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겁으로 지은 업장, 한 생각에 없어져라. 죄도 없고 마음 없어 그 자리가 비었으니, 빈 마음 그 자리가 진정한 참회일세”

노란쇼파
접속 : 3712   Lv. 44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49 명
  • 전체 : 274014 명
  • Mypi Ver. 0.3.1 β
[법륜스님 [글]] 법문 '생의 마지막에도 고요하고 한가하셨던 그 분처럼' (0) 2017/10/24 AM 12:27

스님은 부처님의 출생부터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법문 하였습니다. 

 

아래는 법문 중 마지막 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 많은 사람들이 부처님의 열반에 임해서 마지막 인사하러 왔다가 갔어요. 

 

이제 부처님이 고요히 마지막 숨을 거두려 하는 즈음에 120살 먹은 수바드라라는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끙끙대며 왔어요.


‘내가 오늘 들으니 대사문 고타마가 입멸을 한다는데 내가 입멸하기 전에 만나서 물어볼 게 좀 있다.’

 

이 사람은 부처님이 돌아가시든 말든 상관없고 자기 물어볼 게 더 중요했던 거예요.(대중 웃음) 그래서 아난다가 말렸습니다.

 

‘지금은 안 됩니다. 부처님께서 마지막 순간에 편안하게 계실 수 있도록 이제 우리가 자리를 비켜드려야 합니다.’


그래도 이 사람은 막무가내였어요. 그러자 부처님께서 마치 꺼져가는 불꽃이 다시 피어나듯이 말씀하셨습니다.

 

‘아난다여, 그를 들여보내라. 그는 나를 귀찮게 하려고 온 것이 아니라 나에게 물어볼 것이 있어 온 사람이니 들여보내라.’

 

 

 

 

 

 

부처님의 마지막 제자, 수바드라

 

 

 

 

 


그래서 들여보냈더니 이 사람이 장황하게 이야기를 늘어놓는 거예요.

 

‘이 세상에 유명한 종교 지도자나 수행자들이 누구는 이런 주장을 하고, 누구는 저런 주장을 합니다. 

 

그런데 또 반대로 그 사람이 주장한 내용을 이 사람은 저 사람이 틀렸다 그러고,

 

저 사람은 이 사람이 또 틀렸다고 하니, 도대체 누구 말이 맞고 누구 말이 틀린 겁니까? 어느 게 진짜고 어느 게 가짜입니까?’


이렇게 물어서 부처님께서 대답하셨어요.

 

‘나는 그들을 다 잘 안다. 그들을 다 만나도 봤고 대화도 해봤다. 

 

수바드라여, 마음속에 욕심이 있고, 마음속에 분노가 있고, 

 

마음속에 어리석음이 있다면 그 무슨 얘기를 주장해도 거기에는 실다움이 없다. 

 

그러니 수바드라여, 그런 논쟁에 휘말리지 마라. 

 

나는 저 카필라 성에서 출가한 이래 지금까지 50여 년간 부지런히 정진하고 성실하게 살아왔느니라.’

 

이 말씀과 함께 팔정도(八正道), 즉 여덟 가지 바른 도를 설하셨습니다.


‘그들이 무슨 주장을 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그가 사물을 바르게 보느냐[正見], 그가 바른 사유를 하느냐[正思惟], 그가 바른 말을 하느냐[正語], 

 

그가 바른 행동을 하느냐[正業], 그가 바른 생활을 하느냐[正命], 

 

그가 바른 정진을 하느냐[正精進], 그가 바르게 염을 하느냐[正念], 그가 바르게 선정에 드느냐[正定]를 봐야 하느니라. 

 

그가 무슨 얘기를 했고 누가 그것을 반박했느냐는 그렇게 중요한 게 아니다.’

 

이 얘기를 딱 듣자 늙은 수바드라가 깨달았어요. 

 

그래서 ‘부처님의 제자가 되겠습니다’ 하니까 부처님께서 ‘아난다여, 저 수바드라를 출가시켜라’라고 해서 

 

수바드라가 부처님의 마지막 제자가 되었습니다.

 

 

 

 



부처님의 마지막 모습, 부지런히 수행 정진 하라

 

 

 

 

 


그런 뒤에 부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물었습니다.

 

‘나에게 물을 게 있으면 물어보아라. 내가 열반에 든 뒤에 그때 물어볼 걸 못 물어봤다고 후회한들 소용이 없다. 

 

그러니 지금 물을 게 있으면 물어라.’ 아무도 대답이 없었어요. 

 

부처님이 다시 물었습니다.

 

‘물을 게 있으면 물어라. 마치 친구가 친구에게 묻듯이 아무런 부담 갖지 말고 물어라.’

 

또 아무 대답이 없었어요.


