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518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625 명
  • 전체 : 1394381 명
  • Mypi Ver. 0.3.1 β
[경제]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531(금) 마감 시황 (0) 2024/05/31 PM 08:56

img/24/05/31/18fce82a6a42255ed.jpg



img/24/05/31/18fce81523b2255ed.webp



정반합 낌새


1. 금요일 PCE 물가 발표를 기다리는 와중에 소프트웨어 대기업 Salesforce(CRM) 실적 실망과 -20% 폭락의 충격. Salesforce가 AI 제품을 출시한 것은 4월이고 주요 고객은 AI 확대로 일자리를 잃게 될 지원 부서이기 때문에 빠른 캐치업을 못한다면 오히려 AI 피해종목으로 분류. 반면 기업용 AI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인 C3.ai(AI)는 분기 매출 증가로 +19%. HP(HPQ)는 AI PC가 하반기 전체 PC 출하량의 10%를 차지할 것이란 언급에 +17%. Dell Technologies(DELL)은 서버 및 인프라 부문의 기여로 1분기 매출 YoY +22% 증가. 그러나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지 못하면서 본장에서 -5.2%, 시간외 -18%대 하락 중


2. Nvidia 실적에 환호하던 것도 며칠, 비싼 주식을 팔고 저렴한 주식을 사는 순환매 진행. 한국도 오늘은 삼성전자 0% vs. SK하이닉스 -3.3%, KB금융 +0.9% vs. 신한지주 +2.5%, 알테오젠 +3.3% vs. 삼천당제약 +16% 등 2등 주식의 키맞추기


3. 진짜 2등 업종인 2차전지 반등(피엔티 +11%, 상아프론테크 +9.8%, 이수스페셜티케미컬 +9.5%, 솔브레인홀딩스 +9.2%, TCC스틸 +7.3%, 중앙첨단소재 +6.9%, 레이크머티리얼즈 +6.3%, 윤성에프앤씨 +6.3%, 엔켐 +6.2%, 금양 +5.7%, 더블유씨피 +5.4%, 포스코엠텍 +5.3%, 동화기업 +5.2%, 에코프로 +4.8%, 한솔케미칼 +4.6%, PI첨단소재 +4.1%, 엘앤에프 +3.6%, 나노신소재 +3.5%, 코스모화학 +3.2%), KOSDAQ +1.0% 상승, 오늘 하루 NASDAQ(-1.1%) 아웃퍼폼


4.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산하 국립환경정보센터(NCEI)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올해 1~4월은 175년 만에 가장 더운 첫 4개월. 2024년은 기록 이래 상위 5위 이내의 가장 무더운 해가 될 것이 확실시, 2023년의 1위 기록을 경신할 가능성은 61%. 8월 예상되는 라니냐(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은 상태)는 대서양에 허리케인, 미국 서부와 남부에는 건조한 기상 조건을 초래할 전망. 특히 미국 중부와 유럽에 극심한 폭염 가능성. 천연가스, 전력 등 에너지와 밀, 콩 등 주요 작물 가격 급등 위험. "천연가스 붐은 온다". 9월부터 LNG 직도입 발전소 울산 GPS 가동 예정, 민자 LNG 발전 기대(SK가스 +7.3%, 한국가스공사 +4.9% / 한국카본 +4.2%(LNG선))


5. 전력(HD현대일렉트릭 +4.0%, 제룡전기 +4.0%, 효성중공업 +2.4%) 추가 상승. 수소(상아프론테크 +9.8%, 두산퓨얼셀2우B +8.8%, 두산퓨얼셀 +4.7%, 비나텍 +3.5%, 범한퓨얼셀 +2.3%), 비츠로셀 +10%(전력+방산), 비에이치아이 +4.7%(발전기자재), SK오션플랜트 +6.0%(풍력), OCI홀딩스 +4%(태양광) 등 우후죽순


6. 대한해운은 5/29 공시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4척 양도 금액이 6,308억원, 매각 차익은 2,697억원으로 현재 시총의 39% 수준이라는 점이 인식되며 +15% 급등. 해당 선박들은 장기계약 종료 이후 스팟 영업에 투입될 예정이었는데 이번 매각으로 인해 축소되는 스팟 영업이익은 미미. 안그래도 상해 SCFI 운임지수 강세로 해운주 호조(STX그린로지스 +19%, 흥아해운 +3.8%, KSS해운 +3.1%, 팬오션 +2.3%)


img/24/05/31/18fce8a12b52255ed.png

 

7. 늘 오르던 화장품에 오늘은 의류까지 동반 상승(제이에스코퍼레이션 +20%, 한세실업 +16%, F&F홀딩스 +7.6%, 영원무역홀딩스 +7.3%, 효성티앤씨 +6.5%, 노브랜드 +5.5%, 화승엔터프라이즈 +5.4%,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5.3%, 영원무역 +4.9%, F&F +4.4%). 미국에서 GAP(GPS)이 호실적으로 시간외 +23% 오르고 있기 때문. 회사는 올해 매출(보합 → 약간(slightly) 증가)과 영업이익(10%대 중반 → 40%대 중반 증가) 가이던스를 모두 상향 조정. 소외된 업종의 턴어라운드 및 키맞추기


