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식 MYPI

김창식
접속 : 4934   Lv. 77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52 명
  • 전체 : 1975962 명
  • Mypi Ver. 0.3.1 β
[잡담] 왠지 무서운 알파고 근황 (12) 2017/08/02 AM 11:49

1501603798.jpg

신고

 

램프의바바    친구신청

ㄷㄷ

내여친ChloeVonEinzbern    친구신청

하지만 스타크에선 한국인에게 개털리고 있다네요

디딸이탈출    친구신청

정말 무섭다.....

첩자28호    친구신청

2040년에는 AI 한개의 컴퓨터가
전 인류의 뇌기능보다 뛰어나진다고

1zeno    친구신청

입신의 경지 입신의 경지 그러는데 그냥 말장난이죠 인간들의 입신의 경지라는 표현은..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은 말그대로 신의 영역이구요.

hapines    친구신청

http://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div_no=12&num=523037
찾아보니 김성룡 님의 글이 여기에서 찍힌거네요.

http://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div_no=A1&num=523085&pageNo=1&cmt_n=0
http://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div_no=A1&num=523098&pageNo=1&cmt_n=0
이것도 읽어볼만.

타나르토스    친구신청

중간에 충격을 줄이기 위해 혹은 수준이 낮아 평범한수만 둬도 이긴다라는건 진짜..
AI를 무슨 공상과학으로 생각하고 있으니..
저 단락때문에 글 자체의 신빙성이 떨어지는듯..

재키.    친구신청

구글에서 난이도를 낮출수는 있죠. 어째든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소프트웨어인거니
100만번 계산하고 최상의 경우의수를 내는 것 하고, 시간관계상, 난이도상 10만번만 계산하고 경우의 수를 내는것은
차이가 있을수 있으니까요

루리웹-208877139    친구신청

이걸 소재로 고스트바둑왕이 다시 나온다면 엄청 재미지겠따

곰돌아굴러    친구신청

그냥 이해도 안가는데 프로가 따라할리는 없을거 같은데....
AI의 경우 철저하게 후에 두어질 수를 다 계산해보고 가장 좋은 수를 두는건데 그걸 이해도 못하면서 정석화 시키면 안되는거 아닌가

너의 꿈    친구신청


1. 알파고 대 알파고의 대국은 2017년 5월27일부터 28일까지 총 50판이 공개되었다.

2. 중국 룰과 함께 덤 7.5으로 진행되었다.

3. 백을 쥔 알파고가 39승11패를 기록했다.

4. 이세돌 버전 알파고도 충격이긴 했지만 (알파고가 소목정석에서 들여다보고 손뺀 것과 과감한 5선 어깨짚기 수법을 제외하곤) 프로들은 깊은 영감을 받는 수를 보지 못했다. 그때는.

5. 알파고 대 알파고 1국(아래)에서 백10,12번째 수를 보는 순간 알파고 바둑에 빠져들었다. 이 바둑을 못 봤다면 우리는 몇십년이 지나도 현재 바둑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6. 어느 정도 이해 가면서 바로 사용해 보고 싶은 수도 있고 한참을 공동 연구해야만 흉내 정도는 낼 수 있을 것 같은 수도 있다.

출처 :
http://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num=523098&div_no=11

요봉이    친구신청

2015년만해도 컴퓨터가 바둑으로 사람 이기려면 100년은 걸릴거다란 생각이 지배적이었는데 불과 2년만에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