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신의길
접속 : 7234   Lv. 81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429 명
  • 전체 : 2761074 명
  • Mypi Ver. 0.3.1 β
[칼린풍자쇼] 껍데기를 깨지 못해 슬픈 동물 (2) 2023/07/16 PM 10:26

껍데기를 깨지 못해 슬픈 동물

 

 

 

다들 비 피해 없지? 어후... 전국에 모든 분들이 무사히 지금을 넘기길 바랍니다.

 

최근 유튜브가 묘한 영상을 추천해줬어. 턱수염 도마뱀 허벅지 여드름 짜기!

 

파충류도 여드름이 나나? ...는, 여드름이 아니라 “홀로크린” 분비선이래. 주로 수컷 도마뱀이 갖고 있으며, 영역을 표시할 때나 암컷을 유혹할 때 사용하는 부위라더군. 활동량이 많은 야생 도마뱀의 경우에는 피지가 자연스럽게 깎여나가지만, 애완용은 그렇지 못해서 과다하게 쌓일 수 있다나? 그때는 영상처럼 쭉쭉 짜는 거지.

 

글쎄다. 허벅지드름이 쌓이는 것 자체만으로 도마뱀에게 실례 아니냐?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 했잖아? 암컷과 부비 댈 수 있는 기회를 박탈했잖아? 애완용으로 키울 자격이 없네! (짝!) ...라고, 지나가는 야생의 부름이 외쳤습니다.

 

 

도마뱀 영상을 보니 여지없이 추천 목록이 파충류로 가득해. 이번에는 탈피 껍질 제거하기!

 

분비샘도 그렇고, 피부 조각도 그렇고, 하루 종일 떼어주고 싶어. 마치 비듬을 털어내는 것 마냥 묘한 쾌감에 중독될 것 같아. 하악하악. (짝!) ...이런 거 보면 역시 난 유인원의 후손인가 봐. 아직까지 털 고르기 습성을 간직한 거 보면. 야너두? (...)

 

 

그나저나 도마뱀과 같은 파충류 소속 거북이도 탈피를 할까? ...했어!

 

세상에, 등껍질이 벗겨지는구나. 배도 벗겨지는구나! ...참고로, 거북이는 일광욕을 하는 와중에 낡은 껍질이 자연히 메마르면서 돌돌 벗겨진대. 굳이 사람이 북북 벗겨낼 필요 없대.

 

여기서 잠깐, 거북이가 주기적으로 탈피를 한다면, 굳이 따개비를 제거해 줄 필요가 있을까? (...?) 왜, 한때 유튜브에서 거북이에 붙은 따개비를 긁어내는 영상이 유행했으니, 흐음... 아니나 다를까, 따개비는 죄가 없다는 영상이 있더군!

 

영상을 요약하자면, 거북이가 노쇠하고 병들면 움직임이 둔해지고, 한 자리에서 오래 머물고, 그에 따라 따개비가 과다 번식할 수 있다. 따개비가 먼저 붙어서 거북이가 느려지는 게 아니다. 아하! ...이 말인 즉, 따개비를 제거해 줘봤자 곧 다시 거북이가 따개비로 덮일 예정이란 거잖아? 순간의 개입으로는 거북이 생명을 구할 수 없다는 거잖아? ...인간이 죄송합니다.

 

 

끝으로 탈피하면 이 동물을 빼놓을 수 없지. 바닷가재! 랍스터! 단, 도마뱀과 거북이는 파충류인 반면, 가재는 갑각류야. 둘은 제법 차이 난다고. 갑각류는 척추가 없고, 뼈도 없고, 폐로 호흡하는 것이 아닌 배지느러미로 산소를 충당해.

 

여하튼 바닷가재는 영생을 누리니! 텔로머레이스라는 효소가 “텔로미어” 손상을 막음으로써 노화를 막는대. 그래서 오히려 바닷가재들은 나이를 먹을수록 더 튼실한 육체를 가진다니, 정말 부러운 걸! ...그러나 성장할수록 키틴질 껍데기마저 더욱 두텁고 딱딱해졌으니, 결국 자기를 보호해주었던 껍데기를 뚫지 못 해서 사망하셨습니다.

 

만약 가재들이 서로 탈피를 도왔다면 어땠을까? 천년만년 살지 않을까? ...물론 자연 상태에서도 140년이 넘게 산 가재가 잡히긴 했다만, 대부분은 껍데기에 갇혀서 썩어문드러지거나, 혹 탈피에 성공했더라도 새살이 부드러울 때 잡아먹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래. 그 잡아먹는 주체가 동족인 경우도 있었어...

 

바닷가재는 동일한 영역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고, 한 장소에 개체 수는 넘치고, 그러다 보니 상부상조하며 서로를 살려둘 이유가 없다나... 갑자기 인간을 찬미하고 싶어. 우리 인간이 아무리 잔혹하다 한들, 가재마냥 경쟁 속에 서로를 잡아먹지는 않잖아? ...아닌가, 우크라이나에서는 지금도 서로를 죽이고 있으니, 참...

 

워워, 그렇다면 인간이 개입해서 바닷가재 탈피를 영원토록 돕는다면 어떨까? 탈피 할 때마다 옆에서 슬슬 긁어 주고, 잡아먹히지 않도록 독방에 가두고, 앙? (...) 분명 이 실험을 안 해봤을 리가 없을 텐데, 막상 인터넷을 아무리 뒤져도 해당 기사가 안 나오더라고. 겨우 영국 글래스고 대학 연구팀이 바닷가재의 영생을 증명했다는 정도? ...또, 호주 태즈메이니아 대학 연구진이 바닷가재 양식에 성공했다는 정도? ...엇? 바닷가재가 아직 양식이 안 됐어?

 

아무튼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한 주도 행복하시고, 건강하시고, 부자 되세요!






영생하는 생명체가 있을까? -바닷가재편- - YouTube
[지구촌 Talk] 실험실서 키운 바닷가재, 양식 희망될까 | KBS 뉴스

신고

 

morekool    친구신청

내쇼날 지오그래픽에 버금가는 정보 감사합니다
이 고급 정보를 버튜버인 사사라는 분에게 전달하고 싶은데 괜찮을까요?

풍신의길    친구신청

고맙습니다! 잘못된 정보일 수 있습니다! 저도 유튜브에서 배운 정보라 확실하지 않습니다!
사사님이면 루게이 아니십니까!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