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에로우 MYPI

실버에로우
접속 : 4382   Lv. 55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7 명
  • 전체 : 98996 명
  • Mypi Ver. 0.3.1 β
[Diyworld2.5] 오게임 초보 지식백서 - 1 (기본정보편) (0) 2010/04/06 AM 02:17
그럼 바로 시작해 봅니다 ^^

일단, 이번에는 기본적인 정보들에 대한 지식을 얻어 보는게 좋을거 같군요.

게 임을 시작하면 덩그러니 행성이 하나 있습니다.

화면 구성은, 왼편에 메뉴, 가운데 위에 현재 엑세스중인 행성을 선택하는 행성 리스트,

그리고 그 옆에 행성 자원 보유량 및 에너지 생산량 (잔여 에너지량/생산량 으로 나타납니다.)이 있습니다.

자원이 빨간색인 경우는 자원 보유량이 초과했다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더이상 자원을 생산할 수 없습니다.

자원 보유량은 초기치가 각각 10만입니다만, 각 자원별 탱크를 지음으로써 저장 공간을 늘일 수 있습니다.

탱크 레벨이 올라갈 수록 더욱 많은 자원을 저장합니다.

잔여 에너지가 빨간색인 경우는 에너지가 모자라다는 것으로, 생산 공장 효율이 떨어집니다.

일단,

왼편에 메뉴가 있는데요, 메뉴 구성부터 보면,

홈 -> 현재 행성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행성 이름과, 서버의 시간(독일 기준이므로 한국 시간과 9시간 정도의 격차가 있다고 하네요)

함대 정보 탭(운용중인 함대가 없다면 나타나지 않지요.),

현재 행성 그림, 그아래 행성의 크기(필드), 온도, 현재 좌표, 점수가 나오지요.

행성 이름을 클릭해들어가면, 현재 행성 이름을 변경할 수가 있고요, 만약 그 행성이 식민지라면

식민지 포기 버튼을 이용, 식민지를 파괴할 수도 있습니다.

(본성은 파괴할 수 없고, 행성 파괴시 거기에 있는 모든 함대와 자원은 전부 사라지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건물 -> 중요한 메뉴입니다. 자기 행성에 필요한 건물을 지을 수 있습니다.

테크가 모자라서 아직 지을 수 없는 건물은 나오지 않습니다.

각종 생산 건물과, 연구용 건물, 저장 창고등 행성의 발전에 필요한 모든 건물을 여기서 건설합니다.

모든 건물은 렙1당 1의 필드를 추가로 소비합 니다. 행성 필드가 다 차면 더이상 건물을 올릴 수 없습니다만,

테라포머라는 기술을 통해 약간은 필드를 늘리는 것도 가능합니다.

자원 -> 현재 자원 생산량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자원은 생산 공장(광업소)에서 생산이 되는데,

이 공장을 돌리려면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 에너지가 부족하면, 공장이 제대로

안 돌아가므로 자원 생산량이 줄어듭니다. 되도록이면 충분한(사용량보다 많은)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연구 ->연구소를 지으면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테크가 모자라서 연구를 할 수 없는 항목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연구를 많이 할 수록 더 효율적으로 함대와 행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조선소 -> 함대를 생산합니다. 화물선에서부터, 수확선, 정찰기, 공격 함대등 종류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역시, 테크가 모자라서 생산할 수 없는 항목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특히, 함대중 죽음의 별은 많은 중,저렙의 꿈이기도 하지요.

함대 -> 현재 보유한 함대를 실제로 운용하는 메뉴입니다. 다른행성을 공격하거나, 자원을 운송하거나,

특히, 연합공격 연합방어등의 특수한 임무도 수행할 수 있고요, 정찰, 데브리 수거도 이 메뉴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함대는 파괴당하면 듀테를 제외한 생산 비용의 30%를 데브리로 파편지대에 남깁니다.

(은하 메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가령 함대를 만드는데 메탈 100만, 크리 100만, 듀테 100을 썼다고 하고, 함대가 누군가에 의해 궤멸당했을 때,

메탈 30만, 크리 30만이 데브리로 남고 듀테는 모두 사라집니다.

