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일본 연기금이 위안화 중국채를 받지 않기로 결정 (Financial Times)
World’s biggest pension fund shuns renminbi-denominated sovereign bonds
https://www.ft.com/content/efddc254-b035-4e48-b2ce-68fb40cc36bf
1) 명분
① 위안화 국채 시장의 유동성 부족
② 중국 국채가 다른 나라 국채들과 결제 시스템을 공유하지 않는 점
③ 해외 투자자들의 중국 국채 선물 시장 진입이 제한된 점
2) 실상
→ 일본의 뒤에 있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전쟁이 원인인 듯
3) 미국이 중국의 부채 문제를 확대시켜 위기를 조장하려 하겠지만 그 시점은 몇 년 후일 것이라고 생각
→ 만약 연준이 다음 FOMC에서도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기고 일본의 이러한 움직임이 가시화된다면미국이 중국의 부채 문제를 위기 상황으로 몰고 가려는 의도가 있다고 볼 수도 있음
→ 그렇다면 현재 주식 시장은 단순한 하락이 아닌 좀 더 급격한 조정을 겪을 수도 있음
→ 물론 아직 이 정도까지 확대 해석할 수는 없지만 앞으로 일본의 움직임을 주목해야 할 필요는 있음
4) 3분기 예상 경제 지표들은 낮아졌으나 내년 예상치는 오히려 상승 (WSJ)
→ 델타 변이는 경제 회복을 지연시켰을 뿐 완전히 사라지게 한 것은 아님
→ 내년에 델타 변이가 진정되면 보복 소비가 살아날 것
→ 연준이 여기에 동의한다면 내년 여름에 테이퍼링을 종료하고 금리 인상을 진행할 듯
→ 그래서 10월 8일에 발표되는 고용지표가 매우 중요함
Ⅱ 리플레이션인가 스태그플레이션인가 (Financial Times)
Reflation or stagflation
https://www.ft.com/content/48c01b4c-54e9-4d70-a31a-34da03ff2876
→ 물가 상승이 경제 성장을 동반하는지가 중요
→ 시장은 올 초 금리 인상을 리플레이션으로 인식했지만 현재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받아들이면서 조정을 겪고 있음
→ 이렇게 금리가 오르면 먼 미래의 현금흐름이 많은 성장주들이 큰 타격을 입음 (테슬라, Ark 펀드 등)
→ 만약 스태그플레이션이라면 연준이 다시 완화적 스탠스로 돌기 전까지는 시장 전반이 타격을 입을 것
→ 만약 성장과 물가 상승이 동반되는 리플레이션이라면 가치주가 성장주를 아웃퍼폼할 것
→ 올 초 금리 상승기에 성장주는 조정, 가치주는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지금은 (비록 며칠이지만) 성장주, 가치주 모두 하락하는 모습을 보임 (스태그플레이션?)
Ⅲ 부의 (역) 효과 (fedguy.com)
Wealth (Side) Effect
https://fedguy.com/wealth-sideeffects/
→ 양적 완화로 자산 시장이 상승했지만 고용 참여율은 저조함
→ 연준은 고용 지표가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기에 저금리를 유지하지만 오히려 이로 인한 유동성 과잉으로 자산 시장이 급등하는 바람에 사람들이 노동시장에 참여할 필요성이 줄어듬
→ 조기 은퇴, 구인난 발생
→ 2019~2021년 상반기 동안 상위 10%의 자산은 약 6억 원, 상위 10~25% 가구의 자산은 약 2억 원 가까이 증가
→ 특히 은퇴 계좌가 크게 증가한 55세 이상 중장년층의 경우 고용참여율이 코로나 이전 수준을 전혀 회복하지 못하고 있음 (조기은퇴)
→ 연령별로 보면 35세 이상의 자산은 크게 증가한 반면 자산이 부족한 35세 이하는 증가폭이 크지 않음
→ 하지만 이건 암호화폐는 포함하지 않은 수치
→ 암호화폐 시장의 규모는 약 2조 달러
→ 현재 가계의 부는 전례없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실업급여가 끊기는 9월에는 고용참여율이 올라갈 것을 기대했지만 실업급여는 폭등하는 주식, 암호화폐에 비하면 보잘것 없음
→ 연준은 실업률은 증가하는데 기업은 고용난을 겪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 혼란을 겪고 있음
→ 연준은 이러한 부의 효과를 간과한 채 완전 고용달성을 목표로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음(경제 과열)
→ 임금이 상당히 올라야 코로나 이전의 고용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