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에로우 MYPI

실버에로우
접속 : 4382   Lv. 55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8 명
  • 전체 : 99007 명
  • Mypi Ver. 0.3.1 β
[Diyworld2.5] 오게임 초보 지식백서 - 2 (기본발전) (1) 2010/04/06 AM 02:18
1. 행성 발전 초기 빌드

보통 일반적으로 어느정도 자원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초반 건물 빌드가 있습니다. 여러가지가 나온걸로 아는데,

제가 쓰는 걸로 소개해 드립니다. 주로 스페인 빌드라고 소개되고 있는거 같은데(스페인 서버에서 사용하는 빌드라서

스페인 빌드랍니다. 주로 그 빌드를 기본으로 해서 변형된 형태가 여럿 존재합니다.)

1.) 태양열 발전소(Level 1 )
2.) 메탈 광업소 (Level 1 )
3.) 메탈 광업소 (Level 2 )
4.) 태양열 발전소(Level 2 )
5.) 메탈 광업소 (Level 3 )
6.) 크리스탈 광업소 (Level 1 ) [70% 하향조정]
7.) 태양열 발전소(Level 3 ) [크리 100% 원복]
8.) 메탈 광업소 (Level 4 )
9.) 태양열 발전소 (Level 4 )
10.) 메탈 광업소 (Level 5 )
11.) 크리스탈 광업소 (Level 2 )
12.) 크리스탈 광업소 (Level 3 ) [90% 하향조정]
13.) 태양열 발전소 (Level 5 ) [크리 100% 원복]
14.) 듀테륨 중수소 (Level 1 )
15.) 크리스탈 광업소 (Level 4 ) [에너지 -1이지만 지장없음]
16.) 태양열 발전소 (Level 6 )
17.) 메탈 광업소 (Level 6 )
18.) 메탈 광업소 (Level 7 ) [메탈 90% 하향조정]
19.) 태양열 발전소 (Level 7 ) [메탈 100% 원복]
20.) 크리스탈 광업소 (Level 5 )
21.) 듀테륨 중수소 (Level 2 )
22.) 태양열 발전소 (Level 8 )
23.) 듀테륨 중수소 (Level 3 )
24.) 듀테륨 중수소 (Level 4 )
25.) 듀테륨 중수소 (Level 5 ) [80%로 하향조정(-3)]
26.) 로봇 공장 (Level 1 )
27.) 연구소 (Level 1 )
28.) 로봇 공장 (Level 2 )
29.) 에너지 공학 (Level 1 )
30.) 쉽야드 (Level 1 )
31.) 태양열 발전소 (Level 9 ) [듀테 100% 원복]
32.) 연소 엔진 (Level 1 ) [전투기 생산가능]
33.) 크리스탈 광업소 (Level 6 )
34.) 쉽야드 (Level 2 )
35.) 듀테륨 중수소 (Level 6 ) [80%로 하향조정]
36.) 연소 엔진 (Level 2 ) [카고(소) 생산가능]
37.) 태양열 발전소 (Level 10 )
38.) 연구소 (Level 2 )
39.) 메탈 광업소 (Level 8 )
40.) 태양열 발전소 (Level 11 ) [듀테 100% 원복]
41.) 메탈 광업소 (Level 9 )
42.) 연구소 (Level 3 )
43.) 정탐 기술 (Level 1 )
44.) 컴퓨터 공학 (Level 1 )
45.) 정탐 기술 (Level 2 )
46.) 크리스탈 광업소 (Level 7 )
47.) 태양열 발전소 (Level 12)
48.) 메탈 광업소 (Level 10)
49.) 듀테륨 중수소 (Level 7 )
50.) 쉽야드 (Level 3 )
51.) 에너지 공학 (Level 2 )
52.) 연소엔진 (Level 3 ) [정찰위성 생산가능]



이 빌드가 정확하게 딱 떨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일단 본성 위주 빌드이고 마지막까지 다 하시면 정찰위성 생산까지 가능해지지요.



이 후에는, 주변 i광 위주로 수거하시면서 발전을 하시되, 단기 목표들을 정하시고 그것을 향해 빌드나, 테크를 올리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본성인 경우는, 이후 광업소를 메탈 10, 크리 13, 듀테 10 을 향해 가시는게 좋구요,

본성이 아닌경우(본성이라도 상황에 따라서) 13, 13, 10을 향해 가는게좋겠지요.

