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518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621 명
  • 전체 : 1394377 명
  • Mypi Ver. 0.3.1 β
[경제]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530(목) 마감 시황 (0) 2024/05/31 AM 12:29

img/24/05/31/18fca1e53212255ed.jpg



img/24/05/31/18fca1e54fb2255ed.webp


와이프 2명 vs. 0명


1. 서울고법은 SK 최태원 회장-노소영 관장 이혼 소송 2심에서 최 회장이 보유한 SK(주) 주식은 분할 대상이 아니라는 1심 판결을 뒤집어 두 사람의 전체 재산 약 4조원에서 재산 분할 비율 최 회장 65%, 노 관장 35%를 적용해 노관장에게 1조 3,808억원의 재산분할 지급 판결. 기업 분할 효과 또는 최대주주 지위 유지를 위한 매집 기대감에 SK +9.3%, SK우 +8.5%. 물론 최 회장은 대법원 상고 예정. SK는 오늘 2,100억원 무보증 사채 발행과 더불어 장마감 후 보통주 695,626주(발행주식 대비 0.95%) 소각 공시. 754억원 규모 vs. 시가총액 11.57조원


2. 미 국채 2년물 금리 한때 5% 돌파. NASDAQ(-0.6%)도 빠졌지만 S&P 500(-0.7%)과 Dow(-1.1%)가 더 빠짐. 한국에서는 삼성전자(-2.3%)와 SK하이닉스(-3.4%), 2차전지(LG에너지솔루션 -4.1%), HLB(-7.0%)까지 색깔을 가리지 않고 동반 다이브 


3-1. 금리와 상관없이 잘 팔리는 화장품. TIGER 화장품(+2.0%)을 비롯해 아모레퍼시픽(+1%), 아모레G(+7.4%), 브이티(+1.6%), 씨앤씨인터내셔널(+0.8%), 아이패밀리에스씨(+3.8%), 코스메카코리아(+11%), 펌텍코리아(+5.0%, 화장품 용기), 한국화장품제조(+11%), 선진뷰티사이언스(+15%), 원익(+8.7%) 등 52주 신고가 속출


3-2. 원익은 자회사 씨엠에스랩이 올리브영 인기 선크림인 '셀퓨전씨' 브랜드에 이어 다이소 매장에 신규 브랜드인 '더마블록' 론칭. 다이소 뷰티 부문 매출은 올해 1분기 YoY +150% 성장. 325 신규 상장한 제이투케이바이오(+3.8%)도 IPO 종목답지 않게 상장 초일보다 높은 주가. 신고가가 아닌 화장품을 찾는게 더 어려울 정도(오가닉티코스메틱 상한가, 잉글우드랩 +6.3%, 에이블씨엔씨 +4.4%, 애경산업 +4.3%, 한국콜마 +4.1%, 클리오 +2.9%). 미용(제이시스메디칼 +6.7%, 파마리서치 +4.8%) 동반 상승


4-1.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상무부와 원격의료 쇼케이스를 개최하고 디지털헬스 분야 협력 강화. 어제 원격의료산업협의회가 실시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1년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범사업에 참여한 의사 69.9%, 약사 64.6%는 비대면 진료를 긍정적으로 평가. 대면으로만 약 수령이 가능한 '약 배송 규제'는 의사, 약사, 환자 모두 불만이었다는 결론


4-2. 의료AI 포함 원격진료 테마 상승(블루엠텍 +13%, 토마토시스템 +3.2%, 뷰노 +2.6%). 제이엘케이(+20%)는 자사 AI 솔루션 JLK-LVO의 FDA 인허가 신청 완료. 혈관조영 CT 이미지를 통해 대혈관 폐색(Large Vessel Occlusion, LVO)을 신속하게 검출. 미국 LVO 검출용 AI 솔루션 보험수가는 국내보다 수십 배 높은 회당 $1,040(한화 142만 원). 회사는 올해 안에 뇌졸중 AI 솔루션 5개 제품의 FDA 신청을 완료할 계획


5-1. 태성(+25%)은 본업인 PCB(4월 기준 수주잔고 223억원 YoY +60억원)와 함께 신사업 부각. CATL 의뢰로 2022년부터 시작한 복합동박 장비 개발을 완료한 것. 일반 동박보다 가공이 어려운 복합동박을 6.5µm 두께로 만들 수 있는 기술력 보유. 이론적으로 일반 동박보다 50% 더 가볍고, 가벼운 만큼 음극 비중을 높여 배터리 에너지밀도와 주행거리를 60% 늘릴 수 있음. 구리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여 원가 절감 효과도 존재. 내부 필름 덕에 일반 동박 대비 인장강도도 뛰어남(불량률 저하). 현재 제품 샘플 테스트 중, 올해 안에 매출 발생 가능, 연간 2,000억원 목표. 중장기적으로는 설비 판매뿐만 아니라 복합동박을 직접 판매하는 방향도 구상. 추가로 글래스 기판 장비도 개발 중