기술 -> 이곳에는 모든 함대,연구,각종 기술에 대한 상세 정보와 필요한 테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목표에 맞는 테크를 위해 초반에는 수시로 들여다봐야 할 것입니다.

은하 -> 자기행성을 벗어나, 좀 더 머나먼 우주로 뻗어나가려면 항상 주의 해서 관찰해야 하는 메뉴로,

다른 행성의 상태를 이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행성의 주인과, 행성 이름, 주인의 랭킹, 속한 동맹

등을 알 수 있고, 정탐(눈모양 아이콘)이나 메세지(편지모양 아이콘)를 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데브리

상황도 알 수 있습니다. 또 만약 행성 미사일을 가지고 있다면, 은하탭에서 미사일을 발사할 수도 있고,

달에 밀집을 소유하고 있다면, 다른 행성의 함대상황 정탐도 이 은하탭에서 이루어질 것입니다.

참고로, 자기 시스의 은하탭에서, 직접 수치를 입력하거나, 화살표를 눌러서 다른 시스템으로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듀테가 10씩 소비됩니다. 어느정도 성장하면 듀테 10이야 얼마 안되지만, 초보한텐 귀중할

수 있지요. 유의해야겠습니다.

그리고, 특별히 행성정보에서 유의해 볼것이 있는데,

첫째는, 행성뒤에 별표시(*)나 또는 분데이타(n min)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은 행성에 어떤

변화가 일어난 상황을 말해 주는 것으로, *은 어떤 사건이 15분안에 일어났음을 말하며, 이 15분이 지나면

그 뒤부턴 (n min)으로 표시되고 n분 경과라는 뜻이 됩니다. 한 시간 동안 이 정보가 나오고

한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가 사라집니다.

*이 뜨는 조건은 저도 확실히는 모르겠습니다만,

행성 주인이 어떤 액션을 취했을 때, 즉, 함대를 출발 시켰거나, 자원을 소비하여 건물이나 함선을 생산한 경우

*이 뜹니다. 그리고 다른 행성으로부터 정탐이 있었거나 공격을 당한 경우도 역시 *이 뜨죠. 여튼 *이 떠 있다는

것은 15분 안에 무슨 일이 일어났다는 것이죠. 만약 하루종일 *이 떠 있다면 하루종일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 됩니다. ^^;

두번째로 유의해서 봐야 할 정보는, 간혹 행성뒤에 문자가 붙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i나 I 또는 v같은것이

b 문자와 함께, 행성에 하얀 줄이 가있는 경우도 있죠.

i는 7일 이상 접속하지 않은 유저에게 뜨는 표시입니다. 일명 i광이라고 불리며, 장기 비접속자는 접은것으로

보통 간주되어, 많은 사람들의 밥(?)이 됩니다. 주인이 한번이라도 접속하면 이 i자 표시는 사라집니다.

혹시나 이 사람이 30일 이상 접속하지 않으면, i가 대문자 I로 바뀌고, 이때부터는 go가 임의로 행성을 삭제하게

됩니다. 이 행성이 언제 삭제되느냐는 go의 맘입니다. 고로 I가 떠서 사라지기 전에

열심히 자원을 수거해놔야 하겠어요 ^^. v는 휴가모드로, 이 상태에선 해당 유저의 모든 자원 생산이 중지되며,

모든 생산, 함대 운용이 중지되고, 다른 유저는 해당 유저에 대해, 정탐 약탈등을 일체 할 수 없게 됩니다.

장기간 접속 불가할 경우, 그냥 두면 i자가 뜨면서 모든 유저의 공략 대상이 되므로 미리 휴가 모드를 걸어서,

이런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b는 벤인데, 이 행성이름에는 보통 줄이 그어져 있지요. 오겜 규정을 어길 경우, 벤이라고 해서

게임 정지가 됩니다. 생산, 함대 운용을 할 수 없습니다.(경우에 따라 휴가는 가능합니다.)

대신 다른 점은 다른 유저는 해당 유저에 대해, 정탐

또는 공격이 가능하다는 거지요. 꼼짝없이 당하는 겁니다. 고로, 보통 밴을 당하면 휴가를 걸어둡니다만,

무휴가밴이라고 해서, 휴가를 못거는 밴은 정말 꼼짝없이 당하게 됩니다.

