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493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853 명
  • 전체 : 1375331 명
  • Mypi Ver. 0.3.1 β
[경제]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521(화) 마감 시황 (0) 2024/05/21 PM 07:33

img/24/05/21/18f9ab6318b2255ed.jpg



img/24/05/21/18f9ab640022255ed.webp


Shout out to 부테린


1. Nvidia(+2.5%) 실적 주간 진입,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면서 변동성 확대. Nvidia는 3월 GTC 2024에서 H100의 후속작으로 새로운 아키텍처 Blackwell GPU 기반 AI칩 B100, B200 공개. 일각에서 하반기 출시될 신제품 대기 수요 때문에 현재 주력 칩인 H100, H200의 주문이 둔화되며 2개 분기 동안 매출 공백화 가능성 제기


2-1. 비트코인은 71K 위로 상승, 이더리움 +20% 가량 급등. 5/23 VanEck, 5/24 ARK 21 Shares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결정 기한. 이더리움은 본인이 가진 디지털 자산을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맡겨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거래 검증 작업에 참여하고 이에 따른 보상으로 디지털자산을 추가로 지급받는 '스테이킹'이 가능. SEC가 이더리움 스테이킹의 특성을 증권으로 판단할 경우 SEC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를 판매하는 행위 자체가 불법이 됨. 이러한 증권성 논란으로 인해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은 낮게 평가되어왔음


2-2. ETF 상장 전에는 S-1(증권신고서)과 19b-4(거래규칙변경신고서)가 모두 승인되어야 하는데 비트코인 승인 당시와는 달리 이더리움 현물 ETF의 경우 S-1 수정 횟수가 거의 없었음. 그런데 어제 Bloomberg Intelligence ETF 애널리스트 Eric Balchunas가 "SEC에서 이더리움 현물 ETF의 19b-4 수정안을 수요일 오전 10시까지 제출하길 원한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을 종전의 25%에서 75%로 높이자 반전 기대감 형성


3-1. 5월 들어 연기금 한국 주식 비중 축소 추세. KOSPI 현물 기준 어제는 -1,522억원, 오늘은 -2,230억원으로 외국인보다 더 많이 순매도. 당연히 시총 1위인 삼성전자(-0.6%)에 매도 집중. 삼전은 뭐가 잘 안되는지 마침 오늘 반도체 사업 총괄 DS부문장 교체 발표


3-2. 또한 연기금은 5/8 상장한 HD현대마린솔루션을 어제까지 누적 1,132,862주(1,685억원, 상장주식수의 2.55%, 상장 직후 유통가능주식의 25%) 순매수하다가 오늘 처음으로 순매도 전환. 현마솔은 어제 -16% 급락한 여파로 KOSPI 시총순위 55위로 하락


4-1. SK하이닉스(+1.0%)는 NAND 2개사 부활 조짐. 하이닉스 장기투자자산에 포함된 KIOXIA 1분기(FY 2023년 4Q) 영업이익 439억엔으로 2022년 3분기(FY 2022년 2Q) 이후 첫 흑자 달성. 분기 NAND 가격이 달러 기준 약 +20% 오르면서 3개 분기 연속 상승, 분기 출하량도 +5~9% 증가했다고 밝힘. Bain Capital은 4/15 일본 채권단과의 자금 관련 협의 중 KIOXIA 상장으로 자금을 유치하겠다고 언급. 작년 Western Digital과의 합병 불발로 상장 루트 재부각


4-2. Solidigm도 데이터센터 기업들의 고용량 eSSD 수요 확대로 회복세. 하이닉스 종속기업인 NAND Product Solutions(Solidigm) 순손실은 작년 1Q -8,560억원, 2Q -1조 3,863억원, 3Q -1조 4,302억원, 4Q -3,619억원, 올해 1Q -1,496억원으로 축소 중. 1분기 매출은 1조 8,503억원으로 YoY +167%, QoQ +100% 증가, 하이닉스의 인수 이후 최대 규모


