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495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718 명
  • 전체 : 1377270 명
  • Mypi Ver. 0.3.1 β
[경제] 7월 27일 주식테마 동향 (0) 2023/07/27 PM 03:01

■ 강세 테마 :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LED장비,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mRNA(메신저 리보핵산), AI 챗봇(챗GPT 등), 면역항암제, 마이크로 LED, 카지노,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게임, 유전자 치료제/분석, 의료기 기, 증강현실(AR), 음원/음반, 인터넷 대표주, 엔터테인먼트, 반도체 장비 등...


■ 약세 테마 : 2차전지(생산), 리튬, 정유, 폐배터리, 니켈, 2차전지(소재/부품), 건설기계, 종합상사, 리츠(REITs) 등...



■ 반도체 관련주


하반기 반도체 업황 개선 및 고부가 제품 생산 확대 전망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에 대해 2분기 실적이 당사 추정치 및 컨센서스에 부합했다고 밝힘. 2Q23 DRAM 출하량 +34%, ASP +9%, NAND 출하량 +50%, ASP -10%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SK하이닉스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DDR5, HBM 등 프리미엄 제품의 수요가 크게 확대되며 경쟁사 대비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설명.


▷아울러 3Q23부터 업황 개선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DRAM, NAND 모두 ASP가 상승하며 적자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분석. 이에 3분기 실적은 매출액 7.61조원(+4% q-q), 영업이익 -1.32조원(적자지속 q-q)을 예상하고, 4분기에는 영업이익 0.01조원으로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2024년은 영업이익 20.05조원(흑자전환 y-y)이 예상된다고 밝힘.


▷삼성전자가 금일 2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을 진행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주력 사업인 메모리 시황이 바닥을 지난 것으로 전망하는 모습. 특히, 하반기부터 감산 효과가 본격화하고 메모리 재고가 개선되며 삼성전자의 실적도 반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르면 4분기에 반도체 부문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음.


▷이와 관련, 삼성전자 관계자는 "업계 감산 기조가 증가하는 가운데 고객사의 재고 조정 현황이 마무리되면서 하반기 시황도 안정화에 접어들 것"이라며, "고성능 서버나 모바일 세그먼트 리더십 대응을 위해 D램은 DDR5, LPDDR5X 등 선단 제품의 비중 확대를 추진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SK하이닉스, 피에스케이홀딩스, 예스티, 네오셈, 오킨스전자, ISC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img/23/07/27/1899609ba742255ed.png



■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국산 서빙로봇 시장 점유율 증가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서빙 로봇이 식당, 호텔에 속속 도입되며 올여름 휴가철 전국 각지에서 ‘도우미’로 활약하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이 시장을 장악해 왔지만 층간 이동 등 기능을 갖춘 국산 로봇이 속속 개발되면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LG전자의 서빙·안내 로봇 ‘클로이’의 판매량은 올 상반기(1∼6월)에만 지난해 1년 치의 2배를 기록했으며, 또 다른 국내 제조사인 베어로보틱스는 올해 새로 출시한 ‘서비 플러스’를 앞세워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언론에 따르면, 현대엘리베이터는 KT ·LG전자와 로봇·엘리베이터 연계 사업협력 및 로봇산업 활성화를 위한 3자간 MOU(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으로 전해짐. 3사는 엘리베이터와 로봇 연동 서비스 기획·발굴, 로봇 서비스 경쟁력 확보를 위한 사업 협력, 신규 사업 모색 등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논의를 함께 하기로 협의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티로보틱스, 피제이전자, 휴림로봇, 뉴로메카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가 상승.

 

 

 

■ 의료기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디지털치료·AI 의료기기, 건보 임시 적용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새로운 의료기술인 디지털치료기기, 인공지능(AI) 의료기기에 대해 정식 건강보험 등재 전에 최대 3년간 임시로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중인 것으로 전해짐. 보건복지부는 26일 '2023년 제13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을 열고 디지털치료기기·AI 의료기기 임시등재 방안 등을 논의했으며, 디지털치료기기와 AI 의료기기에 대해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임시로 건강보험 코드를 부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유효성 등 임상 근거 마련을 위해 의료기관에서 우선 활용이 필요한 점을 고려해 최대 3년간 건보에 임시 등재하고, 이후 의료기술평가 등을 거쳐 정식등재 시에 급여 여부나 수가를 최종 결정할 예정임.


▷이 같은 소식에 티로보틱스, 휴마시스, 뷰노, 제이엘케이, 미래컴퍼니 등 의료기기/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호주 장갑차 수출 소식 등에 상승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금일 호주 Land 400 Ph.3 보병전투차량 구매계약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공시. 호주 정부로부터 Land 400 Ph.3 보병전투차량 구매계약에 대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며, 총 규모는 레드백 장갑차 129대라고 밝힘. 언론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호주군이 1960년대 도입한 미국제 M113 장갑차를 교체하기 위한 것으로 최종 계약이 체결되면 호주군은 2027년 하반기부터 레드백 129대를 순차 배치할 예정으로 전해짐. 업계에서는 처음부터 수출을 목표로 상대국이 요구하는 사양을 이른 시일 내에 맞춰 전략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출 시스템을 만든 것으로 이는 국내 첫 사례라고 분석하고 있음.


