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리웹게임남 MYPI

루리웹게임남
접속 : 7467   Lv. 9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26 명
  • 전체 : 187421 명
  • Mypi Ver. 0.3.1 β
[PS3] 플스3 하드교체과 백업, 복원(펌) (0) 2009/01/01 PM 01:24
※원문 출처: 정보게시판 돌거북이 (dolgubooki)님 글입니다.
=========================================================

겜게에 올렸다가...
나중에 필요한 분들 찾기 편하라고 정게로 옮겼습니다. (더불어 리플도... ^^;)



뒤져봐도 제대로 정리된 내용이 없기에 함 정리해 봅니다.
지난주말에 좀 삽질을 해서... 저같은 삽질하는 분이 없길 바라며... ^^


1. 플스3에 들어가는 하드는??

2.5인치(노트북용) SATA 지원 하드는 다 됩니다.
용량도 상관 없어요
보통은 가격대 성능비 따져서 160기가 정도 쓰시는데, 저는 250으로 올렸습니다.


2. 하드를 바꾸면 계정은??

PSN의 계정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PS3 기기 계정은 다시 생성해 줘야합니다만, 귀찮으면 나중에 설명드릴 복원 명령을 통해서 복원하면 그대로 복원됩니다.


3. 하드를 바꾸면 인스톨데이터 및 다운받은 데이터는??

인스톨은 새로 하면 됩니다.
PSN으로 받은 데이터는 접속해보면 다운받은 표시가 되어 있는데, PS3 기기를 바꾼게 아니기 때문에 그냥 다시 다운받으면 됩니다.
이 과정 또한 귀찮다면 나중에 설명드릴 복원 명령을 통해서 복원하면 그대로 복원됩니다.


4. 세이브데이터는?? 저장해둔 이미지나 음악은??

하드 바꾸기 전, 모두 백업해 두셔야합니다. USB나 외장 하드 등을 이용하면 되고,
하드 바꾼 후 그대로 다시 카피하면 됩니다.
(반드시 FAT32 형식이어야 합니다. NTFS는 제대로 인식 안됨)
단, 주의사항이 있는데 "모두의골프5" 같은 이동이 안되는 세이브 파일 같은 경우 이방법으로 복원이 안됩니다.
반드시 "시스템백업-복원" 기능을 이용해야 합니다.
설명드릴 복원 명령을 통해서 복원하면 그대로 복원됩니다.


5. 시스템 백업-복원이란?

현재 시스템이 있는 모든 내용을 그대로 이미지 형태(파일 모양은 다르지만)로 백업받은뒤, 나중에 들이 부우면 그 상태 그대로 복원되는 시스템입니다.
윈도우의 복원시점생성-복구랑 똑같다고 보심 되고요. 아.. 오히려 고스트로 이미지 뜨는게 더 맞겠군요
준비물은 대용량 USB 외장하드(내용이 별로 없다면 USB 메모리로 해도 되고요) 한개면 끝. 단, FAT32 방식으로 포맷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PS3이 인식합니다.
외장하드중 용량 큰건 PC에서 FAT32 방식으로 포맷이 안되는데, 별도 툴을 쓰거나 파티션 매직 이용하면 됩니다.

현재 PS3의 하드 안에 채워져 있는 용량(인스톨데이터, 데모게임 포함)만큼 백업되기 때문에 그만큼의 용량이 필요합니다.

하는 방법은 외장하드(또는 메모리)를 연결 한 상태로, 시스템 설정-백업유틸리티 쪽에 들어가셔서 백업을 선택하면 외부 미디어를 선택하라고 합니다. 이때 하드나 메모리를 선택해 주시면 백업을 시작하는데요.

위에 말씀드린대로 PS3 하드 안의 모든 내용(계정부터 시작해서 바탕화면, 세이브파일, 인스톨된 데이터, 설치된 데모게임 등등)이 백업됩니다.
그후 복원하고 싶을땐, 백업본이 설치된 외부 미디어를 연결하고, 시스템 설정-백업유틸리티에서 복원을 하면 되고요.
이 데이터는 PC에 저장해두고 보관해 둬도 됩니다.

여기서 요령은, 쓸데없는 데모게임이나, 인스톨 데이터는 미리 삭제하시고 백업을 하면 백업 시간 및 데이터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제가 약 10기가 정도를 백업하고 복원하는데 약 15~20분 정도 걸리더군요.


6. 하드디스크를 바꾸는 순서 및 준비물은?

