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509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5 명
  • 전체 : 1387980 명
  • Mypi Ver. 0.3.1 β
[퀀트] [미래에셋증권 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 (9월 3주차) (0) 2023/09/17 PM 12:57

★ Summary ★


[글로벌] 신흥국 실적 하향조정 폭 확대. 선진국 IT/에너지↑


[한국] 이익모멘텀 정체. 건설/반도체/기계/자동차↑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0.2%(DM: +0.3% > EM: -0.9%)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인니(+1.3%), 미국(+0.7%), 일본(+0.7%)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호주(-2.2%), 중국(-2.1%), 홍콩(-1.8%)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IT(+2.6%, DM), 에너지(+1.2%), 경기소비재(+1.0%)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소재(-1.3%), IT(-1.0%, EM), 필수소비재(-0.8%)


 

■ 국내 이익동향 및 밸류에이션


* 3Q23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0%(1W), -0.5%(1M)


* 24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2%(1W), +0.1%(1M)


* KOSPI 12M Fwd. PER, 12M Trail. PBR

: 10.9배, 0.94배


 

■ 국내 업종별 이익동향(3Q23 영업이익 1W 변화율)


▶️컨센서스 상향 업종: 건설, 반도체, 기계, 자동차, 철강/비철


① 건설(+1.5%, 3Q23 영업이익 1W 변화율)

*KCC(+19.1%)는 도료 사업 이익률 상승으로 실적 호조 전망

*LX하우시스(+2.3%)는 고수익성 제품 매출 회복 및 비용 안정화 흐름 지속


② 반도체(+1.5%)

*SK하이닉스(적자폭 축소)은 디램 출하량 증가 및 ASP 상승으로 3분기 영업적자 폭 축소 전망. 메모리 감산 효과 및 수요 회복 기대


③ 조선/기계(+0.7%)

*HD현대인프라코어(+7.3%)는 3분기 수출 물량의 ASP/MIX 효과로 전년동기대비 수익성 개선 기대

*LS ELECTRIC(+3.7%)은 전력 인프라, 전력기기 외형 성장으로 3분기 양호한 실적 기대


* 자동차(+0.2%, 현대모비스), 철강/비철(+0.1%, POSCO홀딩스, 고려아연) 상향 조정


▶️컨센서스 하향 업종: IT하드웨어, 화학, 화장품/의류, 건강관리, 2차전지


① IT하드웨어(-2.2%, 3Q23 1W 변화율)

*대덕전자(-6.2%)는 단기 업황 부진으로 비용 부담↑

*삼성전기(-5.0%)는 스마트폰 등 IT 기기 수요 부진에 따른 실적 하향 조정 지속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4.1%)는 전방고객 재고 조정으로 가동률 둔화


② 화학(-1.0%)

*롯데케미칼(-18.1%)은 업황 부진 및 공급 과잉 지속

*효성첨단소재(-4.9%)의 3분기 이익전망치↓. 탄소섬유 증설로 이익 기여도 상승 기대

*포스코퓨처엠(-1.7%)은 양극재 판가 하락으로 3분기 부진한 실적 예상


③ 화장품/의류(-0.6%)

*아모레퍼시픽(-4.6%)은 재고 조정 및 중국 마케팅 비용 증가 영향


* 건강관리(-1.2%,SK바이오사이언스), 2차전지(-0.3%,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엘앤에프, 천보 등) 하향 조정


 

■ Commentary

 

신흥국 실적 하향 조정이 지속됐습니다(12개월 선행 EPS 1개월 변화율 -0.9%). 선진국은 미국(+0.7%), 일본(+0.7%) 중심으로 이익모멘텀이 양호한 모습이지만 신흥국은 중국(-2.1%)의 실적 하향 조정 폭이 컸습니다. 업종별로는 선진국 IT, 에너지의 이익모멘텀 개선세가 지속됐습니다. 반면, 소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필수소비재는 이익모멘텀이 부진했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2024년, 3Q23 합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주일 간 -0.2%, -0.0% 소폭 하향 조정됐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 반도체, 기계, 자동차 업종의 3Q23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 됐습니다. 반면, IT하드웨어, 화학, 화장품, 2차전지 업종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하향 조정됐습니다.


현재 코스피, 코스닥 쏠림 지표(Z-score)는 각각 0.16, 0.32 수준입니다. 절대적인 수준은 1보다 낮기 때문에 코스피, 코스닥 모두 쏠림에 대한 부담은 없습니다. 다만 코스닥은 쏠림 지표 항목 중 밸류에이션 항목이 코스피 대비 높습니다. 또한, 코스닥은 쏠림 지표가 하락하는 국면에서 성과가 좋지 못합니다. 상대적으로 코스피/대형주가 유리합니다.


지난 1주일 간 3Q23, 2024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향 조정 폭이 큰 기업(컨센서스 추가/삭제 제외)은 코윈테크, CJ, 포스코인터내셔널, 더블유씨피, 현대오토에버, HD현대인프라코어, 씨에스베어링, 한섬, 현대모비스 입니다.



- 미래에셋증권 퀀트 애널리스 유명간 -



img/23/09/17/18aa14c96c42255ed.png


img/23/09/17/18aa14c986d2255ed.png


img/23/09/17/18aa14c9a7f2255ed.png


img/23/09/17/18aa14c9c5b2255ed.png


img/23/09/17/18aa14c9e542255ed.png


img/23/09/17/18aa14ca0512255ed.png


img/23/09/17/18aa14ca2422255ed.png


img/23/09/17/18aa14ca43c2255ed.png


img/23/09/17/18aa14ca6332255ed.png


img/23/09/17/18aa14ca8332255ed.png


img/23/09/17/18aa14cbd822255ed.png


img/23/09/17/18aa14cbf6b2255ed.png


img/23/09/17/18aa14cbf512255ed.png


img/23/09/17/18aa14cc1222255ed.png


img/23/09/17/18aa14cc3202255ed.png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