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하님 MYPI

슈하님
접속 : 6554   Lv. 75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85 명
  • 전체 : 215599 명
  • Mypi Ver. 0.3.1 β
[음악] 잘난척 하는게 재수 없어서.. (2) 2009/07/07 AM 10:47
왜 그렇잖아 가수들이 이름좀 알리고

자리좀 잡았다 (돈좀 벌었다) 싶으면 다들 프로듀싱이니 작곡이니 도전하잖아?

뭔가 있어 보이는 안무를 직접 짰네 어쩌네 그러고.

고게 뭔소린지 자기들 끼리만 알면서 고뇌하는 뮤지션 흉내를 내잖아.

그게 뭔지 아무도 안가르쳐주고 말야.

치사하게- 그래서, 최대한 간단하게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 해볼까 해.

1. 프로듀싱-

프로듀싱은 당연히 프로듀서의 일을 말하는 거고, 쉽게 말해 감독과 제작 같은 입장

이라고 보면 돼. 일반적으로 안유명한 애들은 제작자- 레이블이 따로 있고, 그 레이블

내에서 통뼈가 굵은 양반이 사운드의 균형과 편곡, 세세하게는 앨범에 수록할 곡을

선정하고 곡의 순서를 정하기도 해.

그러니까 곡을 녹음하기 전에 '데모' 라고 부르는 버전에서 우리가 잘 아는 한곡이

탄생하기 까지 프로듀서의 손을 거쳐서 조율되고 만들어진다는 거지.

프로듀서의 역량에 따라 녹음이 성공적인 음반이 되기도 하고 실패하기도 하지.

대표적인 예로, 밥락이 프로듀싱 할때의 메탈리카와 릭 루빈이 프로듀싱 할때의 메탈리카

를 비교해봐. 사운드의 균형이 다를걸, 저음의 양이나 고음의 양. 깔끔함까지

영화 감독처럼 스타일에 따라 전혀 다르게 나오는 거지.

그런데, 셀프 프로듀싱을 하면 요 일들을 혼자서 다 처리 하는거야. (뭐 말이 셀프지 하나부터 열까지 전부 혼자 하진 않겠지만)

아무래도, 자신이 보지 못하는 부분이 많아서 누구보다 자신의 맘에 드는 앨범이 되겠지만,

반대로 좋지 않은 작품이 나올 가능성도 커. (실은 후자가 더..) 그래서 많은 뮤지션들이

스스로 프로듀싱을 충분히 할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데모 앨범이 아닌 이상 전문 프로듀서

를 찾는 거고.

2. 엔지니어링-

이 부분은 설명하기가 좀 그런데, 전반적으로 기계를 만지는 모든 행위 라고 생각하면 돼.

레코딩 엔지니어링 이라고 하는 녹음의 전반적인 모든 행위- 를 하는 사람. 이지.

팬 설정 이라고 하는 소리의 위치 (예를 들어 드럼은 가운데, 기타는 왼쪽 스피커, 보컬은 가

운데 앞쪽 과 같은) 를 정하는 일부터 각 파트의 볼륨 등등을 조절해.

우리가 쉽게 아는 녹음 기사- 라고 할수 있지.

3. 믹싱-

요건 말 그대로 녹음된 음원을 섞어서, 하나의 음원으로 만드는 거야. 베이스 위에 기타를 얹고 보컬을 얹는 식으로.

예전에는 아날로그 릴테잎을 자르고 붙이고 동시에 플레이하고 별의 별 생쇼를 다 했지만 요즘은 다들 아다시피- 프로툴의 은혜.. 디지털 레코딩이 대중화 되어서 간단 간단하게

바꿀수 있게 되었지.

4. 레코딩-

뭐 뜻 그대로 녹음 과정을 의미하는 건데. 대부분의 레코딩이 각각 파트를 녹음 한뒤에 제일 마지막으로 보컬 트랙을 녹음하는 걸 기본으로 해. 왜냐 하면 다른 파트들은 박자를 맞추기가 어느정도 수월하고, 악보에 기보된 음 그대로 연주할수 있지만, 보컬 트랙의 경우는

반주없이 정확히 악보를 노래한다는게 사실 쉽지 않잖아. 거기다가 박자까지 완벽하게 맞추는건 더더욱. (틀리지 않는 수준이 아니라, '정확'하게) 뭐 그런 이유로 보컬 트랙을

마지막에 녹음하는 경우가 많지. 아참, 코러스의 경우는 보컬보다는 먼저 녹음해.

