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gedian MYPI

Tragedian
접속 : 4943   Lv. 5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76 명
  • 전체 : 200824 명
  • Mypi Ver. 0.3.1 β
[잡설] 영어 번역 좀 봐주세요. (5) 2013/06/06 PM 11:42
The World of S?leyman the Magnificent


Near the Hungrian town of Szigetvar, a road sign caught my eye: "Szulim?n."
Szigetvar의 Hungrian 마을읜 근처에서, 한 도료표지가 나의 눈을 사로잡았다: "Szulim?n."
It was a dying village, the young having moved away, the old hanging on.
이곳은 죽어가는(망해가는) 마을이었고, 젊은이들은 떠나가 버렸고, 늙은이들은 버티고 있는 곳이었다.

"It was named for a sultan who came long ago," a man in his garden told me.
"오래전에 이곳에 왔던 술탄의 이름을 따라서 지어졌다." 정원 안의 남자가 내게 말했다.

"What did he do here?"
“그가 여기에서 무엇을 했습니까?”

"I heard that he died here," a woman said, the lines of many years etching her face.
“나는 그가 여기서 죽었다고 물었다.” 그녀의 얼굴을 선 긋는 많은 세월의 선이 있는 한 여인이 말했다,
"The old folks would know. But they are all dead now."
“구전은 그렇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은 모두 이제 죽었다.”

My curiosity led me finally to a churchyard amid cornfields in the nearby countryside.
나의 호기심은 나를 마침내 가까운 시골 안의 옥수수 밭 안의 교회 경내로 이끌었다.
A church without a village must mark some special spot.
마을이 없는 교회는 어떤 특별한 장소를 상징하는 것이 틀림없다.
I went through the gate, past a large crucifix, and on the church facade saw an Ottoman Turkish ins!cripion.
나는 그 문, 과거에 거대한 십자가를 통과했고 교회 정면에서한 Ottoman Turkish ins!cripion을 보았다.
A crescent stood by the wall, bathed in the light of the setting sun.
한 초승달은 벽에 서있었고, 오르는 태양의 빛으로 적셔졌다.


I was at this site, I read, that was buried the heart of Sultan S?leyman.
나는 Sultan S?leyman의 심장이 묻힌 장소에 있었고, 나는 읽었다.


The Lord of Lords
왕 중의 왕

The 16th century was an age notable for the overlapping reigns of giant historical figures: Spanish Emperor Charles V, protector of the Christian Church; his rival Francis I, King of France; Henry VIII of England; Ian the Terrible, all-powerful ruler of the Russian empire.
16세기는 거대한 역사적인 인물들의 중복되는 지배가 두드러지는 시대였다: 스페인의 황제, Christian Church의 수호자, Charles V; 그의 라이벌, 프랑스의 왕, Francis I; 영국의 Henry VIII, 러시아 제국의 전능적인 Ian the Terrible.


Yet, even among this hierarchy of great leaders, one ruler arguably stood taller than the rest: S?leyman, Commander of the Faithful, Shadow of God on Earth, Protector of the Holy Cities of Mecca, Medina, and Jerusalem, Lord of the Lords of the World, East and West.
그러나, 위대한 지도자들의 서열 중에서도 조차, 한 지배가가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나머지들 보다 더 높게 서있었다: 신자들의 지휘자, 땅 위의 신의 그림자, Mecca, Medina, 그리고 Jerusalem의 Holy Cities의 수호자, 세계, 동서의 왕 중의 왕인 S?leyman이다.

Revered by his people as "Kanuni," the Lawgiver, and feared and admired by the West as "the Magnificent," S?leyman brought the Ottoman Empire to the peak of its power.
그의 사람들에게 "Kanuni", 입법자로서 숭배받고 서양 사람들에게 “the Magnificent”로서 경외 받으면서, S?leyman은 Ottoman Empire을 제국의 권력의 정점으로 이끌었다.