가능하면 핵융합은 세우시지 않기를 추천드리고 세우시려면 당신의 점수/랭킹에 상관없이 8이상 올리지 않는걸 추천합니다.



광업 소를 저렇게 목표로 하시라고 하는 이유는, 이민선 개발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듀테와 크리가 많이 들어갑니다.

아래쪽에서 한 번 더 얘기해 보구요, 다음으로 넘어가죠~





2. 성장의 원동력~ 나도 한 번 털어보자

만약 여러분이 제가 위에 쓴 빌드대로 가시는 경우(뭐 그렇지 않더라도),

연소엔진이 2만 되면, 카르고를 생산할 수 있게 됩니다.(전투기는 더 빨리 생산할 수 있지요)

보통 이런 경우 요고요고 한 번 써보고 싶어서 간질간질 할 것입니다. (-_-;)

하지만, 전투기든 카르고든 아직 생산하지 마시고 더 기다리셨다가

정탐 위성이 나오면 본격적으로 주변 털이를 하세요.



요새는 i광이라도 방시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카르고 1,2기는 행성에 도착하는 즉시 먼지로 변해버릴 수도 있어요. 초반 카르고 1-2기는 중요하죠.



물론 정탐시, 위성이 격추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단 카르고보다 싸니까요, 훨씬 효율적입니다.



정탐을 하는 방법은 일단 왼쪽 메뉴에서 은하라고 쓰여있는 메뉴를 눌러서 은하정보 페이지를 엽니다.

(* 주의 : 1편에서 말씀드렸듯이, 은하 정보 페이지는 최초 본인의 페이지 외에는 한 페이지씩 넘겨볼때마다 듀테가 10씩 소모됩니다.)



은하 정보 페이지에는 다른 사람의 행성 정보가 있습니다. 몇 번 자리에 누가 있는지, 아이디, 행성 이름,

데브리 현황, 달의 유무, 동맹 현황등을 알 수 있습니다. 아이디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랭킹도 나오지요



그리고, 기능버튼이 있는데 정탐, 메세지, 친구등록, 미사일 발사(ipm이 있고, 사정거리 안이라면) 등이 있습니다.

만약 밀집센서가 건설된 달에서 밀집범위 안의 은하 탭을 열었다면 행성의 함대 이동상황도 알 수 있습니다.



이 곳에서 광산의 정보를 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행성의 움직임이나 상태정보를 알려주는 약어들은 1편에서

서술했으므로, 생략하고요. 일단 소문자 i가 뜬 것부터 정탐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정탐 방법은 함대 탭을 열어서 정탐위성을 선택하고 행성 위치 찍고, 정탐 행동을 선택해서 보낼 수도 있겠습니다만,

간단하게 은하 탭에서 해당 행성 옆에 정탐 버튼을 누르면 정찰기가 알아서 출발합니다.

(정찰기 갯수는 1편에서 말씀드린거 처럼 옵션에서 조절가능합니다. 또 정찰기가 출발하면 은하 페이지 하단에

정찰기가 출발했다는 메세지가 뜹니다.)



정찰이 끝나면 해당 정보는 메세지 함으로 들어옵니다.



이렇게 정찰을 해봐서 방어함대나, 방어시설이 없고, 자원이 있으면 처들어 가는 겁니다 :-)

(* 주의 : 방어시설이나 함대가 안보인다고 무조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상대방과의 정탐 레벨 차이에 따라서 상대 정보중에 볼 수 잇는 것과 없는 것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찰 정보에서 상대 함대와 방어시설을 표시하는 부분은 있는데 내용이 없으면 진짜 없는 것이고,

아예 함대와 방어시설을 표시하는 부분이 안나오는(즉, 자원 정보만 딸랑 있는...) 정보라면 실제로는

엄청난 함대와 방시가 있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정탐랩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2가지 대안이 있는데, 한 가지는 정찰 위성 대수를 늘리는 것, 나머지 한 가지는 정탐기술연구로 정탐레벨을

올리는 것입니다. 물론 정찰 위성 대수를 늘리는게 훨씬 빠른 결과를 가져옵니다만,

정찰 위성 대수가 올라갈 수록 정찰 위성 제거 확률도 늘어난다는 것도 알아 두세요.



* 참고 자료 : 정탐 레벨에 따른 상황 정리~ 들어갑니다.(제가 만든게 아니고 구스타프님이라는 분이 제작한거에요)




- 막간 정보 n쉴드, s쉴드

1편에서도 어느정도 설명을 했지만, n쉴드는 자기보다 점수가 5배 이하인 사람을 공격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s쉴드는 자기보다 점수가 5배 이상인 사람을 공격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내가 5000점일 경우 이론상으로 1000점 아래인 사람과, 25000점 이상인 사람은 공격하지 못하는 겁니다.