5-2. Tesla 2170(지름 21㎜·높이 70㎜) 원통형 배터리 성능 개선 착수. 양극재에서 니켈 비중을 90%에서 95%로 올린 하이니켈 양극재 적용 계획(엘앤에프 +0.2%). 음극재는 기존 중국산이었지만 한국산 실리콘 음극재 채택 가능성. IRA 영향으로 탈중국 필요성 +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연 기반 음극재보다 10배 많은 이론 용량을 갖춰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 실리콘 음극재(SiOx, SiC) 국내 유일 양산 기업으로 대주전자재료(+14%) 부각. 솔루스첨단소재(+2.3%) 올해 1~4월 Tesla에 직납하고 있는 배터리용 동박(전지박) 북미 인도량이 YoY 4.5배 증가


5-3. 이브이첨단소재(+26%)는 투자사인 대만 전고체 배터리 업체 ProLogium Technology가 Schneider Electric과 프랑스 덩케르크에 리튬 세라믹 배터리용 스마트 기가팩토리를 설립하기 위한 MOU를 체결(514)했다는 소식을 뒤늦게 반영하며 급등. 낙폭과대 2차전지 일부 반등 시도(동원시스템즈 +8.9%, 이수스페셜티케미컬 +4.4%, 제이오 +4.3%, 나노신소재 +4.2%). 피엔티는 Tesla 4680 배터리 건식 전극공정용 장비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어제 +23%, 오늘은 -1.2%. 독일 기업(Saueressig)을 밀어내고 진입해 수백억 단위 매출 기대


6. 반도체 식각공정에 사용되는 실리콘카바이드링(SiC Ring) 점유율 1위 티씨케이(+7.5%)는 증설을 위해 현 공장부지 1.4배 규모 부지 매입. 코스텍시스(+16%)는 SiC 전력반도체용 Spacer가 미국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양산 퀄 통과. 내일 IR에서 다른 고객사 퀄 진척사항과 향후 실적 전망 및 Capa 증설 언급 예정. 521부터 투자경고종목에 지정된 피에스케이홀딩스(+5.8%), 3월 Micron에 Reflow 장비를 소량 공급한 사실이 뒤늦게 인식됨. 국내 반도체 장비사 중 유일하게 삼성전자, 하이닉스, Micron 3사에 HBM 장비 공급


7-1. 리가켐바이오(+3.9%)은 HER2-ADC 후보물질 'LCB14'를 이전 받아 현지 임상을 진행 중인 중국 푸싱제약이 하반기 조건부허가 신청 전망. 승인 시 리가켐바이오 기술이 적용된 물질의 첫 상업화 사례. 강스템바이오텍(+19%)은 바이오 USA 기대 지속. 다국적 제약사 20곳과 미팅 진행, 기술이전 논의 예정. 오스코텍(+3.3%)도 기대감 여전


7-2. 큐로셀(+4.6%)은 CAR-T(키메릭항원수용체 T세포) 치료제 '안발셀' 임상 2상 최종결과보고서(CSR) 수령. 완전관해율 67.1%로 기존 치료제 '킴리아'의 40.4% 대비 높은 수치. CAR-T 치료제 주요 부작용인 사이토카인방출 증후군(CRS)과 3등급 이상 신경독성(NE) 발생률도 각각 8.9%, 3.8%로 경쟁약(23%, 11%) 대비 우수


8. 서울중앙지법은 민희진 어도어 대표가 하이브 상대로 제기한 의결권행사금지 가처분 신청 인용 결정. 이에 531 어도어 임시주총에서 하이브는 민희진 대표 해임안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을 전망. 하이브 주가는 본장 +2.4%, 시간외 -2.9%. 엔터 전반은 반등(에스엠 +4.2%, 에프엔씨엔터 +3.5%, CJ ENM +1.5%, 와이지엔터테인먼트 +1.4%)


9. NAVER 웹툰 6월 NASDAQ 상장. 정작 NAVER는 -2.8% 하락, 웹툰 테마주 상승(키다리스튜디오 +11%, 엔비티 +11%, 핑거스토리 +4.3%). 개별주 [인터넷은행] 제주은행 +11%, [해저케이블희토류 영구자석] LS에코에너지 +4.8%, [게임] 펄어비스 +3.6%, 크래프톤 +2.9% vs. 넷마블 -8.8% 급락, [중국 자동차] HL만도 +3.2%, [IPO] HD현대마린솔루션 +3.3%, [카지노] 롯데관광개발 +2.5%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