4-3. AI 서울 정상회의 기간 중 ‘지속 가능한 AI 발전 촉진’을 주제로 다루는 장관 세션에서 저전력 반도체 문제가 아젠다로 채택됨. LPDDR 관련주 에이팩트 +8.6%. 이외 반도체(와이씨 +7.5%, 디아이 +5.6%, 아이티엠반도체 +5.2%, 하나마이크론 +5.0%(어제 -14%), 자람테크놀로지 +4.7%, 케이씨텍 +4.5%, 솔브레인 +3.8%, 이수페타시스 +3.5%)


5. Microsoft는 생성형AI 구동에 최적화된 고성능 PC 'Copilot+PC' 출시.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Qualcomm의 새로운 스냅드래곤 X 프로세서 탑재. 가격은 $999달러부터 시작, 6/18 본격 출시 예정


6. 삼성에스디에스는 기업용 생성형 AI 서비스 실적 가시화 기대에 +5%. 황성우 대표가 어제 Dell Technologies World(DTW)2024 기조연설에 참여해 ‘생성형 AI의 미래와 기업의 하이퍼오토메이션(Hyper-automation)’ 비전을 밝히기도 함. 황대표는 Nvidia 젠슨 황 CEO와도 만남. 삼성에스디에스는 삼성클라우드플랫폼(SCP)을 서비스하며 현재 H100을 1,000대 단위 확보한 것으로 알려짐. 연결대상 종속기업인 엠로 +7.1%


7-1. HLB는 2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벗어나며 +3.2%. 파트너사인 중국 항서제약의 HLB 바이오포럼 참석을 위한 방한 소식. 캄렐리주맙 CMC(제조공정) 문제 파악이 가능할 것이란 기대. 하지만 생물보안법(Biosecure Act) 등 미중 갈등이 바이오산업까지 번지는 과정에서 중국 기업과의 협업 자체에 대한 우려. 그리고 임상 인종 프로파일의 지나친 치우침(중국인 등 아시아인 비중 83%)에 따른 백인 임상 사이트(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실사 필요성 문제도 여전. 다만 탄탄한 팬층의 존재로 거래가 활발하다는 점은 주식 매매 측면에서 긍정적(HLB바이오스텝 +14%, HLB테라퓨틱스 +11%, HLB글로벌 +6.2%, HLB제약 +5.1%, HLB파나진 +2.5%, HLB생명과학 +1.4%)


7-2. 다른 케이스지만 작년 말 메드트로닉의 인수 철회로 하한가가 지속되며 주가가 1/6토막 났던 이오플로우는 5월 들어 연일 상승, 오늘 상한가. 이오플로우는 세계 최초로 무선 인슐린 펌프를 제조한 인슐렛과 미국에서 영업비밀 침해 소송 진행 중. 인슐렛은 이오플로우 제품 '이오패치'에 대해 본안소송의 결론이 나오기 전까지 판매를 금지해달라며 '판매 예비 금지명령' 신청. 5/7 항소법원의 가처분 금지명령(예비 금지명령) 취소 처분. 5/15 미국 행동주의 펀드 Blue Orca Capital의 이오플로우 Long 인슐렛 Short 선언. 이번 결정으로 메드트로닉의 이오플로우 인수 협상이 재개될 것이란 의견


8. 5/26~27 한중일 정상회담 예정일 임박. 외교부는 최종 조율 중이라는 언급뿐 날짜를 확정하지 않았지만, 일본 언론에서는 3국 비즈니스 서밋도 열릴 것이라고 보도. 화장품(제이투케이바이오 +26%, 네이처셀 +23%, 에이블씨엔씨 +16%, 한국화장품제조 +15%, 아이패밀리에스씨 +13%, 잉글우드랩 +13%, 본느 +10%, 씨앤씨인터내셔널 +10%, 에이에스텍 +10%, 토니모리 +9.4%, 한국화장품 +6.7%, 한국콜마 +6.1%, 클리오 +4.9%, 코스맥스 +4.7%, 브이티 +3.6%, 코스메카코리아 +3.6%), 미용(제이시스메디칼 +5.0%, 클래시스 +3.7%) 리레이팅