고로, 밴에 안걸리도록 항시 규정을 숙지합시다 ^^

방어시설 -> 일명 방시라고 불리우는 방어시설입니다. 행성에 건설하며, 필드수를 먹지않습니다.

같은 자원으로 한쪽은 방시를, 한쪽은 함대를 만든다고 하면, 거의 반드시 방시가 승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효율이 좋고요, 게다가 방시는 한번 깨어져도 70% 확률로 자동 복구가 됩니다. 예를 들어 전투기 200대와

레약 150대가 싸워서 전투기 100대와 레약 100대가 깨졌다고 칩시다. 레약은 70%의 확률로 복구가 되어서,

확률대료 70대가 다시 살아납니다. 물론 전투기는 다시 살아날리 없지요. 결과적으로 레약은 30대가 파괴되어 120대가 남고,

전투기는 파괴되어 100대만 남은거지요. 방시의 효율은 아주 좋다는 것~! 기억하시고요,

참로고 방시는 데브리를 남기지 않습니다. 테크가 모자라서 만들 수 없는 방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조금 특별한 것으로 건물에서 미사일 사일로를 건설하고, 필요한 테크를 맞추면 미사일 계열 생산이 가능합니다.

IPM과 ABM이 그것인데요, IPM은 상대 행성의 방시를 날리는 미사일이며, ABM은 이 IPM을 요격하는 미사일입니다.

참고로 IPM은 상대 IPM도 파괴할 수 있으며 사정거리는 (핵추진 엔진*2-1 시스템) 입니다.



동 맹 -> 소속된 동맹 페이지에 접근합니다. 가진 권한에 따라, 다른 동맹원의 정보(점수, 가입일, 현재 접속상태등)을

볼 수 있고, 또 다른 동맹원들에게 메세지를 보낼 수도 있습니다.

게시판 -> 오겜 게시판으로 넘어갑니다. 여러 규정이나, 다른 이들의 현황, 다양한 정보 및 여론의 방향(?)같은 거시정보도

얻을 수 있습니다. 가끔씩은 들러주는게 좋겠지요. 특히, 자원거래 같은거 할 때는 여기서 신고를 해야 합니다.

사령관 옵션과, 장교의 카지노는 유료 옵션입니다. 여러가지 좋은 혜택들이 있습니다.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순위 -> 현재 1-1500까지의 순위를 볼 수 잇습니다. 순위는 개인/동맹, 점수/연구/함대등의 다양한 항목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의외로 다른 사람의 현 상황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검색 -> 아이디를 이용 다른 유저를 검색합니다.

도우미 -> 응? 뭐지? 왠지 한번도 안써봤군요. 이런게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던거 같네요 -_-;



메세지함 -> 각종 메세지가 보여집니다. 메세지는 유저가 다른 유저에게 보낸거로부터, 위성의 정찰 정보, 관제탑의

공격 결과 정보등등이 나타납니다. 24시간이 지나면 사라집니다.

전략알림 -> 개인 메모장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의외로, 잘 사용하면 좋을 듯 합니다.

전 주로, 스킨 url정보, 나를 공격했던 유저 정보(복수해줄테다), 금광 정보등을 적어두고 참고하면서 겜합니다.

천재가 아니니까요, 잘 적어서 활용하면 아주 유용합니다.

친구목록 -> 친구등록을 하고나면 서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동맹과 같이 여러가지 행동을 함께 할 수 있습니다.

옵션 -> 여러가지 설정을 합니다. 1주일에 한번 자기 아이디도 변경할 수 있고, 비밀주소, 사용하는 메일 주소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행성 표시할 때 정렬 방법을 정할 수도 있고요, 공개된 스킨 주소를 넣으면 멋진 화면속에서

오 게임을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스킨 표시에 표시를 해두어야겠지요.

그외 휴가 모드를 걸거나 계정삭제(계삭)도 여기에서 합니다.

그리고 또 요긴한 정보가 있는데, 무인 정찰기 수 입니다. 은하탭에서 정찰 아이콘(눈모양)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정찰기를 보내는 데, 여기에서 그 숫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기에 3을 써놓으면 은하탭에서 정찰시

자동으로 3대씩 정찰때마다 보냅니다. 아주 유용한 기능이 아닐 수 없습니다.