▷한편, 북한이 이날 '전승절'이라고 부르는 한국전쟁(6·25전쟁) 정전협정 체결일 제70주년을 맞아 대규모 야간 열병식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번 북한의 열병식 역시 김정은의 대내외 메시지와 북한이 공개할 신무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파이버프로, 휴니드, 에스코넥, 제노코, 퍼스텍, 빅텍, 현대로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 폴더블폰/ 스마트폰/ 갤럭시 부품주


올해 삼성전자 폴더블폰 대중화 기대감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는 2023 삼성 갤럭시 언팩에서 스마트폰 및 워치6, 갤럭시 탭S9 등을 선보였으며, 이번 행사의 주요 화두는 플래그쉽 모델인 갤럭시Z플립5, 갤럭시Z폴드5라고 밝힘. 이와 관련, 2023년 폴더블 시장은 스마트폰 시장內 최대 화두로, 글로벌 스마트폰(구글, 원플러스 등) 업체의 참여가 가속화되며 폴더블 트렌드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특히, 2023년 폴더블 추정치는 약 2,300만대(+50% YoY)로 고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는 7월 26일에 갤럭시 언팩 행사를 열고 폴더블폰(Z폴드5, Z플립5)을 공개한 가운데, 금번 시리즈는 폴더블폰의 근본적인 약점으로 지적됐던 디스플레이 주름과 무게가 크게 개선되면서 삼성의 높은 기술력을 뽐냈다고 밝힘. 아울러 2023년 삼성전자 폴더블폰 출하량 전망치(신모델+구모델)는 전년도 1,000만대에서 200만대 증가한 1,200만대를 유지한다고 밝힘. 전작은 큰 하드웨어 개선없이 출시돼 기대에 못 미쳤지만, 올해 신모델은 눈에 띄는 하드웨어 개선으로 인해 다소 높아진 가격에도 흥행에 성공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에스코넥, PI첨단소재, KH바텍, 성우전자, 디스플레이텍, 앤디포스, 드림텍 등 폴더블폰/스마트폰/갤럭시 부품주 테마가 상승.



■ 메타버스(Metaverse)/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광고


메타 2분기 호실적 등에 상승


▷메타는 전일(현지시간) 실적 공시를 통해 올 2분기 320억달러(약 40조7,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전년 동기(288억달러)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시장 예상치(310억600만달러)도 상회. 메타의 분기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효과로 호황을 누린 2021년 4분기(20%) 이후 처음으로 주당순이익 2.98달러 역시 시장 예상치(2.92달러)를 상회했음.


메타의 매출 증가를 이끈 건 핵심 수익원인 디지털광고 매출 증가로 업계에선 맞춤형 광고의 정확도를 끌어올린 인공지능(AI) 기술로 광고 사업이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고 평가하고 있음. 한편, 메타는 실적 자료에서 "AI와 메타버스 등 사업 기회에 대한 투자를 지속함에 따라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비용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메타는 약 7% 가까이 상승세를 보였음.


▷이 같은 소식 속 신도기연, 버넥트, 스코넥, 디모아, 와이즈버즈, 엔비, 모비데이즈 등 메타버스(Metaverse)/증강현실(AR)/가상현실(VR)/광고 테마가 상승.

 

img/23/07/27/18995f5d2012255ed.jpg


■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하반기 강판·후판 가격 인상 기대감 등에 상승


▷올해 2분기 주요 철강사들의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하반기 수익성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건설 시황이 둔화됐음에도 자동차와 조선업계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자동차 강판과 조선용 후판 가격 인상에 나설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한편, POSCO홀딩스는 지난 24일 23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0.1조원(전년동기대비 -12.6%), 영업이익 1.3조원(전년동기대비 -38.1%), 순이익 0.8조원(전년동기대비 -55.6%). 현대제철 은 26일 23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13조원(전년동기대비 -3.28%), 영업이익 4,651.00억원(전년동기대비 -43.42%), 순이익 2,935.00억원(전년동기대비 -48.19%).


▷이 같은 소식에 현대제철, 세아베스틸지주, 동국제강, 현대비앤지스틸, 하이스틸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



■ 코로나19 관련주


코로나19 재확산세 속 자가진단키트 수요 급증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7월 셋째 주(7월 16∼22일) 코로나19 확진자는 25만3,825명으로, 전주대비 35.8% 증가. 주간 일평균 확진자는 3만6,261명으로, 일 확진자는 지난 19일 6개월여 만에 최다 수준인 4만7,029명까지 증가.


이에 자가진단키트 수요도 크게 늘어나는 모습. 편의점 CU에 따르면, 이달 18~24일 기준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매출은 직전 주(11~17일) 대비 34.8%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으며, GS25의 18~24일 마스크 매출액은 전주대비 14.1%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음.


▷이 같은 소식에 씨젠, 에스디바이오센서, 휴마시스, 엑세스바이오 등 코로나19 관련주와 국제약품, 메디앙스, 모나리자, 크린앤사이언스 등 마스크 테마가 상승.

 

img/23/07/27/189960177e92255ed.jpg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