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 MYPI

TM™
접속 : 4519   Lv. 70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85 명
  • 전체 : 274421 명
  • Mypi Ver. 0.3.1 β
[짤짤이] 다른 사람의 인생을 평가하는 사람? 덴마크에서는 쓰레기 취급 (1) 2020/10/18 PM 04:31

- 행복전도사 중에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람도 있었다. 행복은 노력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고 봐야 하나?


노력이라는 것도 어떤 방향인지가 중요하다. 행복에 대한 지식을 많이 안다고 해서 절대 행복해지진 않는다. 책을 읽고 방송을 듣는다고 해도 행복해지지 않는다. 이 인터뷰를 보거나, 내 책을 읽는다고 해서 행복해지지 않는다. 지식 습득이 아니라, 행동과 환경을 변화시켜야 행복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 <행복의 기원>에서 '행복하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살기 위해 행복을 느낀다'고 말했다


많은 일반인들에게 ‘행복’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궁극적인 삶의 목표'다. 돈을 많이 벌고, 아이를 좋은 대학에 보내고... 이렇게 해야만 행복이라는 종착역에 닿을 수 있다고 믿는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존재 이유를 행복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런 생각은 우리의 오리지널한 생각이 아니다. 이런 생각의 원조는 아리스토텔레스다. 


심리학이라는 학문 자체에 20여년 전부터 지진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가 생겼다. 우리는 몸과 마음을 분리해서 생각하는 이분법적 사고에 익숙하다. 그러나 생물학적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이건 말이 되지 않는다. 어떤 지구상의 생명체도 정신 상태를 위해 밥을 먹고 잠을 자는 경우는 없다. 인간도 결국 동물이다. 우리도 정신적인 상태를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모든 생명체의 숙제인 '생존과 유전자 재생산'을 위해 사는 것이다. 뇌는 그렇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


감정은 크게 따지고 보면 두 가지밖에 없다. ‘쾌’ 아니면 ‘불쾌’ 다. 쾌와 불쾌는 뇌가 만들어내는 일종의 교통 신호다. ‘쾌’라는 감정은 긍정적이고 ‘불쾌’는 무언가를 기피하게 만드는 부정적인 감정이다. 본능적으로 배가 고파서 밥을 먹어야 살 수 있다. 사자가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본능적으로 불쾌감을 느끼고 도망가야 생존할 수 있다.

 

 

- 불쾌와 쾌가 모두 생존을 위함이라면, 불쾌함을 피하는 것과 쾌를 발생시키는 것은 큰 틀에서 비슷하다고 볼 수 있나?

 

 

이는 행복에 대한 큰 오해 중 하나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불행하지 않은 것과, 행복한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다. ‘큰 걱정이 없는 삶이 행복이다’ 라는 생각은 우리가 가난에 찌들어 살던 시대의 전근대적인 컨셉이다. '무탈하고 안정적인 삶' 이런 생각은 우리가 세끼를 못 먹던 시기에 추구하던 사고다. 지금은 잉여의 시대다. 남아도는 시간을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하다. 패러다임이 완전 바뀌었다. 


우리가 이제 고민해야 할 문제는 결핍을 어떻게 없애는지가 아니라, 잉여자원을 어떻게 쓰느냐다. 불행을 없애는 것에만 집중한다면 반드시 권태가 온다. 행복은 절대 정적으로 살면 오지 않는다. 한국은 극도의 안전 지향적 사회다. 요즘 초등학생들의 꿈이 공무원이라고 하는데 이유가 가관이다. 안정적인 삶을 살고 싶다는 것이다. 비극적인 일이다. 행복은 무언가를 추구하고 목표 지향적으로 도전할 때 생긴다. 불행을 피하는 것만으로는 절대 생기지 않는다. 


- 한국과 일본은 왜 GNP 수준에 비해 불행한가?


경제적인 수준 대비 행복하지 않은 국가들이 있다. 한국, 일본, 싱가폴이 대표적이다. 이유는 위계적이고, 초집단적인 문화다. 행복하기로 유명한 덴마크를 들여다보자. 사람들은 덴마크가 사회복지시설도 잘 돼있고, GNP가 높기 때문에 행복하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덴마크의 학자들은 이러한 의견에 대해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일본은 덴마크와 비슷한 수준의 GNP를 가지고 있지만 행복은 엄청난 차이가 난다. 



덴마크가 행복한 이유는, 개인주의 때문이다. 누구나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이 있다. 그런데 그 하고 싶은 일이 집단의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다. 이럴 때 어느 쪽에 손을 들어주느냐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문화를 결정한다. 우리나라는 개인보다 집단을 중요시 생각한다. 디폴트가 집단이다. 개인주의 문화에서는 항상 집단보다 개인의 결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물론 집단주의의 장점도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에 대처하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의 속도를 따라올 나라가 없다. 그러나 치명적인 단점은, 개인의 자유가 없다. 개인이 뭔가를 하려고 하면 가족이 개입하고, 친구가 개입하고, 회사가 개입하고, 국가가 개입한다. 그러다보니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데 끊임없이 스스로 검열을 한다. 그것도 엄청 엄격하게 한다. 결국 아무것도 못한다. 개인의 심리적 자유도가 없다는 의미다.



몇 년 전에 덴마크 학회에 참여했던 적이 있다. 덴마크 사람들에게 일상에서 가장 혐오하는 인간상이 뭔지 물었다.그들의 대답을 듣고 한국이 왜 경제력에 비해 불행한 사회인지에 대한 모든 궁금증이 풀렸다. 덴마크 사회에서는 ‘다른 사람의 인생을 평가하는 사람’을 쓰레기로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이런 류의 인간을 가장 하등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아예 상종하기 싫어한다고 했다. 한국과 덴마크의 극명한 차이가 아닐까. 

 

====================================================================

 

from. 이시한의 점심약속 - 서은국 연세대 교수

https://blog.naver.com/businessinsight/222117065062

신고

 

라이넥    친구신청

바로 옆나라가 집단주의에 빠졋다가 핵 2방이나 맞은 전력이 있는데 오히려 일본이라면 치를 떠는 구세대들이 정작 일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서 집단주의에 빠져살죠.

그나마 요즘 세대는 미국문화를 받아들여 개인주의가 빠르게 정착중인게 그나마 다행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