9. 비올(+9.1%)은 마이크로니들 고주파 원천기술 특허 침해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에 피소된 업체들과 소제기 당사자인 세렌디아와의 분쟁합의 업데이트에 상승. 세렌디아는 비올의 특수관계법인이자 비올 창업주 라종주 대표의 회사로 순수익금의 90%를 비올에 배분. 큐테라(Cutera), 사이노슈어(Cynosure), 엔디메드(Endymed), 카르테사 에스테틱(Cartessa Aesthetic), 에스테틱 바이오메디칼(Aesthetic Biomedical), 루트로닉, 이루다, 제이시스메디칼, 쉬앤비 9개 업체가 특허 침해로 피소되었는데 분쟁에 합의한 업체는 비올(세렌디아)에 합의금을 지급. 사이노슈어, 엔디메드, 제이시스메디칼을 제외한 6개사와는 합의 완료


10. 게임 개발사 시프트업 증권신고서 제출, KOSPI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 돌입. 2022년 출시한 모바일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 올해 4월 플레이스테이션5 기반 '스텔라 블레이드'가 대표작. 시프트업의 2023년 매출액은 1,686억원, 영업이익은 1,111억원, 당기순이익은 1,067억원. '니케'를 퍼블리싱하는 중국 텐센트 계열사 '프록시마 베타'로부터 나오는 매출 비중이 1분기 기준 전체 매출의 97.6%를 차지. 공모 예정 금액은 3,407억∼4,350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2조 7,300억원∼3조 4,800억원 밴드. 김형태 대표가 엔씨소프트에서 일러스트레이터로 8년간 일하다 퇴사하고 차린 회사가 엔씨만큼 시총이 커지는 셈. 시프트업 지분을 보유한 대성창투 상한가


11. 솔루엠(+12%)은 Bain Capital의 공개매수 & 경영권 확보 추진 기사에 급등. 삼성전기(+2.5%)는 MLCC 호황기 초입이라는 평가(일본 MLCC 월 수출액 1년간 역성장 후 작년 11월부터 회복세, 중국 스마트폰 수요 작년 3분기부터 반등)에 낮은 밸류에이션이 부각되며 선방. 한화솔루션은 1~20일 모듈 수출 판가 하락 명분 또는 단기 차익 실현으로 선물 매도가 강하게 나오며 장중 5%대 Backwardation 발생, 현물 주가도 -12% 하락하며 마감. 에코프로머티(-12.5%)는 LG 맏사위가 대표이사로 재직 중인 블루런벤처스(BRV)가 전일 지분 3.2% 가량을 -9.7% 할인된 가격에 블록딜 방식으로 처분하며 급락


12-1. 개별주: [틱톡샵/유튜브 쇼핑] 카페24 +8.5%, [우주] 쎄트렉아이 +5.7%(5/27 우주청 개청), [공개매수] 한솔로지스틱스 +13%(대주주 한솔홀딩스의 지분율 40% 확보 목표 520만주(18.53%) 공개 매수), [두나무/크립토] 우리기술투자 +12%, 한화투자증권 +5.1%, DSC인베스트먼트 +4.5%, 에이티넘인베스트 +3.6%, [태양전지] 유니테스트 +21%(한국화학연구원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면적 셀로 세계 최고 효율 달성)


12-2. [관세/흑연] 상보 +13%(5월 중 미국의 중국산 합성흑연 관세 면제 종료, 25% 부과 계획), [자율주행] 넥스트칩 +9.7%(ISP(Image Signal Processor) 기술력), [5G] 케이엠더블유 +5.2%(올해 말 영업이익 흑자 전환 기대), [탄소포집] 유니드 +5.8% (글로벌 m/s 40%인 탄산 및 가성칼륨이 탄소포집용 흡착제로 사용되며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시장 개화 수혜), [MS 애저] 웅진 상한가, [전해액] 엔켐 +3.2%, [가스] SK가스 +3.7%, [원자재] TIGER 구리실물 +5.2%, LX인터내셔널 +4.7%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