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강세 토픽] 반도체 - 전공정 소재 테마2022.11.16 PM 01:34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biz.chosun.com/stock/c-biz_bot/2022/11/16/2TXZQGQOKRVOM5BE2BNWKJLB6M/

[반도체 - 전공정 소재]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24% 상승세이다. 영창케미칼(15,050원 ▲ 1,250 9.06%) +9.78%, 하나머티리얼즈(39,300원 ▲ 2,150 5.79%) +6.73%, 티씨케이(114,000원 ▲ 5,000 4.59%) +4.68%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강영현 유진투자증권 이사 인터뷰

(2022. 8. 18.)




✔ 전공정 소재, 노광-증착-식각 공정과 관련된 화학소재

✔ 미세화 공정으로 소재 수요 지속 증가 전망

✔ 日 수출 규제 강화로 국산화 가능한 업체 주목받는 경향



반도체 제조는 크게 전공정후공정으로 나뉘며, 전공정은 노광(Photo) - 증착(Dep-osition) - 식각(Etching)의 과정을 거침. 반도체 전공정은 고도의 화학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높은 기술력이 필요한 고부가가치 산업. 노광공정은 웨이퍼에 감광액을 도포해 노광장비로 빛을 가해 회로 패턴을 새기는 것을 의미(회로)하며, 증착공정은 물리적·화학적 방법을 통해서 웨이퍼에 전기적 특성을 갖는 분자 또는 원자단위의 물질을 입히는 것을 뜻함(박막). 식각공정은 플라즈마 상태에서 특수한 가스를 주입해 불필요한 회로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세정하는 것(세정).


반도체 전공정 소재는 제조 공정(노광 - 증착 - 식각)과 관련된 화학소재를 의미.

노광소재(감광제, 실리콘카바이드 등), 증착소재(전구체, 연마제 등), 식각소재(고순도 특수가스 등)가 있고, 이를 씻어내는 식각액, 세정액으로 분류. 증착공정 소재인 전구체(Precursor)는 금속게이트, 캐피시터, 알루미늄배선, 구리배선, 전극배선 등으로 다양한 화합물이 존재.


반도체 전공정 소재 업체는 반도체 전공정이 멀티패터닝(회로를 새기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으로 노광·증착·식각 횟수가 증가) 기술을 통해 미세화되면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AMAT(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는 향후 패턴 공정에서 EUV(극자외선)가 적용되는 비중은 20% 수준에 불과하며, 나머지 80%는 기존 멀티패터닝 방식을 활용하면서 증착, 식각 공정 수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22년에는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자본적지출(CPAEX)도 증가할 전망. 키움증권에 따르면 2022년 D램의 CPAEX는 전년대비 12% 증가한 260억달러(한화 30조9000억원)로 전망. 이는 과거 3년치 평균인 204억달러(한화 24조2600억원) 대비 27% 증가한 수준. DDR5 양산을 위한 신규 생산용량(Capacity)가 필요하다는 점, 시장 점유율 방어를 위핸 투자 집행 등이 근거(출처: 키움증권).


낸드 CPAEX 역시 전년대비 7% 증가한 294억달러(한화 34조9700억원)로 전망. 특히 상반기에 삼성전자 P3, SK하이닉스 M15, 키옥시아 Y7 신규 공장 내 장비 투자가 집중될 것으로 보임(출처: 키움증권).


한편, 일본 경제산업성이 반도체 공정에서 빛을 인식하는 감광재인 '포토레지스트', 반도체 회로 식각에 사용하는 '불화수소',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OLED 제조에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해 수출 절차 강화(2019.07.04). 이 제품들은 반도체 필수 생산 소재인 동시에 일본 수입 의존도가 높음. 이에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국산화가 가능한 업체들이 주목을 받는 경향.


정부는 수출규제 대응을 위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2.0 전략' 발표. 글로벌 공급망(Global value chain, GVC) 구축과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 2022년까지 차세대 전략 기술 개발에 5조원을 투입, 공급망 관리 품목 대상 100대 품목에서 338개로 3배 이상 확대할 계획(2020.07.08).





반도체 - 전공정 소재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1.52%


 




1개월 등락률 +15.29%

 


 




1주 등락률 +7.54%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