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담] 인간의 눈은 왜 2개 일까요?2015.04.09 PM 02:04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어째서 인간은 눈이 2개 일까요? 다른 동물들도 눈이 두 개이기도 하고




눈이 많은게 생존경쟁에 유리한것은 당연한 일아닙니까?

당장 사람 뒷통수에 눈알 하나만 더 달렸어도 생존률이 급상승할거 같음.

이해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눈알 2개달린 인간들이 3개이상 달린 인간들을 멸종시키고, 이 지구를 군림하게 되었을까요?




댓글 : 23 개
야생생물은 시야각이 거의 360도에 가까운 동물들도 많죠. 사람은 눈이 앞에 몰린 덕에 앞에만 집중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진지좀 빨자면 진화에서 중요한건 효율 이기 때문이죠..
좀 더 진지를 빨자면 진화의 방향성은 무방향성임. 딱히 효율을 생각해서 변화하진 않음.

인간 눈만봐도 그럼. 자연계에 인간 눈보다 더 효율좋은 눈을 가진 생물이 꽤 있음.
눈깔많다고 지구최강자로 군림할 수는 없는겁니다요
그래서 천진반이 활약을 못했던건가...
그런 깊은 뜻이....
마관광살포!
기공폰데..
  • luck1
  • 2015/04/09 PM 02:11
사람이 단독생활하는 동물도 아니고 단체를 이루고 집단, 체계를 갖추기 때문에 뒤통수에 굳이 눈이
달릴필요가 없지않았을까합니다만...
눈이 옆이나 위에 달린 물고기들도 앞을 보려고하지 뒤를 보려고 하진 않는거 같네요
뒤에달리면 누워서 어떻게 자게요...
전 베게에 얼굴 대고 자는데요
눈은 다른 의미로 약점이 되기도 하는거 아닌가요 많을수록 약점이 많아 질텐데..
  • ALTF4
  • 2015/04/09 PM 02:19
절지류나 곤충정도는 외골격이라 가능할지몰라도 포유류나 파충류같이 두개골이 존재하는한 문제가 많습니다. 밖에만 드러나는 부분이 전부가 아니라 내부구조나 망막까지 전부 구현되려면 공간도 많이 차지하거니와 구조가 상당히 복잡해지고 구현된다고해도 그만큼 두개골 부분이나 뇌 부분이 작아져야하는등 장점보다 단점이 많아서 그렇지않나싶네요.
없던게 떡하니 생기는게 진화가 아니다보니 동물의 공통조상이 눈을 두개만 가져서 그럴지도 몰라요
눈은 뇌의 일부인데 이 뇌라는 녀석이 생각보다 에너지를 굉장히 많이 소모합니다. 그나마 화식을 하면서 영양섭취의 효율이 높아져서 망정이지 안 그러면 뇌의 영양요구량을 감당할 수 없어요.
  • Ezrit
  • 2015/04/09 PM 02:23
이 분 말씀 맞죠.
시각정보를 처리하는데만 뇌의 시피유 점유율 30% 넘게 소모합니다.
모니터 전기세 쩌는거랑 같음
눈이 찔렸을때 다른 한쪽으로 보면서 복수를...
지능을 희생한다면 뭐.. 눈하나쯤 더달려도 될듯
뒷통수에 눈이 달리면 잠입 액션 게임 몰락.
3개면 이상하잖아요
지금 님이 보고 계신건 진화의 중간 결과 이고요.
처음 부터 2개로 정해진게 아니고, 인간의 먼 조상인 원시 생물에서 부터
진화하다가 2개가 다수파가 되었겠죠. 그래도 왜 하필 2개냐고 물으신다면, 그건 지구상의
누구도 딱 부러지는 답을 내놓지 못하는 물음이죠. 다만, 2개의 눈이 적응 했다고 밖에는.
도서관 가셔서 생물학 책 좀 보세요. ㅎㅎ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