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리프트와 스콰트는 근본적으로 거의 동일한 동작으로 실행되는 리프팅입니다.
상체로는 턱을 당기고 등골은 곧게 유지하며, 복부와 허리는 단단히 조여서 고정시킵니다.
하체로는 발바닥 전체로 지면을 지긋이 누르며 대퇴사두근보다 햄스트링과 엉덩이의 힘을 주동근으로 사용합니다.
스콰트와 차이가 있다면 바벨이 상체에 걸쳐져 있는냐 손에 걸려 있느냐의 차이라고 하겠습니다.
손으로 중량의 쥐고서 하는 특성상 보통은 스콰트보다 팔뚝심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리프팅입니다.
물론 스콰트도 자신의 한계치에 가까워지면 상체를 죽이지 않기위한 발악(?)으로 어깨와 팔 전체를 활용하게 됩니다.
스콰트와 비교할때 바벨의 궤적이 짧아서 초심자들도 종종 초반에 배우기도 하며, 상하체의 후면근육을 전체적으로 적극활용한다는 점에서 육체미운동으로도 사랑받습니다.
하지만 쉬워보인다는 이유에서 정확한 기술과 자세를 체득, 훈련치 아니하고서 실행을 하다가 다치는 경우도 많으며 그 부상률은 스콰트보다도 높습니다.
보통 스콰트의 경우는 바벨을 짊어지면서 중량에 대한 압박으로 주눅이 들면 다시 바벨을 내려두는데 반해서, 데드리프트는 바벨이 지면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면 허리가 접히더라도 끝가지 올리려고 하다가 다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자신의 한계점에 가까운 데드리프트의 경우 등골이 완만해지거나 고개를 뒤로 젖히는 경우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에도 등골이 아닌 허리가 굽는걸 넘어서 완전히 접혀버리거나 고관절이 아닌 허리를 움직여서 리프팅을 하는건 자살행위라고 하겠습니다.
물론 루마니안이나 스티프레그 데드리프트를 할 경우라면 이야기기 달아집니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충분한 훈련을 거친뒤에 하는것이 적절합니다.
정말 기록을 갱신할걸 목표로 한다면 몸에 "벨트"등의 기어를 착용하는 것이 복압이 풀리면서 부상입는걸 방지할수 있습니다.
허나 벨트를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몸통과 허리가 완전히 접힐기세라면 중량을 낮추는게 정답입니다.
스티프를 하려다가... 거의 루마니안이 된 데드리프트의 예 (저질몸매 ㅈㅅ)
이때 기력이 거의 바닥인 상태라 코어의 조임이...;;
1RM을 갱신하는 예 (오크면상+저질몸매 ㅈㅅ)
리프팅 동작의 특성상 맨몸운동의 버피를 섞어서 실행할 경우 적절한 컨디셔닝이 됩니다.
다른 응용조합으로 박스점프or스텝업, 턱점프도좋습니다.
데드+버피 (재탕에다가 저질체력이라 중간에 호흡이 끊겨서 ㅈㅅ)
데드+60인치 박스 스텝업 (재탕+저질영어+시각테러 ㅈㅅ)
바쁘신 분은 1분 55초 부터는 개뿔 걍 안보시는게 눈에 이롭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