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4월 18일 주식테마 동향2022.04.18 PM 03:30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 강세테마 : 사료, 육계, 음식료업종, 수산, 자동차 대표주, 화장품, 백화점, 편의점, 항공기부품, 홈쇼핑, 정유, 제지, 탈모 치료 관련주 등...


■ 약세테마 : 캐릭터상품, 야놀자 관련주, 음원/음반,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여행, 조선, NFT(대체불가토큰), 크래프톤 관련주, 영상콘텐츠 등...



■ 리오프닝 관련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및 중국 봉쇄 완화 기대감에 상승

 

▷금일(18일)부터 실내외마스크 쓰기를 제외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이 해제됐음. 코로나19의 감염병 등급도 오는 25일부터 1급에서 2급으로 하향 조정되고, 안정세를 보이면 4주 후엔 확진자 격리의무도 권고로 전환하며, 실외 마스크도 2주간 착용 의무를 유지한 이후 벗는 방안 논의할 계획. 한편,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4만7,743명을 기록해 68일만에 5만명 아래로 떨어졌음. 위중증 환자는 850명, 사망자는 132명을 기록.


▷외신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의 코로나19 봉쇄가 오는 20일(현지시간) '지역사회 차원의 제로 코로나'로 방역 전략을 수정하는 등 추가 완화될 것이란 소식이 전해짐. 다만, 20일 봉쇄 대폭 완화 주장에 대해 상하시 당국은 아직 공식 언급을 하지 않았으며, 관영 언론들도 보도하지 않은 상황임.


▷이 같은 소식 속 클리오, 토니모리, 코스맥스, 제이준코스메틱 등 화장품 테마, 패션플랫폼, 대현, 휠라홀딩스 등 패션/의류 테마 및 티웨이홀딩스, 아시아나항공, 레드캡투어, 롯데관광개발, 호텔신라, 신세계 등 화장품/항공/카지노/일부 여행, 면세점 테마가 상승.





■ 육계/사료 


국제 식량가격 급등에 따른 사료 및 닭가슴살 제품 가격 인상 소식에 상승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세계적인 식량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사료가격도 연쇄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 따르면, 파우치 닭가슴살 제품을 생산하는 하림, CJ제일제당이 최근 가격을 상향 조정한 것으로 전해짐. 하림은 이달 초 관련 제품 가격을 15~17% 인상했으며, CJ제일제당은 '더건강한' 브랜드의 파우치 닭가슴살 제품 가격을 평균 10% 인상했음.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인건비·물류비 등의 증가로 식품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고 있다"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태로 밀가루 등 곡물 시장이 불안해 제2의 도미노식 가격 인상이 이어질 수 있다"고 밝힘.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수입산 식용 곡물 가격은 전분기대비 10.4%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특히 사료용 곡물은 13.6%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마니커, 마니커에프앤지, 하림, 푸드나무, 한일사료, 사조동아원, 현대사료, 선진 등 육계/사료 테마가 상승.



■ U-Healthcare(원격진료) 


정부, 비대면 진료 법제화 추진 소식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국회에 발의된 의료법 개정안 등을 토대로 비대면 진료를 상시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의료계, 시민단체 등과 협의해 비대면 진료 제도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힘. 이에 산업계에서는 비대면 진료 법제화를 계기로 원격 진단·모니터링 등 원격의료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현행 의료법은 전화와 화상으로 의사가 환자를 비대면 진료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현재 코로나19 환자 비대면 진료는 정부가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2020년 2월부터 임시로 허용한 것임.


▷이 같은 소식에 인성정보, 비트컴퓨터, 유비케어, 케어랩스 등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원자력발전 


에너지 독립을 위한 유럽 내 원전 설립 기대감 부각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에너지 독립을 위한 유럽 내 원전 설립 기대감이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는 높지만 원전이 많지 않은 일부 동유럽 국가들은 원전 신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원전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폴란드의 경우 새로운 원자로 건설을 위해 미국 기업, 백악관 등과 협상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라트비아 국방부는 에스토니아에 공동으로 원전을 건설하자는 제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일부 서유럽 국가는 추진하던 탈원전 정책을 되돌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에너지 독립을 위해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비중을 16%에서 25%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으며, 벨기에는 2025년 폐쇄하기로 했던 2개의 원자로 수명을 연장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이러한 소식 속 한신기계, 한전산업, 비에이치아이, 두산중공업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 한편, 이날 비에이치아이는 현대엔지니어링과 266.9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4%) 규모 공급계약(발전설비)을 체결했다고 공시.



■ 엔터테인먼트 


밸류에이션 부담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엔터테인먼트주의 최근 단기 주가 급등에 따른 밸류에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엔터테인먼트주는 콘서트가 재개됐지만 기대만큼의 마진을 내지 못해 이익이 하향 조정된 곳도 있고 높은 밸류에이션도 부담스럽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음. 특히, 하이브의 경우 올해 주가수익비율(P/E)은 현재 45~50배이며, 후발 3사도 평균 40배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증권업계에서는 오프라인 공연 재개에 따른 실적 고성장과 대체불가토큰(NFT)·콘텐츠 신사업에 대한 기대감은 상당히 선반영됐다고 분석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JYP Ent., 에스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엔터테인먼트 테마가 하락.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비트코인 가격 약세 영향 등에 하락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공격적 긴축 우려 및 유동성 감소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있음. 특히,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한화로 5,000만원선이 무너졌음.


▷글로벌 코인시황 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오후 2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대비 약 3.5% 하락한 3만8,90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에서는 4,900만원선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네오위즈홀딩스, 엠게임, 매커스, 티사이언티픽, 비덴트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 진성티이씨(036890) : 1분기 실적 호조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 1,255억원(전년동기대비 +16%), 영업이익 96억원(전년동기대비 +24%), 영업이익률은 7.6%로 지난 4분기 6.7%에서 회복 추세를 유지했을 것으로 전망. 이에 대해 건설 기계의 견조한 수요에 판매가격 인상과 환율상승 영향으로 지난해 2분기부터 진행된 마진율 하락이 멈추고 정상화되고 있으며 연간 실적 전망치(매출액 5,222억원, 영업이익 378억원, 영업이익률 7.2%)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각종 광물과 농산물 가격의 상승, 인프라 투자 예산집행 등에 따라 글로벌 건설기계 수요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동사의 올해 실적기준 PER, PBR은 각각 8.9배, 1.3배라며 해외 건설기계업체들 대비 저평가 상태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8,000원[유지]



■ LIG넥스원(079550) : 1분기 호실적 및 올해 수주잔고 증가 전망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영업이익은 270억원을 기록해 시장 예상을 13% 상회할 것으로 예상. 이는 매출 성장에 따른 이익개선 효과가 예상보다 크고, 해외 수출매출 비중 정상화도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등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의 지난해 수주잔고는 8조3,073억원으로 2019년 6조원을 돌파한 이후 매년 역사적 최고 수준을 갱신 중이라며, 올해 수주잔고는 지난해보다 더 큰 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0,000원 -> 92,000원[상향]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