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482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39 명
  • 전체 : 1365436 명
  • Mypi Ver. 0.3.1 β
[자기 계발 | 심리학] 칼 융: 분석심리학 (feat. 프로이트, 그림자, 아니마, 아니무스, 자기원형, 집단무의식) (0) 2024/05/05 PM 09:31

 

 


■ 무의식 


1) 개인 무의식 (프로이트) 

자아에 의해 억압된 충동의 저장소 (사회 윤리적 이유)


2) 집단 무의식 (칼 융)

거대한 집단적 성격의 무의식


분석 심리학 (칼 융)

핵심 목표 : 자기를 찾는 것


분석 심리학에서 말하는 자기  

의식과 무의식이 분리되지 않고 전체 정신으로서 잘 조화를 이룬 상태 


인간의 전체 정신 : 의식 - 무의식


사회 속 나는 의식 영역에만 집중하여 무의식을 인식하지 못할 때가 많음

의식 : 내가 느끼고 생각하고 아는 모든 것


자아 실현 (개성화) ≠ 자기 실현


자아 : 의식 영역에서 중심 역할을 함

자아 실현의 예 : 좋은 직장에 취업/사업에 성공하고자 하는 활동


자기 실현 

의식이 나의 전부라고 착각하지 않고 

거대한 무의식의 영역을 파악하여 

조화를 이루면서 온전한 자기를 찾고자 하는 것


분석 심리학 

인간 정신의 구조를 분석하고 여러 심리 현상의 의미를 해석 → 자기 실현을 도움 

 

img/24/05/05/18f48cbd7562255ed.jpg


■ 인간은 콤플렉스다 


무의식의 의식화

자아가 자기 실현을 위해 무의식을 파악하여 의식하는 것

자기는 무의식의 중심에 위치

자아가 자기를 만나기 위해 무의식 영역에 관심을 가지며 교류하도록 노력해야 함


자아 : 의식 영역을 통솔하는 콤플렉스

콤플렉스 : (감정의) 복합체 (정신을 구성하는 요소들)

즉, 자아는 단일한 실체가 아니라 여러 감정의 복합체

무의식 영역 또한 마찬가지


융이 이해한 인간

자아가 의식의 중심에 있으면서 매 순간 경험하는 내용들을 

일관성 있는 그룹으로 조직하는 동안에만 나라는 방식으로 존재

↔ 나는 누구? 여기는 어디? 


즉, 자아는 나를 나로 있게 하는 기능 콤플렉스이며

외부 환경과 내면 심리 세계를 연결하는 창 


■ 페르소나 (가면, 사회적 역할)


자아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기능 콤플렉스


나의 외부적 인격이 외부 환경에 적응하면서 바뀐다는 점이 중요

인간이란 하나의 외부적 인격으로만 살 수 없는 존재


"페르소나는 가상이다" - 칼 융 -

페르소나 ≠ 나의 진짜 모습 


그럼에도 자아가 페르소나에 지나치게 집착하면서 동일시하면 정신적 해리 현상 발생 (dissociation)  

무의식 영역을 제대로 의식화하지 못함 


그렇다고 페르소나가 부정적인 것은 아님

청소년기에 건전한 페르소나를 형성해야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음

중년기에는 서서히 페르소나에서 벗어나 내면을 성찰해야 성숙한 자기를 이룰 수 있음


img/24/05/05/18f48d0c6c22255ed.jpg


■ 개인의 무의식과 그림자


1) 개인적 무의식 (억압으로 형성)

자아가 충동을 업악하면서 만든 무의식

개인이 성장 과정에서 타자를 의식하면서 발생


개인 무의식에는 그림자가 있음


그림자 

개인 무의식의 열등한 기능 콤플렉스

억압된 감정들이 무의식적 인격을 형성

'자아'가 한쪽 방향으로 지나치게 몰입반대 방향으로 무의식적 성격이 형성

예 : 의식 (근면, 성실) ↔ 무의식 (나태, 게으름)


개인의 무의식적 인격은 타자에게 투사됨 (projection)

성실함에 집착하는 사람은 나태한 사람을 혐오하게 됨

자아가 억눌러 놓은 혐오스러운 내면의 인격을 만나는 것으로 느끼기 때문


자아가 부정하면서 억압해 놓은 것들을 의식적으로 파악할 필요 (무의식의 의식화)

그래야 건전한 자기 이해 가능


img/24/05/05/18f48df2b322255ed.jpg



2) 집단적 무의식 (타고난 것)


무의식은 의식의 억압 기제로부터 형성

신생아의 구조는 미약한 의식 상태

그럼에도 신생아는 인간 고유의 성질을 발현하면서 성장


즉, 아기가 태어날 때 인간이 되는 조건을 가지고 태아나는 것


집단 무의식 

인류가 태고적부터 해온 경험의 축적으로 형성

집단 무의식 속에는 여러 원형들이 있음


원형 

의식의 뿌리

타고난 심리적 유형 

인간이 상속받는 보편적인 것


원형 ⊃ 아니마/아니무스, 자기 원형


■ 아니마/아니무스


아니마 : 남성의 무의식에 있는 여성적 심상

남성 인류가 여성에 대해 경험한 것들의 축적


아니무스 : 여성의 무의식에 있는 남성적 심상

여성 인류가 남성에 대해 경험한 것들의 축적


남성 

페르소나 : 남성

무의식적 인격 : 여성 (아니마)


여성 

페르소나 : 여성

무의식적 인격 : 남성 (아니무스)


img/24/05/05/18f48c585992255ed.webp


무의식의 보상 작용 (compensation)

자아가 의식에 지나치게 몰입하여 전체 정신의 균형을 상실할 위기에 처했을 때 무의식이 경고 메시지를 보냄


사회적으로 강인하고 과묵한 남성일수록 내면에는 약한 여성이 있음

사회적으로 섬세한 여성일수록 내면에는 과격한 남성이 있음


자아가 이런 무의식을 알아차리고 의식에 반영하면서 완급 조절을 해야 함

그렇지 않을 경우 무의식의 보상 작용이 발생

ex) 사회적으로 과묵한 남성이 사생활에서는 작은 일에도 지나치게 예민하거나 잔소리를 하게 됨

 


img/24/05/05/18f48c172c82255ed.png



■ '자기'란 무엇인가?


인간의 심리 구조는 반대의 성질들로 구성됨 

여성/남성, 강함/약함, 활발함/소심함


이런 관계의 균형이 심하게 깨지면 무의식의 자율적 보상 작용 발생

이러한 통합을 추구하는 원형이 집단 무의식에 들어 있음


이것이 자기 원형 

의식과 무의식의 균형을 위해 자체적으로 조정 기능을 수행 

꿈을 통해 이미지를 전달, 심인성 신체 현상을 일으킴 (자기 원형의 메시지)


분석 심리학의 역할

자기 원형의 메시지 (무의식의 신호)를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인간  정신의 구조를 해명하고 여러 심리 현상들을 해석


img/24/05/05/18f48cc1b462255ed.png


■ '자아' < '자기'


인간은 '자기'를 완전히 알 수 없는 존재

나는 나의 지극히 작은 '자아'에 익숙할 뿐 

이런 자아로 자기를 이해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할 뿐 

 

img/24/05/05/18f48d8b2c32255ed.jpg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