S?leyman was born at a time of world war, of East against West, with two superpowers locked in mortal conflict on the lands and seas of three continents.
S?leyman은 세 개의 대륙의 땅과 바다 위의 치명적인 갈등에서 묶인 두 개의 강대한 힘, 동 대 서의 일차세계대전의 시대에서 태어났다.
Time and again, Christian and Muslim forces clashed in the seas around the Indian Ocean, the Red Sea, and the Mediterranean, and on land in Europe from Turkey to Austria.
되풀이해서, 기독교와 무슬림의 힘들은 인도양, 홍해, 그리고 지중해의 바다에서 그리고 터키에서 오스트리아로 향하는 유럽의 당에서 부딪쳤다.


Away from what the Ottomans called the Realm of War, the frontier against their unholy enemies, was the Realm of Peace, where races and religions coexisted with the sultan acting as a great mediator of peoples.
오스만 제국 사람들이 그들의 신성하지 않은 적들에 대항하는 국경인 the Realm of War 라고 부르는 것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인종과 종교가 위대한 사람들의 중재자로서 수행하는 sultan와 함께 공존하는 the Realm of Peace가 있다.
At its heart was Constantinople (present-day Istanbul), a cosmopolitan crossroads of continents that grew so large no other European capital overtook it until the start of the 19th century.
그곳의 중심에 19세기의 시작까지 너무 크게 자라서 어떤 다른 유럽의 수도가 그곳을 무시하지 못하는, 대륙들의 전 세계에 걸친 교차로, Constantinople(오늘날의 Istanbul)이 있다.


It was S?leyman's great-grandfather, Mehmed the Conqueror, who turned Constantinople into the greatest of all European cities.
Constantinople을 모든 유럽의 도시 중 가장 큰 곳으로 바꾼 Mehmed the Conqueror는 S?leyman의 증조부였다.
Mehmed was a descendant of nomadic tribesmen from central Asia who became followers of Osman, the first Ottoman sultan, in the 13th century.
Mehmed는 13세기에 첫 번째 Ottoman sultan인 Osman I세의 지지자들이 되었던 중앙아시아에서 온 유목 민족의 후손이었다.
From these humble origins, Mehmed rose in power, carrying the banner of Islam in a series of conquests through Serbia, Greece, and Eastern Europe; only his death in 1481 prevented him from pressing the conquest of Italy and taking Rhodes, the last Christian stronghold in the east
이러한 비천한 기원에서, Mehmed은 권력이 강해지고, Serbia, Greece, 그리고 Eastern Europe을 통과하여 일련의 정복에서 Islam의 깃발을 옮겼다; 오직 1481년에의 그의 죽음만이 그를 Italy의 정복의 압박과 동쪽의 마지막 기독교의 요새인 Rhodes을 취하는 것을 막았다.


----------------------------------------------------------------------------------------------------
아... 이제까지 번역 중 가장 어려운 번역이었어요;;;
이렇게 어려운 경우는 처음이었어요;;
틀린 부분이 많은데... 확인 좀 해주시면 안될까요??

신고

 

힐더    친구신청

the lines of many years etching her face '살아온 세월이 느껴지는 얼굴' 정도 될라나 하여튼 얼굴에 주름보인다는 거네요
The old folks would know '나이 많은 사람들은 알지도'

IncomeCountry    친구신청

the Hungrian town of Szigetvar에서 of는 동격일 겁니다. ex) City of Seoul
=> Szigetvar라는 헝가리인 마을

문체 문제도 있고 하나하나 설명하기 까탈스러우니까 여긴 그냥 해버렸으요 :

"마을 이름은 옛날에 이곳에 왔던 술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죠."
자기 집 마당에 서있던 남자가 이렇게 말했다.

"그가 여기서 어떤 일을 했습니까?"

"그분이 여기서 돌아가셨다고 들었다우," 얼굴에 많은 세월의 굴곡이 패여있는 한 여자가 말했다.
"노친네들이야 알겠지만, 그분들도 이제 다 돌아가셨지."

