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624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557 명
  • 전체 : 1473022 명
  • Mypi Ver. 0.3.1 β
[월가 아재] [월가아재 시즌3 - 15편] 연준이 금리 인하해도, 유동성이 줄어들 수 있다구요? - 연준과 유동성 1부 (0) 2024/08/03 PM 06:43




■ 유동성의 흐름을 읽는 5가지 지표


1) 연준의 SOMA 계정 - 보라색

2) 연준의 대출지원 창구 - 노랑색

3) 은행의 지급준비금 - 파랑색

4) 재부무의 TGA 잔고 - 빨강색

5) 연준의 역레포 잔고 - 초록색 

 

 

img/24/08/03/191179a3e872255ed.png


1) SOMA 계정 : 연준이 보유하고 있는 증권을 관리하는 계좌

양적완화(QE)를 시행하면서 국채를 매입하면 SOMA 계정의 잔고 증가

양적긴축(QT)를 시행하면서 국채를 축소하면 SOMA 계정의 잔고 감소

    ●  양적긴축 프로세스 상세 설명 https://www.valley.town/column/post/66668af98ee9dd51f2d951ea

 



img/24/08/03/191179e6d372255ed.png


2) 연준의 대출 창구

● 재할인 창구 (Discount Window): 은행에 긴급하게 자금을 수혈하게 위한 창구

● 급여 보호 프로그램 (PPPLF) : COVID 팬데믹 당시 운영된 급여 보호 프로그램 유동성 공급 창구

● BTFP (Bank Term Funding Program) : 23년 초 SVB 위기 진압을 위해 사용


img/24/08/03/191179f58802255ed.png



3) 지급준비금 : 은행이 고객(개인, 기업, 금융기관)의 예금인출 요구에 대비해 연준에 일정 비율 예치

시중의 유동성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

COVID 이후 주가지수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 (연준 QE 실시)

● 지준금 증가 → 은행의 대출 증가 (가능성)

→ 은행은 대출을 통해 신용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유통되는 유동성을 공급

시중에 유통되는 유동성은 대부분 은행을 거쳐 공급되기 때문에 은행이 유동성을 얼마나 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 그것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바로 지급준비금임

● 08년 금융위기 시절 200억 달러 → 연준의 QE 시행 (막대한 유동성 공급) →  현재 3조 달러, "Age of Abundance" (풍부한 지준금의 시대)

→ 지준금이 풍부해지면서 은행에는 연준이 요구하는 지준금 수준을 넘어서는 초과지준금도 넘치게 되었음 

→ 이 초과지준금은 결국 은행들이 보유한 여유자산이라고 볼 수 있음



img/24/08/03/191179ae0372255ed.png


4) 재무부 TGA 잔고

재무부의 수입과 지출이 오가는 통장 (연준에 예치)

재정적자 발생 시 국채 발행 : 시장 참여자들이 국채 입찰에 참여해서 국채를 매입할 경우, 은행의 지준금 감소 → TGA 잔고 증가

→ 금융기관이 은행에 예치한 예금을 사용해서 국채를 매수하기 때문

재무부가 재정지출할 경우 : TGA 잔고 감소 → 지준금 증가

 


img/24/08/03/191179f78992255ed.png


5) 역레포 잔고 : MMF(머니마켓펀드), 사모펀드, 딜러 등이 여유 자금을 연준에 예치

→ 이런 기관들이 연준에 저축을 하는 예금 계좌와 같다고 볼 수 있음 (연준에서 역레포 금리 수취)

 


img/24/08/03/191179f95432255ed.png



■ 연준의 대차대조표 정리


기업의 대차대조표 

● 좌변 : 자산

● 우변 : 부채 (타인의 돈으로 자금조달), 자기자본 (본인의 돈으로 자금조달)

● 자산 - 부채 + 자기자본


연준의 경우, 자기자본이 미미(현재 기준 자산 7.21조, 부채 7.16조, 자기자본 0.04조)

● 자산 = 부채 

SOMA 계정 + 대출 (유동성 지원 창구) = 지준금 + 역레포 계좌 + 재무부 TGA

좌측 (자산), 우측 (부채)


1) 자산

① SOMA 계정 

→ 연준이 매입한 증권이니까 자산 

② 연준이 기관에 해준 대출 

→ 연준의 입장에서 이자를 창출하는 일종의 채권


2) 부채

③ 지준금

→ 은행이 연준에 잠시 맡겨 놓은 돈

→ 나중에 은행이 돌려줘야 하는 부채

④ 역레포

→ 역레포 등 금융기관들이 연준에 잠시 맡긴 돈

→ 나중에 연준이 그들에게 돌려줘야 하는 부채

⑤ 재무부 TGA

→ 정부가 연준에 잠시 맡긴 돈

→ 나중에 연준이 정부에게 돌려줘야 하는 부채


● ∆SOMA 계정 + ∆대출(유동성 지원 창구) = ∆지준금 + ∆역레포 계좌 + ∆재부무 TGA

∆지준금 = ∆SOMA 계정 + ∆대출(유동성 지원 창구) - ∆역레포 계좌 - ∆재무부 TGA

은행 지준금(시중 유동성)은 SOMA 계정 및 대출이 증가하면 증가, 역레포 계좌 및 재무부 TGA가 증가하면 감소

예) 연준이 QT를 통해 SOMA 계정을 줄이면 그만큼 지준금(시중 유동성) 감소

예) 작년 3월 SVB 사태 같은 일이 발생하여 연준이 은행들에게 대출해주면 지준금이 증가하고 유동성이 풀림 



■ 유동성 항등식


∆지준금 = ∆SOMA 계정 + ∆대출(유동성 지원 창구) - ∆역레포 계좌 - ∆재무부 TGA

 

img/24/08/03/19117a29b6b2255ed.png


SOMA 

- QT가 시작된 22년 6월 이후 꾸준히 감소


재무부 TGA 

- 바이든 시기 재정 지출 지속으로 인해 꾸준히 감소

- 2023년 여름 부채 한도 위기를 겪고 2023년 하반기에 계정을 채우면서 증가세로 전화

- 올해 4월에 세수가 들어온 후, 옐런이 조금씩 지출하고 있음


연준 역레포

- 2021년, 2022년까지 꾸준히 증가 (당시 풍부한 유동성이 역레포 잔고로 몰림)

- 2023년 하반기 감소: 재무부 국채 발행으로 TGA 계정을 채우기 시작, 연준도 QT 진행


지준금 

- 22년 3월 연준의 첫 번째 금리 인상 이후 감소세

- 2023년 기점으로 상승세로 전환 후 최근에 다시 감소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