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수익률 곡선 역전과 경기 침체, 그리고 주식 시장2023.01.01 PM 06:12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www.cmgwealth.com/ri/trade-signals-recession-is-near/

현재 수익률 곡선 역전폭은 1970년대 ~ 1980년대 초반 이래 최고 수준이다. 수익률 곡선 역전은 장단기 美 국채 금리의 역전을 의미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단기 금리가 장기 금리보다 낮다. 

 


중요 포인트


● 수익률 곡선 역전은 단기 금리가 장기 금리를 초과할 때 발생한다.


● 장기 부채가 단기 부채보다 위험하기 때문에 수익률 곡선 역전은 이례적인 현상이며, 이는 소비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수익률 곡선 역전은 가장 신뢰할만한 경기침체 선행 지표 가운데 하나이다.


● 결론 : 경기침체가 다가오고 있다.



다음 차트를 보면, 현재 수익률 곡선 역전폭은 폴 볼커가 인플레이션과 싸우던 1980년대 이래 가장 크다는 걸 알 수 있다. 1958년 이래 수익률 곡선 역전은 모든 경기 침체에 선행했고 그 시차는 11개월(중앙값)이었다.  



중요 포인트


● 2022년 6월에 수익률 곡선 역전이 시작된 이래 6개월이 지났다.


●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에 따르면, 1958년 이래 모든 경기 침체에 앞서 수익률 곡선 역전이 일어났고 11개월(중앙값)이후 침체가 발생했다. 


● 1946년 이래, 약세장에서 S&P 500 지수의 평균 하락폭은, 경기침체가 발생했을 때 35.8%, 발생하지 않았을 때 27.9%였다. 


●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유동성 고갈, 파산 등 온갖 나쁜 일이 벌어진다.


● 2000년, 2008년 침체 시기에 주식 시장은 50% 넘게 하락했다.

 

● 경기침체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은 뒤늦게 내려지기 때문에, 이를 높은 확률로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수익률 곡선 역전은 이를 가장 잘 알려주는 지표 가운데 하나이다.  


● 결론 : 경기침체가 다가오고 있다.


 

경기침체 진입 여부에 대한 판단은 뒤늦게 내려지기 때문에, 이를 높은 확률로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수익률 곡선 역전은 이를 가장 잘 알려주는 지표 가운데 하나이다.  

 




중요 포인트


● 경기침체 발생 시 평균 하락폭은 35.8%이며 S&P 500 지수로는 3094이다.


● 따라서 주가 바닥은 3000~3200이라고 추론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나는 이것을 연준 피벗 영역이라고 부른다.


● 다음 차트의 붉은 원은 35.8% 조정을 나타낸다. (2022년 1월 고점 4818에서 3094까지) 


● 연준의 정책 전환은 불확실하다. 따라서 -50%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50% 하락 시 S&P 500은 2400이 된다. 물론 가능한 일이지만, 경기 침체가 오면 이렇게 되기 전에 연준이 통화정책을 전환할 것이라고 믿는다.

 





마지막으로, 단기적으로 시장에 긍정적인 지표가 있다. 2022년 12월 28일에 풋-콜 비율이 지난 20년 이래 최고치로 치솟았다. (2008년 금융위기 보다 더 높다) 심리가 이처럼 극단적으로 쏠리면, 시장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콜 비율은 거래되는 풋옵션 계약수를 콜옵션 계약수로 나눈 값이다. 풋-콜 비율 1은 콜 옵션 매수자와 풋옵션 매수자의 수가 같다는 것을 뜻한다. 풋옵션 매수자는 주식 시장 하락을 헤지하려고 한다. 콜옵션 매수자는 시장이 상승하면 수익을 낸다.


현재 콜옵션 대비 풋옵션 매수는 지난 20년 만에 가장 극단적인 수준이다. 이는 마켓랠리를 의미한다. 만약 랠리가 일어난다면, 이를 주식 시장에 대한 익스포저를 헤지하거나 현금을 확보하는데 이용하라경기침체 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출처 : CMG Capital Management Group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