하지만 이 쉴드는 5000점을 기준으로 사라집니다. 즉, 내가 5만점일때 1만점이하는 공격하지 못하는 것입니다만,

1만점인 유저는 이미 5000점을 넘어서서 쉴드효과가 사라졌으므로 공격이 가능한 것이지요.

따라 서 5000점 이전까지 n쉴드는 강력한 보호막이 됩니다.(n,s쉴드가 되면 정탐, 공격이 불가합니다. 운송은 가능합니다.)

3. 진정한 성장은 이제부터~! 확장을 도모하자, 식민지 개척!

이 제 광업소도 어느정도 올라가고 광산 털이도 조금씩 돌아가기 시작한다면, 확장을 도모해야 합니다.

확장은 이민선을 제작하여 이민을 보내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초반 치고는 생각보다 자원이 많이 들어갑니다. 일단 테크부터 쉽지 않고요~ (핵추진 엔진3의 압박)

이민선 자체도 메탈 1만, 크리 2만, 듀테 1만으로 특히 크리와 듀테의 압박이 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000점이 되기 전에 식민지 작업을 끝내는 것을 추천합니다.

강력한 n쉴드가 고랭으로부터 당신을 지켜줄 때에 미리 식민지를 확장해서, 발판을 마련하시는 거죠.

본성 하나만 가지고는 어느정도 레벨이 올라가더라도 이민선을 제작하면서 다른 활동을 같이 하려면 아무래도 자원이

쌓일 수 박에 없고, 결국 자원 모으기가 더 힘들어지지요.

그리고 식민지가 완성되면 자원 생산력이 엄청나게 올라가기 때문에 점수가 눈에 띄게 올라갑니다. 행동반경도 넓어지겠지요.

여튼, 가능하다면 식민지를 빨리 세우는게 훨씬 성장이 빠릅니다. 가질 수 있는 행성의 총 수는 9개이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메탈의 경우에서 40렙 광산 한개랑, 26렙 광산 9개를 생각해봅시다.

메탈 광산 렙이 40인 경우(ㅎㄷㄷㄷ~) 시간당 생산량이 54311입니다.

그리고 그보다 14개단이 낮은 26렙의 메탈 광산의 경우 시간당 생산량이 9296입니다.

물론 굉장히 낮습니다만, 9개 행성에서의 생산량은 83664를 생산하게 됩니다.

(무조건 캐려 가야 합니다 버전~) 무조건 식민지 가야 합니다~


식민지 준비를 하는 시기는, 보통 점수로는 1300 ~ 1500이 되면 슬슬 시작하는게 일반적입니다만,

저 같은 경우는 광업소가 10,13,10 (또는 13,13,10)을 하고 나면 준비 시작하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식민지 계획은 대략적인 식민지의 위치와 최소 필드를 정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식민지의 위치는 최대한 자기 상황과 능력에 맞추어서 각자 하시면 되는 것으로 정석은 없습니다만,

일단 적어도 행성을 두실때는 최소 같은시스에 2개 이상 뭉쳐 두시는 것이 좋고요,

몇 시스 떨어진 곳에 행성을 두는 것보다는 차라리, 몇 갤럭시 떨어진 곳에 행성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 공식은 이것인데요,

행성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관리는 쉬워지고(한번에 다 털릴 수 있다^^)

행성간 거리가 멀수록 행동반경이 넓어진다(여러사람한테 골고루 털릴 수 있다^^)

한 시스에 있는(가장 가까운 거리) 행성들끼리 지원으로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각 행성군(제법 거리가 있는)마다 각각의 행동반경을 가지게 하는 것입니다.

기본 적으로 추천하는 형태는 2-3개정도로 분산 해서 행성을 배치 하는 것입니다.

일단 본성이 있는 시스에 2-3개정도 식민지를 건설하고(자리다툼이 치열한 지역은 쉽지 않습니다.

차라리 다른 곳 개발을 먼저 하시면서 기회를 보시다가 자리가 나면 언능 먹는 방법으로 가셔야 할겁니다.)

그 후에 다른 갤럭시들에 식민 개발을 합니다.