도움이 됐나 모르겠네? 뭐 암튼 앞으로도 뭔가 있는 척- 하는 어려운 말들이 있다 싶으면

또 튀어나올께. 이제 옆사람에게 가서 아는 척 해보라구!


신고

 

마연    친구신청

레코딩할 때 라이브 하듯이 모든 악기 파트가 한 번에 레코딩할 수는 없나요?

슈하님    친구신청

할수는 있습니다. 실제로 그렇게 하는 경우도 있구요. 그런데 그렇게 하다보면 연주중 실수나 사운드를 잡기가 힘들어서요..
실제로 드럼 레코딩 할때는 생각처럼 메트로놈을 헤드폰에 끼고 그냥 치는게 아니라, 다른 파트와 같이 했다가 드럼만 살리고
다른 파트를 지우는 방식을 쓰기도 합니다.
[음악] 재미로 지어보는 기타리스트 미들네임 (3) 2009/06/25 AM 03:16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재미...입니다..

분노하셔도 할말은 없음 ㅋㅋㅋ

Gary 'ugly' moor

똥추남..

Eddie 'alcoholic' halan

이젠 술좀 끊으셈..

Yngwie 'fat' malmsteen

하악악 그래도 난 다이어트에 성공한 잉베이 횽아가 좋음

Steve 'weired' vai

이것은 모두 프랭크 자파 탓임.

Joe 'alien' satriani

맨인블랙 주 체크 대상 1호

Jake 'who?' lee

이젠 추억의 이름이 되어버린..

Marty 'enka' friedman

살림살이 괜찮아 지셨에연? (..그래도 마티빠돌 하악하악)

Dave 'fired!' mustain

넌 해고야!

Zakk 'raper' wylde

레스폴 강X마 (럭키짱 강건마 아님)

Alexi 'Short' laiho

...그저 눈물만

Randy 'angel' Rhoads

...그저 눈물만(2) 다른 의미로

Eric 'nerd' johnson

형의 찌질함은 영원하리..

Paul 'uncle' gilbert

언제봐도 이웃집 아저씨

Michael 'kamisama' schenker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하리

George 'ESP' lynch

이젠 그를 먹여살리는 유일한 세글자.

Kirk 'wow!' hammett

이펙트 가져다 버리고 싶음

Neal 'I'm not alright' zaza

이젠 좀 다른 것좀..

C.C. 'Fuxxer' Deville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하리(2)

어디까지나 재미삼아-_-; 농담으로 써봤음... 분노 하셔도 할말 없음 굽신 굽신.

신고

 

godcore    친구신청

존 오중이 페투루치

godcore    친구신청

기타 잘치시고 싶으시면 뮤직맨 엔도서를 파시는것이 좋을듯 싶습니다

위령    친구신청

이럴수가.... 에릭 존슨이 찌질이라니!!
[음악] Hey baby~음악을 시작해 볼까? (2) 2009/06/23 AM 05:38
원체 뭐든 한발 늦게 불타는 성격이라.

남들 다 본 케이온에 이제서야 불타오른 슈하군.

beck을 볼때도 그렇지만, 역시 음악이란건 좋은 것,

더군다나 그것이 영화나 애니메의 성격으로 나오면 더더욱 좋은것.

음음.

잠시 잡설로 빠져서

벡 같은 경우는..그 전형적인 음악계의 '뻥'을 타고 폼잡는 애니 였다- 라고 생각하는데

줄기차게 중요하게 나왔던 그 '루실' 떡밥.

루실에 관한 이야길 하자면,

루실은 실제로 존재하는 기타로 블루스의 마스터 아저씨 BB킹 아저씨의

기타의 애칭이다.

실제 루실은 애니에 나왔던 레스폴이 아니라 ES-335 모델의 기초로 한 이 아저씨의

시그내쳐 모델이다. 이 기타의 애칭이 왜 루씰인가 하면

비비킹 아저씨가 공연할때, 공연장에 불이 나서 공연을 중단하게 되는 일이 생겼는데

그때 불이 난 이유가 두 남자가 루씰이란 여자때문에 싸우다가 불을냈다-

라는 얘길 듣고 자신의 기타에 루씰이라는 애칭을 붙였다는 거지.

