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디
접속 : 4834   Lv. 64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47 명
  • 전체 : 356935 명
  • Mypi Ver. 0.3.1 β
[---] 미라이 공업 회사 (11) 2011/02/23 AM 11:38


미라이공업은 철저한 비용 절감으로 유명한데, 대표적인 사례들을 소개해 주시죠.

“무엇보다 회사에 불필요한 건 철저히 없애고 줄였습니다. 우리 회사엔 공용 승용차가 없지요. 회장도 사장도 다 자기 차를 타고 다닙니다. 나는 아예 차를 갖고 있지도 않고요. 회사 공용차라곤 미니 승합차 정도입니다. 그게 승용차보다 휘발유를 훨씬 덜 먹거든요. 그럴 리도 없겠지만 혹여 일본 국왕이 우리 회사를 방문하더라도 우린 승합차로 마중을 나갈 수밖에 없습니다. 회사 공용 휴대전화도 없지요. 임원은 물론이고 영업직원에게도 휴대전화를 주지 않습니다. 곳곳에 널려 있는 편의점에만 가면 싸게 공중전화를 쓸 수 있는데, 뭐하러 비싼 휴대전화를 씁니까.”

상담역께선 어떻게 출근하십니까.

“같은 동네 사는 직원들의 차를 얻어 타고 출퇴근합니다. 일종의 카풀(Car Pool)을 하는 거죠.”

최근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이 급격히 오를 때 비용을 더 줄인 게 있습니까.

“없습니다. 지금도 충분히 하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줄일 부분이 없지요.”

그러면 원자재 가격 상승엔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원자재 가격 상승분은 제품 가격에 조금씩 반영하고 있습니다. 올 들어 제품별로 가격을 10~15%씩 인상했지요. 고객들도 원자재 값이 오른 걸 알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이해합니다. 원료 값이 올랐는데도 제품 가격을 올리지 않는 게 오히려 이상한 것 아닙니까.”

너무 비용을 아끼다 보면 직원들이 불편할 수도 있지 않습니까.

“사원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비용 절감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예컨대 지금 우리가 하는 것처럼 복도에 불을 켜지 않는다고 사원들이 불편한 것은 아니죠. 복사기가 350명당 1대이지만 복사기 앞에 줄을 서는 경우는 없습니다. 막연히 비용 절감을 하면 직원들이 불편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직원들에게 불편을 끼치지 않으면서도 절감할 수 있는 불필요한 비용은 널려 있습니다. 그런 걸 모두 찾아내 줄이는 게 중요하죠.”

다른 기업들은 비용 절감 차원에서 직원들의 임금을 줄이거나 인력을 감축하기도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바보 같은 짓이죠. 임금을 줄이기 전에 다른 부분에서 아낄 것이 많습니다. 예컨대 직원 임금을 깎았다는 회사를 가보면 복도에 전등이 훤하게 켜져 있지요. 왜 전등부터 끄지 않습니까.”

직원을 자르고 싶은 경영자가 있겠습니까. 회사가 망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판단해 인력 구조조정을 하는 것이겠지요. 그런 것도 인정할 수 없나요.

“아무리 그렇더라도 직원을 강제로 내보내선 안 됩니다. 직원을 자르기 전에 회사가 좀 더 돈을 벌 궁리를 해야지요. 일본은 물론이지만 한국만 해도 시장이 큽니다. 그 시장을 더 차지해 돈을 더 많이 벌면 직원을 자르지 않아도 되지 않습니까.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은 500조 엔 정도 됩니다.

일본에서 제일 크다는 도요타자동차도 그중에서 26조 엔(연간 매출액) 밖에 가져가지 못하죠. 더 노력하면 더 많이 벌 수 있는 기회는 많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시장까지 생각하면 더욱 그렇죠. 발상을 바꿔서 직원을 자르지 말고 반대로 사원들의 임금을 올려줘 직원들이 더 열심히 일하도록 해야 합니다.”

철저히 아낀 비용은 직원들을 위해 쓴다고 들었습니다. 주로 어떤 곳에 돈을 씁니까.