8. 한국산 화장품 UAE 관세 철폐.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서명으로 이르면 내년부터 국회 비준 동의를 거쳐 단계적 관세 철폐 예정. 5/31~6/6 올영세일.순환매 흐름과 상관없이 화장품 추가 리레이팅(세화피앤씨 상한가, 뷰티스킨 +14%, 코디 +11%, 한국콜마 +9.0%, 코스메카코리아 +7.9%, 에이블씨엔씨 +7.4%, 네이처셀 +6.0%, LG생활건강우 +4.6%, 애경산업 +4.6%, 현대바이오 +3.9%, 선진뷰티사이언스 +3.6%, 아모레퍼시픽 +3.3%, 에이피알 +3.1% / 티앤엘 +6.1%). 다만 대장주인 실리콘투(-3.2%)가 최대주주 장내 매도 공시에 장중 급락. 이로 인해 내일(6/3)부터 투자경고종목 지정해제되는 원영적 결과


9. 미용기기도 연동(레이저옵텍 +10%, 휴메딕스 +6.4%, 원텍 +6.4%(5/13 1분기 어닝쇼크에 급락), 대웅제약 +3.7%, 비올 +3.6%, 파마리서치 +3.5%, 클래시스 +3.0%)


10. 의류까지 돌아서자 순환매는 나머지 중국소비주까지 파급. TIGER 여행레저 +3.0%, 카지노(롯데관광개발 +8.7%, GKL +2.8%, 파라다이스 +2.2%), 항공(한진칼 +6.3%, 진에어 +4.9%, 아시아나항공 +4.4%, 티웨이항공 +4.3%, 대한항공 +2.2%), 면세(JTC +5.6%, 호텔신라 +2.1%), 여행(하나투어 +3.2%)


11. SK +11%, SK우 상한가. 최태원 회장이 보유한 SK 주식 담보 대출 때문에 SK 주가를 부양할 것이란 기대. SK그룹에 대한 지배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재산분할금을 마련하기 위해 SK실트론 지분을 매각하는 방법도 유력. 또한 하이닉스 배당을 직접 수령하기 위해 SK와 중간지주사인 SK스퀘어(-2.3%)가 합병할 것이므로 피합병되는 SK스퀘어 주가는 내려가고 SK주가는 높아질 것이란 시나리오도 재부각. 어쨌든 '대주주의 이익대로'라는 한국 주식의 대원칙을 적용하면 최대주주 지분율이 높은 종목을 Long해야 지각 있는 투자자


12. 하이브는 어도어 임시주주총회에서 민희진 대표를 제외한 나머지 사내이사 2명 해임, 하이브 측이 추천한 신임 사내이사 3명 선임. 민 대표가 2차 기자회견에서 하이브에 화해를 제안하면서 주가는 장중 반등해 저가 -5.4% → 종가 -1.96%에 마감


13. 6월 일정에 대한 기대감. Apple WWDC 6/10~14로 임박(선익시스템 +6.9%, 비에이치 +5.8%). 반도체에서는 와이씨가 HBM 테스터 공급을 일본 Advantest와 양분할 것이란 기대에 상한가. 테스트 및 장비주 동조(디아이+16%, 테크윙 +7.2%, 파크시스템스 +6.4%(첨단 나노계측 장비 원자현미경), ISC +3.4%(테스트 소켓))


14. 알테오젠(+3.3%)도 올랐지만 삼천당제약 장중 VI 발동, +16% 급등. 아일리아 시밀러와 S-PASS 플랫폼 사업 전략 기대. 루닛(+7.6%)은 병리조직 기반 AI 바이오마커 솔루션 '루닛스코프'가 Daiichi Sankyo, AstraZeneca 공동 개발 ADC(항체약물접합체) 항암 신약 '엔허투'의 객관적 반응률(ORR)과 유사한 수준의 결과를 나타냄. 바이오마커를 활용하면 항암제 효능이 좋은 환자군을 미리 선별할 수 있어 FDA도 면역항암제 사용 전 바이오마커 병행 권고. ADC의 경우 아직 약물-동반진단 바이오마커가 개발되고 있지 않아 잠재 수요 큰 상황. 현재 루닛스코프는 연구용역에 따른 수익만 발생하고 있어 FDA 승인 획득 후 매출 급등 예상. 면역항암제 동반진단 임상으로 빅파마와 추가 계약 가능성도 높음(코어라인소프트 +3.6%, 뷰노 +2.9%)


15. MSCI 리밸런싱 당일 편입 종목 추가 강세(엔켐 +6.2%, HD현대일렉트릭 +4.0%, 알테오젠 +3.3%), 편출 종목 약세(카카오페이 -3.4%, 삼성증권 -2.2%, 한온시스템 -0.8%, 강원랜드 +0.3%)


16. 트럼프 전 대통령은 뉴욕 형사재판에서 34가지 전체 혐의에 대해 유죄 평결을 받아 7/11 형 선고 예정, 최대 징역 4년형 가능. 트럼프 측은 일단 항소하고, 도주 우려가 크지 않은 만큼 불구속 상태에서 항소심 소화할 것. 항소심은 11월 대선 전에 나올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 개별주: [은행] JB금융지주 +9.0%, 기업은행 +3.6%, [지주] 현대엘리베이 +6.4%(종가 급등), [교육] 메가스터디교육 +5.4%(26개 지방의대, 내년 지역인재전형 비중 60%), [김] 한성기업 +13%, 동원수산 +4.2%, 사조오양 +3.2%, [로봇] 엔젤로보틱스 +10%, [탈모] TS트릴리온 +23%(최대주주 장내매수), [혈액투석필터] 시노펙스 +6.6%

 

img/24/05/31/18fce8e9e6d2255ed.jpg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