세 번째로 또 부처님이 ‘물어라’ 하니까 아난다존자가 말했습니다.

 

‘부처님이시여, 저희들은 아무런 의문이 없습니다. 

 

이미 부처님께서 저희들의 의문에 대해서 다 법을 설하셨고 저희들은 더 이상 의문나는 것이 없습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수행정진 하라. 저 낙숫물이 바위를 뚫듯이’

 

그러고 열반에 드셨습니다.


여기서 여러분들이 이 부처님의 삶, 그 가운데 이 마지막 모습 속에서 무엇을 볼 수 있습니까? 

 

마치 오늘 자고 내일 일어나는 사람처럼, 우리가 말하는 ‘생의 마지막’에도 그 분은 고요했고, 한가했고, 할 일을 다 하셨어요. 

 

우리는 군대만 간다 해도 뭐 대단한 일인 양 난리잖아요. 

 

일하다가 아침에 가면 될 텐데 몇 달 전부터 군대 간다고 술 마시고 난리를 피우고, 시집 간다고 난리를 피우고, 

 

취직했다고 난리를 피우고, 군대 갔다 왔다고 또 난리를 피우고, 졸업했다고 또 난리를 피워요.(대중 웃음) 

 

해외 가는 것도 간다고 며칠씩 난리를 피우고, 갔다 와가지고 또 며칠 난리를 피우는 게 우리 인생이에요.


그런데 부처님께서는 우리가 세속에서 말하는 ‘죽음’에 임해서도 그게 그냥 평범한 일상의 하루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아무것도 없었어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없는 사람한테 ‘죽으면 어디 가느냐?’ 이런 질문을 하는 것 자체가 한심한 얘기란 말이에요.


 

 

 

 

 

 

부처님의 반열반

 

 

 

 

 

 


열반이란 말은 원래 ‘모든 두려움, 번뇌, 괴로움에서 벗어낫다’ 이런 뜻이에요. 

 

모든 괴로움이 소멸됐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저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자 열반에 드셨다’ 이렇게 말해요.


그런데 왜 부처님이 세속 말로 표현해 돌아가시는 걸 또 ‘열반에 드셨다’라고 할까요? 

 

‘열반에 들었다’ 하면 ‘죽었다’라는 말과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지다 보니 

 

‘우리가 열반을 증득하는 게 목표다’ 이러면 ‘죽는 게 목표다’ 하는 뜻인 양 오해가 생겨요.(대중 웃음)


우리가 비록 마음이 모든 경계로부터 자유로워졌다 하더라도, 육신을 갖고 있는 한 시공간의 제약을 받습니다.

 

음식을 안 먹으면 배가 고프고, 몸이 아프기도 하지요. 

 

몸이 아플 뿐이지 그것이 무슨 불안하거나 초조한 건 아니에요. 

 

그러나 어쨌든 몸을 갖고 있는 한은 아픔도 생기고 이러잖아요. 

 

이 몸을 버렸을 때, 즉 명을 다했을 때 이제는 더 이상 배고픔도 없고 병듬도 없어집니다. 

 

그래서 ‘완전한 열반에 들었다’ 이렇게 말해요.


그러면 여러분도 죽으면 완전한 열반일까요?(대중 웃음) 죽어도 윤회하기 때문에 그건 완전한 열반이 아니에요. 

 

그래서 깨달음을 얻으면 ‘열반에 들었다’라고 하고, 부처님의 돌아가심은 ‘완전한 열반’이라고 해서 ‘반열반’이라고 해요. 

 

다시 말해 ‘반열반에 드셨다’라고 합니다. 

 

얼핏 보면 똑같이 ‘열반’이라 쓰지만, 부처님이 돌아가신 것은 

 

‘반열반에 드셨다’라고 하고 깨달음을 얻은 것은 ‘열반에 드셨다’라고 합니다.

 

 

 

 

 

 

 

열반일의 의미는 이렇게

 

 

 

 

 

 

 

자, 이렇게 해서 부처님의 한 생이 끝났습니다. 

 

그 분의 육신은 갔지만 그 분의 깨달음과 진리의 가르침은 2600년이 지난 지금까지 남아

 

전 세계로 널리 전해졌기에 오늘날 우리들도 괴로움이 없는 경지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열려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니 오늘 부처님 열반일을 맞아서 우리가 괴로움이 없는 경지, 열반을 증득하려면 첫째, 부지런히 수행정진 해야 하겠습니다. 

 

두 번째, 이 좋은 법을 나만이 아니라 우리 이웃도 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이 복음을 널리 전해야 하겠습니다.

 

그게 부처님의 평생의 삶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도 그런 다짐을 다시 한 번 하는 오늘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넘나 잼써서 퍼왔습니다.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