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yptian Blue MYPI

Egyptian Blue
접속 : 5112   Lv. 60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3 명
  • 전체 : 72018 명
  • Mypi Ver. 0.3.1 β
[영화] 게임의 규칙(The Rules of the Games, 1939) (0) 2014/07/31 AM 02:23

게임의 규칙(The Rules of the Games, 1939)

장 르누아르의 영화는 처음 감상하였습니다만 그의 영화적 재능이 대단하다는 것은 바로 알 수 있었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아도 그의 재능이 대단하지 않았더라면 아버지인 화가 오귀스트 르누아르라는 이름에 가려져 여타 많은 2세들이 그랬듯 그의 아들로만 기억되었겠지요.

영화는 대서양을 23시간만에 횡단한 앙드레가 공항에 도착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연인이 공항에 오지 않은 것에 낙담하여 라디오에 대고 그는 이 모든 것은 한 여인을 위해서였음을 고백하고 매우 실망했다는 말을 남깁니다. 장면이 전환되고 그의 연인 크리스틴이 등장합니다. 크리스틴의 남편인 로베르 후작은 이 이야기를 라디오를 통해 듣습니다. 하지만 상류사회의 규칙에 맞춰 아무런 표정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그에게도 주느비에브라는 연인이 있고, 사람들의 관계를 모두 알고 있는, 장 르누아르가 직접 연기한 옥타브와 많은 사람들이 후작의 파티에 초대됩니다.
파티는 하층민인 밀렵꾼 마르소, 크리스틴의 하녀 리제트, 그의 남편이자 사냥터지기인 슈마허의 관계까지 얽히면서 정신없이 사나워집니다. 파티가 무르익어 빠르고 강렬해지는 음악에 따라 모든 사람들의 가면이 벗겨져, 본성을 보이는 모습은 하나의 소극이 되어 전 등장인물 사이에서 휘몰아칩니다. 파티가 끝나는 시점에 이르러서는 다시 상류사회의 인간 그 가면을 쓰고, 이 모든 게임의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고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한 남자인 앙드레에게는 비극적인 결말이 찾아오고 맙니다.

영화에 나오는 모든 사람은 일종의 성적 유희를 즐깁니다. 하녀 리제트와 밀렵꾼 마르소의 유희는 좀 더 노골적이고, 상류사회의 일원으로 행동하는 사람들의 성적 유희는 은밀하고 비유적이죠. 그들은 스스로의 규칙으로 포장하고 숨기지만 파티가 무르익은 시점에서 벌이는 난동에서 드러난 것과 같이 참모습을 숨기고 있습니다. 장 르누아르는 이런 상류사회 사람들의 이중성과 난잡함을 고발하죠. 얼마전 개봉한 영화 그레이트 뷰티가 생각납니다. 주인공 젭은 상류 사회에 발을 딛기를 소망했지만 거기서 볼 수 있는 것은 화려함 뒤에 가려진 더 추악한 세상입니다.
영화 컨버세이션에서 본 피가 역류해오는 유명한 장면과 같이 숨겨두었던 것이 밖으로 드러나는 것은 충격적이고 두렵습니다. 겉모습이 깨끗할수록 그 충격은 배가되고 마는데, 그래서 이 인간 군상들의 모습은 엔딩에 이르러서는 더 잔혹하게 느껴집니다. 서글프기도 하고요.

공간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정말 멋진 테크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인물들의 동선을 어떻게 배치했는지 화면의 전후좌우, 심지어 상하까지 이용해서 카메라의 바깥에서 바깥으로 인물들을 이동시키는데 입체감이 대단하게 느껴집니다.
사냥터의 장면도 대단하지요.
이 영화가 어째서 위대한 영화 리스트에서 빠지지 않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몇 번을 다시 보아할 영화 같네요. 특히 영화를 이끄는 템포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엔딩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허위와 가식에 의해 끊임없이 희생자가 만들어지고 마는 것이 여전히 이 세계를 구성하는 게임의 규칙일까요.
사회는 별로 변한 것이 없어 보입니다.

앙드레 바쟁은 대체 어떤 사람입니까. 위대한 영화들은 그로 연결되기도 하는군요. 책을 찾아 봐야겠습니다.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