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eDiff MYPI

GameDiff
접속 : 921   Lv. 15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256 명
  • 전체 : 173483 명
  • Mypi Ver. 0.3.1 β
[게임 클리어 현황] 2022년 출시게임 23종 엔딩 비율 총정리 (2) 2023/01/03 PM 12:45


2022년 출시 게임 중 23개를 추려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출시 순서대로 아래 차트로 정리하였습니다. ps5 기준으로 정리했으며, 개별 출시일이나 기준 등 세부 내용은 위 링크 글에서 확인해 주세요.


아래에서 검은 선은 멀티 엔딩 게임을 의미합니다. 여러 엔딩 중 가장 높은 엔딩 값을 넣긴 했는데, 실제로는 더 높겠네요.




dn/cMRBqk/btrU3aUDh8w/jTVv8zRwcJiSTgWjC1W3c1/img.png


*스토리 중심 게임의 높은 클리어율

- 쿼리, 레퀴엠 이 두 게임은 엔딩 비율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렇다고 게임이 엄청 대단하다고 하기는 좀 그런 게 이런 스토리 중심 게임은 대체로 엔딩을 보는 비율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냥 장르적 특성이라고 봐야겠죠.


*갓옵워와 라오어1

- 어떻게 보면 울궈먹기 인데 역시나 명작은 명작인 만큼 많은 사람들이 끝까지 플레이하네요.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

- 오픈 월드 게임에 31.6% 엔딩이면 나쁘지 않은 것 같긴한데, 전작인 제로 던이 아예 무료로 풀렸는데도 32%라서 조금 아쉬운 결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엘든 링

- 별의 세기 엔딩이 저 정도인데, 막보 직전인 호라루 수치가 35.8%라서 어지간하면 35%, 적어도 한 33% 정도는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픈월드에 플탐도 길기 때문에 정말 대단한거죠. 괜히 작년이 엘든링의 해라고 하는 게 아닌 것 같습니다.


*페르소나 5 로얄

- 15.5% 밖에 안되지만 플탐이 무려 102시간입니다. 플레이타임으로 시간 당 이탈률을 보면 이 게임이 제일 낮습니다.


*갓옵워 라그나로크

- 엔딩만 보면 나쁘지 않은데 아직 출시 초기라 팬들의 비중이 더 높다고 가정하면 좀 아쉬워 보입니다. 전작은, 지금은 좀 더 떨어졌지만 플러스 무료로 풀리고도 한동안 거의 50%에 육박했었거든요.


*이블 웨스트

- 나름 초기 반응은 나쁘지 않았던 것 같은데(기대보다는요), 엔딩은 많이 안 보네요.


*칼리스토 프로토콜

- 의외로 엔딩을 꽤나 많이 봤습니다. 좋게 해석하면, 그래도 끝까지 할만했다라고 여긴 사람이 꽤 된다는 얘기고, 나쁘게 해석하면 바하 같은 비슷한 장르 게임이 50% 넘는 거에 비하면 안 좋은 결과기도 하고 판매량이 낮아서 호러 매니아만 몰렸는데도 저정도다 라고 얘기할 수도 있겠네요.



------------------------------------




dn/bhU300/btrU56EoL8Q/Gy5HBv2jzfmGUklQ5AR2W1/img.png

엔딩까지의 이탈률을 플레이타임으로 나눠서 시간당 이탈률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 봤습니다. 엔딩 비율 높은 순 정렬입니다.


사실 실제 게임은 초반에 많이 빠지고 후반은 덜빠지는 식이기 때문에 이런 것보다는 초반 이탈률이 어떻게 되느냐가 더 중요하긴 한데 모든 게임을 확인해 볼 수 없어서 단순하게 했습니다. 크게 의미가 있다기보다는 수치가 낮을수록 플레이타임 대비 엔딩 본 비율이 높다 정도로 봐주세요.


시간 당 이라는 말이 맞는지도 잘 모르겠네요. 음.. 뭐 첨 해봤으니까 일단 이렇게 해보겠습니다.



*엘든 링

- 긴 플탐에도 불구하고 시간 당 이탈률은 낮습니다.


*페르소나 5 로얄

- 엔딩 비율은 상당히 낮은데 어마어마한 플탐 덥구에 시간당 이탈률은 제일 낮네요.


*소울 해커즈 2

- 엔딩 꼴지인 애가 시간 당 이탈률로 보면 꽤나 낮습니다. 대중성은 없지만 열성팬층은 있다고 봐야할까요? 아니면 그냥 이렇게 계산 하는게 이상한건가?


*스트레이 / 티메시아

- 얘네는 플탐이 많이 짧아서 이렇게 나왔네요.


*모던 워페어 2

- 얘는 싱글 엔딩이 의미 있는 게임이 아니니 높다고 이상하다고 하긴 좀 그렇습니다.



시간 당 이탈률이 의미 있어 보이는 게임도 있고 아닌 게임도 있다보니 저걸 그냥 낮다고 무조건 좋다고 보긴 좀 힘들긴 합니다. 소울 해커즈 2 같은 게 특히 더 그러네요. 개별 게임의 특성을 알고 본다면 의미있는 것들만 추려낼 수도 있을 것 같기도 한데.. 사실 초반 이탈률만 모아서 비교하는게 더 의미있을 것 같긴 합니다. 굳이 엔딩까지 안 보고도 어느 정도 플레이하면 만족을 느끼고 그만 둘 수도 있는 것이니 말입니다.


여튼 작년은 엘든 링의 해였다, 대중성도 확실히 잡았다 이런 결론은 내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신고

 

Lucky Star    친구신청

와우, 게임이 재밌다 재미없다 판단할때 이런 수치를 참고할 수 있겠네요

GameDiff    친구신청

게임마다 의미 없는 애들도 있긴 하던데, 그냥 재미삼아 보면 흥미롭긴 해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