 특허 출원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롤러블 퀀텀닷(QD)-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개발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짐. QD-OLED 패널을 더 얇고 유연하게 만들어 기존 OLED 시장을 대체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초 차세대 QD-OLED 패널 개발에 돌입했으며, 현재 생산 중인 QD-OLED는 박막트랜지스터(TFT)용 유리기판과 QD 색변환용 유리기판을 각각 사용하고 있지만, QD 색변환용 유리기판을 없애고 청색 OLED 봉지층 위에 프린팅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아울러 외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최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투명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두 가지 방식의 스마트폰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정보기술(IT) 매체 샘모바일은 "해당 특허를 보면 디스플레이의 투명한 부분을 통해 현실의 공간이 드러난다"며 "이때 디스플레이에서 증강현실(AR) 캐릭터나 다양한 정보 등을 노출해줄 수 있다"고 설명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아이컴포넌트, 이엘피, 원익IPS, HB테크놀러지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가 상승.

 

6a0120a5580826970c026be40e422a200d.jpg

 

 

■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중국 철강 공급과잉 우려 해소 전망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3월 철강 순수출은 306만톤으로 전년동월대비 -50%, 3월 누계로도 전년동월대비 -35% 감소했다고 밝힘. 당초 주식시장에서 북경 동계올림픽 이후 증산을 우려했던 점에 비춰보면 중국의 공급과잉이 해소되고 있음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 중국의 전방산업의 생산활동이 전년동월대비 역성장하면서 부진한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의 철강 생산 역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중국 철강 수요가 감소하면서 공급과잉과 저가 수출이 다시 시작될 가능성은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분석.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으로 올해 글로벌 철강업체들이 큰 폭으로 가격인상을 하고 있는 가운데, 철강가격 인상이 어려웠던 2010년대와 비교해 2020년대에는 중국의 저가 교란 요인이 해소되면서 철강업종의 가격협상력이 회복되고 있는 상황으로 판단. 이어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가 철강업종 주가에 지나치게 반영되고 있다며, 철강업체들의 견조한 분기 실적들이 확인되면서 저평가는 해소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대한제강, 현대제철, 세아제강, 현대비앤지스틸, 화인베스틸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 한편, 현대제철은 언론을 통해 LNG 저장탱크 건설에 필요한 초저온 철근 인장시험 설비를 제작해 도입했다고 밝힘.



■ 은행 


美 국채수익률 상승세 속 美 은행주 강세 등에 상승


▷현지시간 18일 美 국채수익률은 연준의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등에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 시장에서는 연준이 5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르면 5월부터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양적긴축(QT)도 발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에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2.88%선을 상회하며 2018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음.


▷지난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개장 전 1분기 주당순이익이 0.80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시장예상치(0.75달러)를 소폭 상회하는 수치임. 이에 뱅크오브아메리카(+3.41%), 씨티그룹(+2.71%), 골드만 삭스(+2.56%) 등 뉴욕증시 내 은행주들이 상승세를 기록.


▷이와 관련 금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 등 은행 테마가 상승.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비트코인 4만 달러 회복 등에 상승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美 장기금리 급등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등에 최근 4만 달러를 밑돌던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하며 4만 달러를 회복했음.


▷한국시간으로 오전 2시15분경 글로벌코인시황 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4만달러를 회복했으며, 오후 2시경 전일대비 5% 넘게 상승한 40,80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오후 2시경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5,070만원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음.


▷이에 금일 네오위즈홀딩스, 매커스, 비덴트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 백광산업(001340) : 고순도 염화수소 추가 증설 추진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고순도 염화수소(HCl) 1,500톤 추가 증설을 추진 중이며, 최근 아산화질소(N₂O) 2,500톤 증설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짐. 현재 동사는 군산공장에서 고순도 HCl을 연 1,500톤, 음성공장에서 연 2,500톤의 고순도 N₂O를 생산하고 있었는데 2배씩 늘리고 있는 것임.


고순도 HCl은 반도체 공정에서 식각공정 및 웨이퍼 세정 및 에칭 등에 필요한 핵심 소재로 최근 LSI Logic 소자의 사용량과 고성능 소자 수요가 늘어나면서 Epi Process가 증가함에 따라 고순도 HCl의 수요도 날로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동사는 지난해 삼성전자와 함께 고순도 HCI의 국산화에 나선 바 있음.

 




■ 현대코퍼레이션(011760) : 1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1.2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62.8%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철강, 석유화학 등의 부문에서 유의미한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영업이익은 12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84.2% 증가가 예상되며, 영업이익률은 1.1%를 기록하며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철강 부문의 높은 마진이 전사 이익률 개선으로 이어지는 모습이라고 밝힘.


▷또한, 2021년 실적 기저로 매출 증가 속도가 빠른 가운데 특별한 이익률 훼손 요인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올해 실적은 판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흐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제놀루션(225220) : 꿀벌 유전자치료제 허니가드-R액 임상 진행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꿀벌 유전자치료제 허니가드-R액의 임상 시험을 시작했다고 밝힘. 허니가드-R액은 꿀벌 유충에 피해를 주는 낭충봉아부패병(Sacbrood virus, SBV)으로 인한 폐사를 막아주는 유전자치료제로써 지난해 7월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후 월동 이후 봄을 맞아 꿀벌의 활동 주기에 맞춰 올해 4월부터 야외 임상을 시작했으며, 올해 실내 임상 및 봄과 가을 야외 임상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 테스트를 진행 후 모든 임상을 완료한다는 계획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진행중인 임상을 금년내 성공해 품목허가 신청을 통해 세계 최초 꿀벌 동물용의약품 유전자치료제 허니가드-R액의 상용화에 속도를 낼 전망"이라며, "10여종에 이르는 꿀벌관련 병해충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원[유지]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