준비물은
교체할 하드(노트북용 SATA), 데이터를 백업할 미디어(FAT32 형식), 시스템 업데이트 파일이 들어있는 미디어(중요!!!)-이 또한 FAT32 형식이어야함, PS3 하드 랙에 맞는 십자 드라이버, USB 케이블

여기서 시스템 업데이트 파일이 들어있는 미디어가 필요한 이유는 없으면 새 하드를 초기화를 못시킵니다. 이거때매 제가 삽질을 했는데요 =ㅅ=;;;
미리미리 인터넷을 통해 현재 PS3가 업데이트 되어있는 똑같은 버전으로 업데이트 파일을 받아 두시거나, 그 업데이트가 포함된 PS3 게임 미디어를 준비하셔야 합니다.
파일로 받으실 경우는 아무 USB나 외장하드에 넣어두심 되고요.
2.35 버전의 경우 124메가 쯤 하더군요.

여기서 잠깐 상식... 제가 하나포스를 쓰는데 PS3 업데이트 파일 받는데 너무 오래걸리더군요. PS3 첨 산날 인터넷을 통한 업데이트 하는데 2시간 =ㅅ=, 이번에 하드 바꿀때 받는데 4시간...=ㅇ=(결국 다 못받았음)
그래서 초고속 국가망 쓰고 있는 회사에다 연락해서 받는데, 여기도 마찬가지더군요.
근데 파워콤 쓰는 부모님댁에 연락하니 5분만에 받더군요.
아무래도 통신사마다 속도가 너무 틀린 듯 하니, 느린 분은 나중을 대비해서라도 미리미리 파일 받아두심이 좋을 듯 합니다.

이제 하드를 바꾸는 순서는


1) 외장하드 또는 USB에 PS3 업데이트 파일을 받아둔다(아니면 업데이트 내용이 포함된 게임을 준비한다)

2) 외장하드 또는 USB에 백업할 내용을 백업한다(시스템 백업 이용해도 되고, 필요한 파일만 백업해도 되고... 단! 모두의골프5 처럼 이동 불가능한 세이브 파일은 반드시 시스템 백업 이용)

3) PS3의 전원을 완전히 내린 후, 하드디스크를 뺀다.
(PS3 메뉴얼에 자세한 내용있습니다. 참조)
그 후 역으로 새 하드를 설치합니다.
여기서 주의사항은, 하드랙(가이드)에 끼어져 있는 나사가 너무 무릅니다. 즉, 맞지 않는 드라이버로 돌리면 나사 홈이 갈려버립니다 =ㅇ=
꼭! 맞는 드라이버로 돌리세요

4) PS3의 전원을 키면, 최초 PS3 구동할때처럼 USB로 패드 연결하라고 합니다. 그 후 업데이트 파일이 있는 미디어를 연결하라고 하는데, 외장하드나 USB, 또는 업데이트 파일이 있는 게임을 넣고 셀렉트+스타트를 누르면 알아서 업데이트 하고 초기화 합니다.

5) 일단 새로 계정을 생성합니다(그래야 일단 메뉴가 뜨니) 이런저런 설정 한뒤에..
이제 백업한 내용을 복구해야하는데 시스템복원을 해도 되고, 파일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복원해도 됩니다.

6) 만약 인스톨 데이터나, PSN에서 다운받은 데모 데이터 다시 설치하려면 다시 수작업으로 설치하시고요. (백업-복원 했다면 이 작업은 필요 없습니다.)

7) 그럼 끝!


7. 교체하고 남은 하드는??

외장형 하드랙 하나 사셔서(약 5000원~3만원까지 다양) USB 외장 하드로 쓰시던지
기념으로 가방에 달고 다니시던지...
나중에 중고로 PS3 팔아먹을때 대비해서 보관하던지 그건 맘대로... ^^




이렇게 간단하게(?) 정리를 해봤는데요
하드 교체하시는 분들 도움이 되었음 합니다.

여기서 젤 중요한건, 기존 세이브 데이터 중 외장 미디어로 카피 안되는 세이브 데이터가 있다면 반드시 시스템 백업을 통해 백업한 뒤 복원해야 복구가 된다는 거고요.

또 하나는 미리미리 PS3 업데이트 파일을 준비해야 한다는 겁니다. 특히 집의 네트웍이 업데이트 파일 받는데 오래걸린다면 미리미리 받아두시길 바라겠습니다.

문의사항 있으면 쪽지 주시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ps
시스템 백업 부분 도움주셨던, metallizer님께 감사를 ^^




불멸의 바리톤
(sin1041) 좋은 정보네요.^^
2008-05-26

★오리콘혜성★
(aco4) 감사합니다. 메기솔 대비 하드하나 지를 생각하고 있는데...
아주 유익했습니다.
2008-05-26

베드신라빈스
(nike184) 이런글은 정게에 올려도 될듯한데요
2008-05-26

돌다리
(karljihong) 유익한 정보입니다~~ 추천이 없는게 안타깝~





출처 : 직접 경험에서 우러나왔음 =ㅅ=;;;
=========================================================
※원문 출처: 정보게시판 돌거북이 (dolgubooki)님 글입니다.(링크에 있습니다)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