IncomeCountry    친구신청

나의 호기심은 ~ 이끌었다 = 호기심에 이끌려 나는 ~ 들어섰다.
: 원문에선 My curiosity를 강조하려고 앞으로 뺀 건데,
전후 문맥에서 My curiosity가 중요한 키워드가 아닌 이상 굳이 직역하기보단,
한글에서도 저렇게 똑같이 앞으로 빼주기만 해도 소기의 목적이 달성될 듯.
(그러고 나면 문장이 매끄럽게 나오게끔 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본거죠.)

past a large crucifix = past는 '과거'가 아니라 '~를 지나'.

an Ottoman Turkish ins!cripion. = 오스만 투르크(시대)의 비문(비석 문구) 입니다.
우리말론 매끄럽지 않고, 또 아래 보면 어차피 읽는다는 말이 나오므로
그냥 여기선 '비석'하셨다가 읽는 장면에 가서 '비문을 읽었다'로 땡겨쓰셔도 좋고
아니면 '비문'이라고 해두셔도 되지만, 경우에 따라 한자를 추가하거나 설명이 필요할 듯.

A crescent stood by the wall, bathed in the light of the setting sun.
지는 햇살에 젖은 초승달이, 담장 곁을 지키고 있었다.
<= 직역하면 '(옆에) 기대어 서있었다/버티고 서있었다'도 있겠지만,
stand by가 숙어로 '곁에 (지키고)있어주다' 란 것도 있으므로, 저렇게 함 가봅니다.

I was at this site, I read, that was buried the heart of Sultan S?leyman.
술탄 쉴레이만의 심장이 묻힌 이 곳에서, 나는 (비문을) 읽었다.
: 명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어투의 느낌상 장소에 대한 강조라고 보고 이렇게 갑니다.

IncomeCountry    친구신청

'이만 하면 도망가도 되겠지' 하고 훓어 보다가, 결국 더 하게 됩니다... ㅋ

16세기는 역사적으로 거대한 인물들의 줄을 잇는 지배가 두드러지는 시대였다:
기독교 교회의 수호자인 스페인 황제 찰스 5세, 프랑스의 왕으로 그의 라이벌인 프랜시스1세,
영국의 헨리 8세, 러시아 제국의 전능한 통치자 이반 뇌제.

hierarchy = (이런 경우에는) 계보
one ruler arguably... = 주장하건대 한 지배자가...
Shadow of God on Earth = (지상에) 강림한 신의 그림자
Protector of the Holy Cities of Mecca, Medina, and Jerusalem =
성스러운 도시 메카, 메디나와 예루살렘의 수호자 <- 동격 of

his people = 그의 백성들
the West = 서방 세계(또는 서방 세계인) - 동방의 반대죠
the Magnificent = 장려한 쉴레이만 (위키피디아 - 쉴레이만 대제 참조)

S?leyman was born at a time of world war, of East against West, with two superpowers locked in mortal conflict on the lands and seas of three continents.
쉴레이만은 세 대룩의 땅과 바다를 죽음의 분쟁으로 몰아넣은 두 개의 거대한 힘, 동-서양의 대립이 있던 세계 대전 시기에 태어났다.

Christian and Muslim forces clashed ~= 기독교도와 무슬림의 힘은 ~ 충돌했다.

unholy enemies = 불경한 적들
a great mediator of peoples = 백성들의 위대한 중재자
At its heart was Constantinople ~ 그곳의 중심에 ~~~ 콘스탄티노플이 있었다. <- 과거
a cosmopolitan crossroads of continents = 대륙간의 세계적인 교차로
grew so large no other European capital overtook it until the start of the 19th century.
= 크게 번성하여 19세기초까지는 그 어떤 유럽의 수도들도 이를 능가하지 못할

IncomeCountry    친구신청

It was S?leyman's great-grandfather, Mehmed the Conqueror, ~
= ~, 쉴레이만의 증조부인 정복자 메흐메트 2세였다.

Mehmed was a descendant of nomadic tribesmen from central Asia who became followers of Osman, the first Ottoman sultan, in the 13th century.
메흐메트는 13세기경 오스만 제국의 초대 술탄인 오스만 1세의 추종자가 되었던
중앙 아시아 출신 유목민 부족의 후예였다.

carrying the banner of Islam = 이슬람의 깃발을 들고 진군했다
taking Rhodes, the last Christian stronghold in the east
= 서방의 마지막 기독교 요새인 로즈를 함락시키는 것

- - - - -

훓어보니 대충 된 듯... 이젠 진짜 갑니다 ㅎㅎ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