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499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46 명
  • 전체 : 1380258 명
  • Mypi Ver. 0.3.1 β
[퀀트] [미래에셋증권 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 (7월 4주차) (0) 2023/07/22 PM 08:50

★ Summary ★


[글로벌] 미국/유럽 이익모멘텀 둔화


[한국] 2Q23, 2023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0.6%(DM: -0.6% > EM: -0.7%)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일본(+0.6%), 한국(+0.4%)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호주(-2.0%), 대만(-1.8%), 미국(-0.7%), 유럽(-0.6%)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경기소비재(+0.7%)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소재(-3.4%), 에너지(-2.3%), 헬스케어(-1.2%)

 

 

■ 국내 이익동향 및 밸류에이션


* 2Q23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1.3%(1W), -3.0%(1M)


* 2023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4%(1W), -0.6%(1M)


* KOSPI 12M Fwd. PER, 12M Trail. PBR

: 11.6배, 0.96배

 

 

■ 국내 업종별 이익동향(23년 영업이익 1W 변화율)


▶️컨센서스 상향 업종: 조선/기계, 철강, 자동차, 운송, 유통


① 조선/기계(+2.0%)

*HD한국조선해양(+10.9%)은 현대삼호중공업 등 자회사(조선사)들의 실적 개선 기대

*삼성중공업(+4.7%)은해양 부문 수주모멘텀 지속으로 이익전망치↑

*HD현대중공업(+2.3%)은 선박건조 확대, 선가상승 영향으로 실적 개선이 가시화

*LS(+1.3%)는 자회사 실적 호조 반영. 해저케이블/배터리 소재 성장 모멘텀 기대

*현대일렉트릭(+0.4%)은 북미지역 전력기기 수요 증가 지속으로 이익전망치↑


② 철강/비철(+0.9%)

*POSCO홀딩스(+1.7%)는 생산차질 정상화로 2분기 양호한 실적 예상. 이차전지소재 생산능력 가이던스 상향으로 이익전망치↑

*반면, 풍산(-1.9%)은 신동 판매량 부진 및 방산 마진 하락 영향


③ 자동차(+0.9%)

*넥센타이어(+2.7%)는 물량 증가 및 원재료비/물류비 하락세로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 예상

*현대위아(+1.9%)는 모듈 매출 증가 및 부품 판매 호조 실적 회복 전망

*현대차(+1.2%), 기아(+0.8%)의 이익전망치↑


* 운송(+1.0%, 대한항공), 유통(+0.5%, BGF리테일, 호텔신라) 상향 조정


▶️컨센서스 하향 업종: 반도체, 건설, 에너지, 화장품/의류, 화학


① 반도체(적자폭 확대, 23년 영업이익 1W 변화율)

*한미반도체(-18.1%)는 23년 이익전망치↓. 그러나 HBM 수요 강세에 따른 수혜로 24년 영업이익은 상향 조정

*하나머티리얼즈(-3.4%)는 고객사 가동률 하락으로 2분기 실적은 부진할 전망


② 건설(-4.3%)

*GS건설(-13.3%)은 안전사고 관련 비용 반영으로 2분기 영업적자 전망

*아이에스동서(-11.6%)는 건설 부문 실적 둔화 영향

*쌍용C&E(-2.1%)는 원가 부담 및 환경 사업 부진으로 이익전망치↓

*한샘(적자폭 확대)은 하반기 판관비 부담이 높아질 전망


③ 철강/비철(+0.9%)

*정제마진 약세 및 재고관련손실 확대로 SK이노베이션(-5.0%), S-Oil(-3.9%), HD현대(-3.5%)는 2분기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 전망


* 화장품/의류(-2.2%, 효성티앤씨, 영원무역, 화승엔터프라이즈, 신세계인터내셔날), 화학(-2.2%, SKC, 롯데케미칼, 효성첨단소재) 하향 조정

 

 

■ Commentary

 

선진국, 신흥국의 실적 하향 조정이 지속됐습니다(12MF EPS 1개월 변화율 각각 -0.6%, -0.7%). 일본, 한국은 양호했지만 미국과 유럽의 실적 하향 조정 폭이 지난주 대비 확대됐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경기소비재를 제외하고 이익모멘텀이 부진한 모습입니다. 소재, 에너지, 헬스케어의 실적 하향 조정 폭이 컸습니다.


한주간 국내 기업들의 이익모멘텀도 부진했습니다. 2023년, 2Q23 합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주일 간 -0.4%, -1.3% 하향 조정됐습니다.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이익전망치가 상향 조정된 업종보다 하향 조정된 업종들이 많았습니다(상향 조정 5개, 하향 조정 17개).


업종별로 보면, 조선/기계, 운송, 철강, 자동차, 유통 업종의 실적이 상향 조정됐습니다. 조선/기계 업종의 이익전망치 상향 조정 흐름이 지속됐습니다(조선, 전력기기). 대한항공은 장거리 노선 수요 회복으로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가 기대되고 있고, POSCO홀딩스의 이차전지소재 생산능력 가이던스 상향으로 이익전망치가 상향 됐습니다. 넥센타이어, 현대위아의 실적 개선 기대감도 높아졌습니다.


반면, 유틸리티, 반도체, 건설, 에너지, 화장품/의류, 화학, 소프트웨어 업종의 이익전망치는 하향 조정됐습니다. 대부분 부진한 2분기 실적이 예상되지만 향후 실적 가이던스가 상향 등으로 하반기/내년 실적 개선의 방향이 명확하다면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턴어라운드). 턴어라운드 관련해서는 다음주 발간 예정인 퀀트전략 자료로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 1주일 간 2023년/2024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향 조정 폭이 큰 기업(컨센서스 추가/삭제 제외)은 한국카본, 하이비젼시스템,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JYP Ent., 리노공업, 파마리서치, 넥센타이어, HD현대일렉트릭, 이녹스첨단소재, 롯데정밀화학, HD현대중공업, 해성디에스, 제이브이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현대위아, 디오, POSCO홀딩스, 제이시스메디칼, 대한항공 입니다.

 

 

- 미래에셋증권 퀀트 Analyst 유명간 -

 


img/23/07/22/1897d6f3ea02255ed.png


img/23/07/22/1897d6f404d2255ed.png


img/23/07/22/1897d6f424b2255ed.png


img/23/07/22/1897d6f443e2255ed.png


img/23/07/22/1897d6f463c2255ed.png


img/23/07/22/1897d6f48452255ed.png


img/23/07/22/1897d6f4a452255ed.png


img/23/07/22/1897d6f4c2f2255ed.png


img/23/07/22/1897d6f4e1c2255ed.png


img/23/07/22/1897d6f50152255ed.png


img/23/07/22/1897d6f64f22255ed.png


img/23/07/22/1897d6f66dd2255ed.png


img/23/07/22/1897d6f68d32255ed.png


img/23/07/22/1897d6f6ac32255ed.png


img/23/07/22/1897d6f6cbc2255ed.png



#이익동향  #컨센서스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