툴팁 메세지 시간은 각 메뉴 툴팁이 나타나는 시간이며, 메세지 수는, 은하탭에서 정찰기를 띄우는 경우, 그 메세지가

하단에 뜨는데 그 개수를 조절하는 겁니다.

로그아웃, 규정은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휴.. 쓰다보니 너무 길어졌군요. 이거... 한번에 다 못쓰겠네요.

일단, 행성정보까지 좀 살펴보고 오늘은 이만 접지요.

일 단 행성정보를 보면(홈 버튼을 누르면 나오죠).

행성 이름, 메세지(있다면), 시간, 함대 정보(나의 함대 상황, 나를 공격하는 함대 상황<-나를 공격하는 함대 상황은

나중에 정찰 부분 설명할 일이 있을 때 좀 더 자세히 다루겠음)등이 있고, 행성 사진이 있은 후,

기본 정보가 나옵니다. 하나씩 보면,

행성 크기 -> 행성 크기는 필드수와 직접 연관이 있습니다. 행성이 작아서 필드가 얼마 없는 경우,

건물을 짓다보면 어느새 필드를 다 써버려서 필드가 모자라 건물을 못세우는 상황이 올 수도 있습니다.

본성은 필드수가 163으로 고정되어 있고요, 나머지는 랜덤으로 적용됩니다. 하지만 이것이 또 각 위치마다

행성 필드수 나오는 확률이 다릅니다.

이것도 다음에 좀 더 설명을 하지요. 여튼, 기본적으로 필드수가 큰게 좋겠지요.

온도 -> 온도는 뭐에 쓰일까요? ㅋ 요건 2가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 가지는 태양광 인공위성의 에너지 생산량,

그리고 또 한가지는 듀테 생산량입니다.

온도가 올라갈 수록 태양광의 에너지 생산량은 증가하고(최대값은 50입니다.) 듀테 생산량은 감소합니다,

반대로 온도가 내려갈수록 태양광 에너지의 생산량은 감소하고, 듀테 생산량은 증가합니다.

온도는 중앙에 가까운 1번이 가장 높고 점점 시스템 바깥쪽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15번 행성이 최저가 됩니다.

온도에 따른 생산량 변화는

(행성최대온도/4)+20 ,

이며, 듀테륨은 제가 비교해보니, 4번과 15번에서, 4번이 듀테륨 생산 레벨을 2높이면 15번 행성의 생산량을

따라 잡게 되는듯 합니다. 즉 4번의 20레벨짜리 듀테 생산소는 15번의 18과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고 보면 될듯합니다.

좌표 -> 현재 행성의 좌표입니다.

점수/등수 -> 자신의 점수와, 서버를 이용하는 총 인원수 및 그 가운데 자기 등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1500등 안쪽에 있다면 순위메뉴를 눌러서 자기 이름을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랭킹은 점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점수는 1000점을 소비할 때마다 1씩 오릅니다. 소비한다는 것은 뭔가 생산을 한다는 것으로, 건물을 올리거나,

함대를 생산하거나, 연구를 하거나, 심지어 방어시설을 만들어도 점수가 오릅니다. 무엇이든 생산적인 일에 쓰이면

점수가 오릅니다. 그냥 많이 자원을 가지고 있어서는 점수가 안오르고 반드시 무언가에 투가가 되야 점수가 오릅니다.

반대로 자원을 날리면 점수가 떨어지기도 합니다. 지었던 건물을 부셨거나, 함대나 방시가 파괴당한 경우가 해당되죠.

잘 키우던 식민지를 파괴하면 한번에 엄청난 점수가 떨어지는 거지요. 또 전 함대가 단번에 갈려도 엄청난 점수 손실이

있을겁니다.

여튼 오겜은 더욱 랭커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점수관리를 잘 해야 할겁니다.

특별히 점수에 대해서는 광업소나, 연구는 자기가 파괴하지 않는 이상 아무리 공격이 많이 와도 변동이 없기 때문에

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반면 방시나 함대는 파괴됨에 따라 점수도 내려가지요. 고로 점수를 안정적으로 올리려면,

광업소나 건물들에, 그리고 연구에 투자하는게 더 이익이 됩니다.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