“무엇보다 월급을 좀 많이 주죠. 우리 회사엔 잔업이 없지만 잔업이 있는 회사 직원과 월급이 똑같습니다. 단위시간당 임금이 더 많은 거죠. 연간 보너스도 일본 기업 평균은 3개월분인데, 우린 5.5개월분을 줍니다. 동종 업종에선 최고 임금 수준이죠. 근로자들은 월급을 많이 받으면 그만큼 더 열심히 일한다는 게 내 생각입니다. 특히 한국인과 일본인은 유교의식이 강하기 때문에 특히 그렇죠.”

직원들에게 무조건 ‘당근’만 주면 게을러지지는 않습니까.

“게을러지는 직원은 없습니다. 직원들은 당근을 먼저 주면 더 열심히 일합니다. 대부분의 회사는 성과를 보고 나중에 당근을 주지요. 그러면 동물원의 동물들과 다를 게 뭐가 있습니까. 동물원에선 원숭이가 재주를 보여야 먹이를 주지 않습니까. 돌고래도 그렇고요. 하지만 사람은 동물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당근을 줘서 배부르게 해줘야 더 열심히 일합니다.”

그렇더라도 직원 간 능력 차이는 있지 않습니까.

“물론 능력 차이가 있죠. 하지만 나는 성과주의를 거부합니다. 중요한 건 직원들이 얼마만큼의 성과를 냈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최선을 다해 열심히 했느냐입니다. 사람의 능력은 모두 다르죠. 그런 사람들에게 똑같은 양의 성과를 요구하는 건 무리입니다. 각자 갖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죠.”

과거에 선풍기로 명단을 날려서 간부를 뽑은 적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사실인가요.

“사실입니다. 회사를 주식시장에 상장하려고 하는데, 정부가 요구하는 몇 가지 조건이 있었어요. 예컨대 당시 우리 회사엔 경리부 인사부 같은 게 없었죠. 돈이 아까워서 그런 부서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상장을 하려면 그런 관리 부서들이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정부 요구대로라면 당시 20명이던 과장을 45명으로 늘려야 했지요. 25명을 누구로 뽑을까 고민하다가 후보자 명단을 선풍기로 날려 멀리 날아간 이름 순서대로 그냥 뽑아 버렸습니다.”

간부 인사를 그렇게 함부로 해도 되나요.

“해도 됩니다. 한국도 그렇지만 일본은 고학력 사회입니다. 요즘 젊은이들의 절반이 대졸이고, 나머지 절반은 고졸이죠. 학력이 그 이하인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고교 이상의 교육을 받았다면 누구나 회사 간부를 할 수 있다는 게 내 생각입니다. 누가 해도 비슷하다면 굳이 골치 아프게 뽑을 필요가 없지 않습니까.”

역시 일본어를 배워야 합니다. 여러분

신고

 

reonhart    친구신청

이 회사가 바로 그 유명한 선풍기로 승진한다는 회사!

케미컬크루즈    친구신청

직원들이 뼈를 묻는다는 그 회사!

이브냥    친구신청

5시전에 칼퇴근과

정년이 무려 70세!!!

뷁곰    친구신청

직원 인터뷰에서 자기 그동안 안쓴 휴가 몰아서 쓰면 1년 반을 쉴 수 있다고 했던게 기억나네요. 몰아서 쓰는거 아무도 뭐라고 안하는데 일하는게 즐거워서 안쓴다고 하더군요. 물론 유급 휴가입니다.

으훗    친구신청

하지만 한국의 대부분기업에서 유급휴가 얘기를 꺼낸다면...

라켄    친구신청

흠흠;; 미라이공업 티비에 나온거보고 울나라사람이 일본가서 입사원서 넣엇는데 합격햇다고합니다..

합격사유는, 가장멀리서와서 라고...-_-b

어흥늑대    친구신청

짱이다... 저런 직업이라면 내가 공무원 안노리고 일해봄직하다.
근데 안그렇잖아. 그냥 공무원 준비나해야지...

OrangeNet    친구신청

여긴 하도 티비에서 많이나와서 이젠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

bbh*    친구신청

mbc에서 나온 그 회사 나도 그회사에 입사하고 싶다

遠野秋葉    친구신청

일문과임에도 불구하고 공무원 준비하는데..때려치고 미라이공업으로 가볼까?
앙데겟지..난 가족과 친구없으면 외로워서 ㅈㅈ

이명박죽어라    친구신청

사장니이임~!!!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