먼 거리로 가는 경우 듀테가 꽤 들어서 조금 어려우실수도 있지만,

먼 갤럭시로 갈 수록 행동 반경이 넓어지게 됩니다. 어차피 후반에는 함대를 운용할 확률이 높아질텐데,

나중에는 달을 만들어서 지하철(게이트웨이)을 뚫으면 먼 행성끼리도 순식간에 함대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식민지 위치에 따라 우주를 누빌 수 있는 공간적 환경이 달라집니다. 잘 계획해서 움직이시기 바랍니다.

저 같은 경우는 1갤의 한 시스, 그리고 외우주(7,8,9갤을 그렇게 부르는듯합니다 ㅋ ^^)에서 한 시스를 골라서

2개의 시스에서 행성을 키우고 있지요. 그냥 참고만 ^^

필드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160 이상은 되야 쓸만합니다. 단지 자원수급용으로만 하더라도 160이상은 되야 하므로,

전진기지가 아닌 이상은 160이하로 나오면 부수고 언능 다시 시도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그리고 160정도면 기본 자원수급용으로 좀 더 발전을 하려면, 연구소, 창고등을 더 지어야 하므로

200 이상 되는 주력 행성을 2-3개정도 확보하면 아주 좋지요.

전 행성이 180이상에 200이상 2개정도 가지고 있다면 아주 이상적이라고 할만 합니다.

행성은 한번 부수면 그 자리에 파괴된 행성이라는 표시가 되고, 약 이틀정도 유지되며 그 동안은

다시 그 자리에 식민지를 지을 수 없습니다. 보통 이틀이 지나고 오전 10시경에 표시가 사라집니다.

그 위치를 노리는 거라면 고 시간대를 잘 살펴서 언능 이민선을 날려도 되리라 봅니다.

참 고로 외우주로 이민선을 보내는 경우, 자원적재공간보다 더 많은 듀테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이민선의 속도를 줄여서 듀테 소모를 줄이거나, 카르고 한대를 붙여서 같이 보내면 됩니다.

(카르고는 다시 돌아오고 이민선은 식민을 하지요)

식민지 시스가 정해진 후에는 번호 선택도 중요한데요.

1-15번까지의 각 위치모다 조금씩 특색이 있습니다.

일단, 각 위치마다 필드가 뜨는 확률이 다르고요, 두번째로는 위치마다 행성 온도가 다릅니다.

일 단 식민지 필드 확률은~

1~3번 위치:80%확률로 40~70개 필드(55+/-15)
4~6번 위치:80%확률로 120~310개 필드(215+/-95)
4번 : 평균 173 / 60% 확률에서 108~238
5번 : 평균 167 / 60% 확률에서 95~239
6번 : 평균 155 / 60% 확률에서 82~228
7~9번 위치:80%확률로 105~195개 필드(150+/-45)
7번 : 평균 144 / 60% 확률에서 116~173
8번 : 평균 150 / 60% 확률에서 123~177
9번 : 평균 159 / 60% 확률에서 129~188
10~12번 위치:80%확률로 75~125개 필드(100+/-25)
13~15 번 위치:80%확률로 60~190개 필드(125+/-65)

이 렇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4-6번이 300필드를 바라보는 대박 노림 필드에 좋고(대신 쪽박도 많이 나옴),

7-9번이 안정적 정착 필드를 원할 때 좋아서, 보통 4-9번이 가장 추천됩니다.

온 도는, 1번이 가장 높고 멀어질수록 점점 낮아져서 15번이 가장 낮습니다.

이 온도는 2가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태양열 인공위성과, 듀테 생산량입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태양열 인공위성이 생산하는 에너지가 많아지고, 대신 듀테 생산량은 줄어듭니다.

반대로,

온도가 낮을수록, 태양열 인공위성이 생산하는 에너지가 줄어들고, 대신 듀테 생산량이 줄어듭니다.

제 경우에서 4번 행성과 15번 행성을 비교해보면,

인공위성의 경우 4번은 1기에 36, 15번은 8을 생산합니다.

즉 같은 에너지 생산을 위해 15번 행성은 4번보다 4배 이상의 위성이 필요하다는 말이 되겠죠.

듀테 광산은 역시 4번과 15번을 비교해보면, 약 2렙차이정도가 됩니다.

무 슨 말이냐 하면 4번에서 15번보다 듀테광산렙을 2렙 더 올리면 비슷해집니다.

(2레벨 더 올린 4번의 생산량이 약간 더 많아집니다.)

신고

 

실버에로우    친구신청

참고로 쉽야드=조선소//카고(카르고)=화물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