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제도가 번영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권력과 진보’ 저자
2024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의 초상화 이미지. 왼쪽부터 대런 아세모글루 MIT 경제학과 교수, 사이먼 존슨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정치학과 교수.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경제학상은 국가 간 소득 차이의 원인을 사회 제도에서 찾는 연구를 진행한 세 명의 경제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4일(현지시각) 대런 아세모글루(Daron Acemoglu) 미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제학과 교수와 사이먼 존슨(Simon Johnson)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 제임스 로빈슨(James A. Robinson) 시카고대 정치학과 교수가 2024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의 연구에 대해 “국가의 번영을 위한 사회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했다”면서 “법치가 열악한 사회와 인구를 착취하는 제도는 더 나은 방향으로 성장하거나 변화하지 않는다. 수상자들의 연구는 그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노벨위원회는 또 “포용적 제도는 모든 사람에게 장기적인 이익을 창출하지만, 착취적인 제도는 권력자들에게 단기적인 이익을 제공한다”면서 “정치 시스템이 권력자들의 통제권을 보장하는 한, 미래 개혁에 대한 약속을 신뢰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세 교수는 이 때문에 사회가 개선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고 했다.
아세모글루 교수는 현대 경제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주로 정치경제학, 개발경제학, 제도경제학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정치적 제도와 경제적 성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의 연구는 경제학뿐만 아니라 정치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존슨 교수는 국제 금융 시스템과 경제 정책, 특히 금융 위기와 관련된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연구자다. 저서와 논문에선 주로 금융 시스템의 문제와 이로 인한 경제적 불평등을 분석하고, 금융 부문의 영향력이 어떻게 국가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재직한 경험이 있으며, 경제 정책에 대한 이해가 넓다는 평가를 받는다.
로빈슨 교수는 민주주의와 독재 체제의 경제적 성과 차이에 대해 분석했다. 그의 연구는 역사적 사례를 통해 경제와 정치 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국가 발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세모글루 교수와 로빈슨 교수는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를 공동 저술했다. 두 교수는 이 책에서 실패한 국가와 성공한 국가를 가르는 결정적 차이로 경제 제도를 꼽았다. 두 교수는 서문에서 대표적인 사례로 남한과 북한을 꼽기도 했다.
“한반도에서 발생한 어마어마한 제도적 차이에 전 세계 모든 나라가 부국과 빈국으로 나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일반 이론의 모든 요소가 포함돼 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국가의 성패 결정 요인이 지리적, 역사적, 인종적 조건이 아니라 바로 ‘제도’라고 강조했다. 이 책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22년 대선 과정에서 읽었다고 소개한 책이기도 하다.
아세모글루 교수와 로빈슨 교수는 2019년엔 ‘좁은 회랑’을 같이 썼다. 이 책은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가가 ‘폭주’하지 않도록 사회가 적절히 관리해야만 국가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두 사람은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이 함께 진행되는 좁은 길을 통해서 국가 발전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아세모글루 교수와 존슨 교수는 공동 저서 ‘권력과 진보’에선 기술 진보가 경제 성장과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썼다. 이들은 기술 향상의 이득이 더 평등하게 공유돼야 진정한 진보가 이뤄질 수 있다고 역사적 사례를 들어 증명했다.
야콥 스벤손 노벨 경제학상 위원장은 “국가 간 소득 차이를 줄이는 것은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라며 “수상자들은 이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사회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했다”라고 말했다.
노벨상 시상식은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에 열린다. 물리학·화학·생리의학·문학·경제학상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평화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수여된다. 수상자에게는 메달과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4억3000만원)가 주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