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이누히메노카미(伊怒比売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카미이쿠스비노카미(神活須毘神)의 딸. 오오토시가미(大年神)에게 출가하여, 오오쿠니미타마노카미(大国御魂神), 카라노카미(韓神), 소호리노카미(曾富理神), 무카히노카미(向日神), 히지리카미(聖神)를 낳았다고 『古事記(코지키)』에 기재되어있다.
『코지키』에는, 카미이쿠스비노카미의 딸인 이누히메노카미(伊怒比売神)는 오오토시가미(大年神: 스사노오노카미와 카미오오이치히메노미코토 사이에서 태어난 미코)와 결혼했다고 나와있다. 부친인 카미이쿠스비노카미의 活須毘는 무스비(産霊 = 産巣日)와 같은 의미이기 때문에, 카미무스비노카미(神産巣日神)와 같은 신이라고도 여겨지고 있다. 이누히메노카미의 伊怒는, 『出雲国風土記(이즈모노쿠니후도키)』에 이즈모 군(出雲郡) 이누 고(伊怒郷)라 나와있기 때문에, 지명이 아닐까 하고 여겨진다.
오오쿠니타마노카미는, 어느 나라의 미타마(御魂)... 즉, 쿠니미타마노카미(国御魂神)라는 의미인데, 특정 국명(国名)을 붙여두지 않은 점은 오오쿠니누시노카미(大国主神)의 오오쿠니(大国)와 마찬가지로 국토 전체를 나타낸 것이리라.
카라노가미는 그 다음에 등장하는 소호리노카미와 함께 생각해 보지 않으면 안 되는 이름이다. 소호리(曾富理)는 이소타케루노카미(五十猛神) 항목에서 설명한대로, 현재의 한국으로 건너가 소시모리(曾尸茂梨)에 머물렀다고 『日本書紀(니혼쇼키)』 일서(一書)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 소시모리와 소호리는 같은 말일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게 되면 카라노가미(韓神)의 韓은 한국(카라쿠니)이라고도 해석되기 때문에, 카라쿠니 소호리로 이어지는 말일 것이라 사료된다. 하지만 『코지키』에서는 두 주(柱)의 신으로 나뉘어 있다.
진묘쵸(神名帳)의 이즈모노쿠니 이즈모 군 이누 진쟈(伊努神社), 오와리노쿠니(尾張国) 야마다 군(山田郡) 이누 진쟈(伊奴神社)의 제신(祭神)이다.
◎ 이히카(井氷鹿)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신>
- 초대 진무 텐노(神武天皇)의 동정(東征)이 있었을 때에 만난 신들 중 한 주(柱). 야마토(大和)의 쿠니츠카미(国神). 일명 이히카노카미(井光神)라고도 한다.
진무 텐노가 쿠마노(熊野)에서 북진하여 야마토로 들어가 에우카시(兄猾)를 정벌하여 우다(兎田) 우가치 무라(穿邑)에서 요시노(吉野)로 들어갔을 때의 일이다. 니에모치노코(贄持之子) 다음에 만난 것이 「꼬리 달린 사람」이었다... 고 『古事記(코지키)』에 기록되어 있다. 이를 『日本書紀(니혼쇼키)』에서는 「빛이나고 꼬리가 달려있다」고 말하고 있다. 어쩌면 엉덩이 쪽에 뭔가를 늘어뜨리고 있었을 것이다. 『코지키』에는 또, 그 꼬리가 있는 사람이 우물(연못)에서 나왔는데, 그 우물이 빛나고 있었다고 쓰여져있다.
진무 텐노가 「그대는 누군가」라고 묻자 「저는 쿠니츠카미(国津神)로, 이름은 이히카(井氷鹿)」라고 답했다. 『니혼쇼키』에는 이히카(井光)라고 나온다. 그리고, 요시누노오비토(吉野首) 등의 선조가 되었다고 나와있다.
옛날의 우물은 강변에 케타(桁: 나무로 우물 井자 모양으로 짜놓은 것)를 내어, 그곳에서 식품을 시작으로 하는 모든 것을 씻었다고 한다. 산의 뿌리 부분을 뚫어서 만드는 요코이도(横井戸: 가로 우물)는, 꽤 후세에 등장한다. 참고로 두레박(釣瓶)을 사용해 물을 긷어 올리는 타테이도(縦井戸: 세로 우물)는 에도시대(江戸時代) 중기 이후에나 가서야 생기게 된다.
때문에 「이히카가 우물에서 나왔다」는 것은, 강에서 올라왔다고 봐야할 것이다.
[이히카를 모시는 진쟈(神社)]
나라 현(奈良県) 요시노 군(吉野郡) 카와카미 무라(川上村) 이히카(井光)에 있는 이히카 진쟈(井光神社): 켄샤(県社)
◎ 이부키노야마노카미(伊服岐能山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산신(山神)>
- 오우스노미코토(小稚命: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의 동정(東征)이 있었을 때에 등장한 신들 중 한 주(柱).
『古事記(코지키)』에는 이부키노야마(伊服岐能山)라 기록되어 있는데, 이곳은 현재 기후 현(岐阜県)과 시가 현(滋賀県) 경계에 있는 이부키야마(伊吹山)를 가르킨다.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倭建命 = 日本武尊)는, 오와리(尾張)의 미야즈히메(美夜受比売)와의 정교(情交)를 다하지 못하고 다음 기회에 하자며 쿠사나기노츠루기(草薙剣)를 맡겨둔 채 이부키노야마의 신 토벌에 나섰지만, 이곳 이부키노야마에서도 무구(武具)를 갖추지 않고 산을 올랐다. 그런데 얼마지나지 않아 소만큼 커다란 흰 멧돼지와 조우하게 된다.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는
「흰 멧돼지로 화(化)한 것은 이부키노야마의 신이 보낸 사자인건가? 지금은 그냥 봐주지만 돌아오는 길에도 보게 된다면 그때는 반드시 죽여주마」
라며 큰 소리로 일갈했다.
흰 멧돼지는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의 생각대로 이부키노야마의 신이었다. 산신은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의 노성에 화가 나 커다란 우박을 내리며 진로를 차단시켜버렸기 때문에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는 어찌하지 못한 채 포기하고 수도로 돌아가게 되었다. 하지만, 그만 병에 걸리고 말아 결국에 노보노(能煩野: 미에 현 스즈카 시 노보노 쵸)에서 죽고말았다... 며 『코지키』에 나와있다.
『日本書紀(니혼쇼키)』에서는, 이부키노야마를 五十葺山(이부키야마)라 표기하고 있으며, 산신의 화신도 흰 멧돼지가 아니라 오로치(大蛇)로 되어 있으며, 우박은 히후(氷零: 빙설)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