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값올리기 MYPI

몸값올리기
접속 : 401   Lv. 17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7 명
  • 전체 : 133186 명
  • Mypi Ver. 0.3.1 β
[몸값올리기 v2] 고객이 고객의 정보를 쥐어주다 (3) 2015/06/01 PM 04:09
아주 기쁜소식입니다.
저는, 전임이 연락을 취하긴 했지만
제조품목 특징이 상이하다면서

"거래 가능성능 없다" 라고 대응했던 업체가 있어요.



저는 악평이 있더라도, 기존에 연락을 취했던 경험이 있는 곳에
우선 영업을 시도하였고, 그 중에 가장 반갑게 대응해주던 회사에 곧바로 전화연락하고 미팅일정을 잡고
제 영업의도를 전달하였습니다.


상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아요.
[상대회사]
1. 파칭코/가전비중이 높음
2. 과거에 중대형 자동차를 한적이 있으나, 현재 비중은 현저히 낮음. 사실상 없음
3. 근처에 양산공장의 제1 협력업체로 되어있으며, 이 공장 대부분의 금형을 납품하고 수리함 (중요정보임)
4. 전임의 영업대응때문에 수주의지도 없고, 기계설비도 안맞고, 품질도 개떡같은걸로 알고 있음

[영업방법]
1. 파칭코/가전 쉬운거, 작은거, 조금씩 일 줘라. 명목상 관계유지하면 된다. 이 품목을 주력으로 수주받거나 하지 않을거다.
2. 양산공장도 살아남으려면, 곧 자동차도 양산해야 할거다. 그런데 너네가 하루아침에 자동차금형을 고품질로 잘 만들수는 없을거야. 기계설비도 작을테니까
3. 나는 파칭코/가전일을 끊기지 않고 1벌씩 받아 납품하면서, 관계를 유지하고, 협업 노하우를 쌓아갈 것이다. 그러니까 작은 일 조금씩 줘라. 손해봐도 괜찮다.
4. 너네도 언젠가 자동차 비중이 커질거다. 그 때 너는 안심하고 자동차 영업해라. 왜냐...
너네 사양과 방침을 잘 이해하고, 계속 작은일을 끊임없이 받아 훈련해온 "우리"가 있으니까. 우리가 모든 자동차금형을 서포트 한다.
5. 너희는 우리의 자동차금형 제조능력을 기반으로 영업하고, 자체 자동차금형 생산능력을 키우면 된다.

나는 그 3~5년간의 기간동안 너네 자동차금형을 주력 공급하면서 재미볼거다.
그래서 지금 파칭코/가전 손해봐도 좋다는거다.



업계경력이 짧아, 기술자랑해봤자 밑천 금방 드러나는 제가 선택한 제 영업방법이었고,
미팅을 진행한 사람은 상대회사 관리자였는데

이 사람이 마음에 들었는지


자기 회사 키맨 (2대째 사장 및 그 발주권을 가진 사람) 정보를 넘겨주고
그에게 제 정보를 넘기면서 "한국갈때 만나보라"고 지시해주고
저에게 따로 연락하여 "키맨 대응요령"에 대해서 상세히 알려주었습니다.
그 내용은 당연히 비밀이지요.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기술역량, 관리역량, 사람의 심리상태까지 이용할 줄 아는, 30대 젊은 관리자"
반드시 좋은쪽으로 기억에 남기게 만들고
내자랑을 하지 않았지만, 그렇게 느끼도록 하는 대응전략은 아직까지는 성공이라고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말이 통하는 사장님이 지원해주고 있기 때문이겠지요.
이미, 파칭코/가전에 대해서
전문 외주업체를 발췌하여, 최소한의 관리이윤만인 5%만 떼고 넘기는 [윈/윈] 전략에 대한 결재를 받아둔 상태입니다.


이전 사장세끼였으면
왜 5% 남기자고 그짓을 하냐고 호통을 쳤겠지요.


잘 보세요. 어떻게 돈 버는지
고객이 자기 정보, 강점, 약점 다 갖다주게 만들겠습니다.
진짜 고객이 겪는 문제가 무엇인지, 원하는 대응이 무엇인지, 왜 조금 더 비싸도 몸값올리기에게 일을 주어야 하는지

발주키맨이 자기 사장님 설득해서라도 꼭 우리회사 일 줘야한다고 설득하도록
만들어야해요

그것이 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신고

 

현무활법    친구신청

그게 어려운 문제라서 잘 안되는거죠

글리젠 마이스터    친구신청

흐음....

IncomeCountry    친구신청

죽지 못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식으로 영업을 해서
(막상 하는 결과 보면) 득도 못 보는 일에 딱히 목표도 없으면서
'계약이 그리 되었으니 어쩔 수 없다, 너희들이 메꿔달라'는 식으로
주변 동료들까지 그냥 다 그때그때 땜빵으로 갈아넣는 사람도 있는 반면,
님은 참 본인이 하고 싶어서 하는 거 같다는 인상이 있어요.
긍정적인 에너지랄까...

하지만 님의 비전이, 그걸 실현하는 현장 인원들하고 공유가 안된다면
그 사람들 입장에선 (제가 언급했던 것처럼)
님이 그들을 땜빵맨으로 취급하는 듯한 오해(?)가 있을 수도.
(일이 잘 돌아갈 땐 대개 괜찮지만, 일이 꼬이기 시작할 때 터지죠 이런 건...
일이 잘 돌아간다 싶을 때 뒤를 돌아보고 미리 체크해야 할 부분이죠.)

님의 비전을 공유할만한 같은 회사 동료들이 많았으면 좋겠네요 - 특히 현장에.
사장님하고만 말이 통하면 될 부분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분명히 있을테니.
(그리고 그건 대개 일이 꼬이기 시작할 때 가서야 뒤늦게 드러남...)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