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축의금 이야기가 오늘 마이피를 달궈서 저도 한마디 써볼까 합니다.
'결혼식에서 누가 얼마를 냈는가?'
라는 질문은 사실 부모님들이 고민해야할 문제입니다.
저희 세대에서 5만원이네 7만원이네 10만원이네 하는건 노강템가지고 몇천골 더 받네 마네 하는 수준입니다.
물론 어느정도 적정선(요즘 5만원정도 이상)이라는 것은 있지만 그것도 사회생활 하면서 월급 잘 받고 있는 사람들의 적정선이지 그 아래의 수입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부모님들 세대의 축의금 단위가 십~몇십 단위이기 때문에 축의금 낸 돈 수거하는 일은 부모님들의 능력입니다.
두명이 밥먹었네 세명이 밥먹었네 하는건 부모님이 거물 사장들에게서 축의금 봉투 몇개만 더 받으면 게임 셋입니다.
결혼 당사자 입장에서는 와준게 감사한겁니다.
결혼식 다녀보시면 알겠지만 결혼식은 선후배 직장동료 사진 찍을때가 가장 중요합니다.
진짜 왁자지껄 하게 많이 왔는가, 다들 웃고 있는가, 훈남훈녀들로 되어있는가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꽁짜밥 먹고가도 좋으니 와달라'라고 이야기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게 안되니 일당주고 사람 사서 옆에 세워놓게 되는겁니다.
가끔 글들 올라오잖아요. 친하지도 않았던 동창이 어느날 갑자기 결혼하니 와달라고 연락했다고.
저희 어머니가 말씀한 것 중에 '열개 주면 한개 온다'라는 말은 진리인듯 합니다.
10만원 대 1만원이 아니라 열명 대 한명입니다. 물론 꼭 1/10은 아니지만 상황을 말하고자 열이라고 하셨겠죠.
'내가 참석해줬기 때문에 너는 무슨일이 있어도 참석해야 한다'라고 말 할 수도 없습니다.
상대방에게 의무를 지우는 순간부터 거래가 됩니다. 서로의 배려고 선의입니다.
그만큼 서로를 생각할 여유도 참석할 여유도 없는 각박한 세상이지만 시간내서 오는겁니다.
물론 부모님이 결혼식 끝나면 축의금 장부를 줍니다. 누구 얼마 누구 얼마 적어서.
그게 '본인이 낸 돈과 상대방이 낸 돈을 비교해서 갈궈라'가 아니라 '누구에게 선의를 입었으니 너도 선의를 베풀라'라는 의미입니다.
'200명 초대하고 음식 했는데 300명이 와서 퍼먹어서 적자났더라'라고 해도 속상한 것은 부모님이고 딱 그순간 뿐입니다.
분기마다 결혼하는것도 아니고. 그 분위기는 돈으로 살 수 없습니다.
'200명 초대했는데 100명 왔더라'라는 상황이 안되기를 기도하는게 좋을겁니다.
결혼식 가게 되면 꼭 정장으로 깔끔하게 가서 친구,동료 사진찍을때 환하게 웃어주고 박수쳐주고 하십시요.
그게 10만원보다 더 가치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부모님은 자금동원, 당사자는 인력동원!
그럼 내친구고 회사사람이고 하면 관계에따라 쾌히 내겠죠
크게 부담되는 액수도 아니고
반면에 결혼하는 사람보다 후배거나 동생이면 형입장에서 안내도 된다고 합니다.
저 역시 그랬었고 그럴거고
근데 제가 아는형님의 결혼식이면 그 형이랑 안면없는 여친까지 끌고가서 밥먹고 오는건 좀 아닌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