암튼 애니처럼 뭐 총맞고 비비킹이 죽고 그런일은 없었다.

거기다가 벡이 아무래도 '락'을 하는 밴드다 보니까 할로우 바디인

ES-335를 모델로 하면 각이 안나왔겠지;

그 외에도 벡에서는 메탈밴드를 까고.. 90년대 말의 그런지나 랩메탈에 관한

칭송- 찬사 를 보내기에 바빴던 애니라-_-;

(애니와 원작중에 나왔던 한물간 밴드 '라우드'는 실제 일본의 전설적인 메탈밴드

라우드니스 를 모델로 했던..)

거기다가 잉베이 맘스틴+ 오지오스본의 조합인 (응?! 애..앳 밴스?!)

크레이지 트레인스는 냄새나는 아저씨 메탈밴드로..

메탈에 청춘을 바치는 본인같은 사람에겐 참 거슬리는 설정이었지만.

다시 케이온으로 돌아와서.

시작은 화려한 학원 음악 애니였으나

결국 끝은 음악안하고 놀러다니기 바쁘다는 그 애니..

어쨌든 이 애니로 인해서 불황의 늪에 허덕이던 일본 악기계가 숨좀 트였다니 뭐..

(이제 오덕들의 중고 악기 매매가 불타오를 때가 되어가나?)

암튼 케이온 애니에서도 나왔듯이, 밴드는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즐겁게, 재밌게 할수 있는 음악의 표현 방법중 하나다.

잘 못하면 어떤가? 실력이야 키우면 되는거지.

음악을 하고 싶으면 늘상 하는 말이지만 즐겨라~!

그리고 많은 음악을 들어라~ 다 피가 되고 살이 되느니..

시간이 지나서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을 구분할수 있게 되면 그것 또한 새로운 재미다.

(마치 애니에서 작붕을 찾는 기분?)

아울러 케이온 보면서 음악에 관심을 가지신 여러분..

작곡/연주 커뮤니티 와서 모르는건 물어보시라!

..기타와 베이스는 뭐가달라요?

도 좋고, 기타는 뭘 사야 하나요? 도 좋다.

케이온 재밌던데.. 누굴 좋아하시나요? 도 물론 좋...(으면 안될것 같긴 하다)

암튼, 즐겁게들 음악하자 오우!

신고

 

랑이라오    친구신청

저도 비슷한이유긴합니다만.
벡같은 경우엔 '모두가 놀랄만한' 유키오의 노래가 나오는순간에
바로 접었었지요.
만화책이라면 상상력으로 커버되었겠지만.
역시 애니는 직접 와닿으니깐 뭐... 미카나 제이슨 므라즈정도의
보이스가 아니면... 그렇게까지 띄워주는 유키오의 목소리는
괴리감이 생긴달까요... 듣기 좀 그렇습니다.
케이온은 매주 봐왔었는데. 님하고 비슷한의견입니다.
음악하고 가까워지는 계기는 어떠한 이유든 상관 없는거죠.
뭘 연주하고 어떻게 하든 뭔상관이에요.
'My fuckin guitar'인데...
덧, 벡 만화책에서도 솔직히 유쾌하지않은장면이 있었어요.
더후를 돈있는층의 하수인격으로 만들어버려서...

마연    친구신청

음악은 무엇보다 즐겁게 하는게 중요하죠.^^
[음악] 음악을 시작하려는 친구들에게. (5) 2009/06/15 AM 02:39
안녕? 나는 올해 스물 일곱살의 슈하 라고 해.

반말로 얘기해서 미안한데, 같이 음악을 좋아하고 음악을 하고 싶어하는

입장에서 편하게 말하고 싶어서 그런거야 이해해.

나는 스톰이란 하드락 밴드에서 기타와 보컬을 맡고 있어.

뭐 이렇게 말하면 거창한거 같지만, 자작곡은 달랑 한곡이고

그나마도 제대로 모여서 연습을 못하는 통에 결성 이후로 꽤나 긴 시간 동안 활동휴지

중이지.

그래, 너도 음악이 하고 싶구나?

충고라긴 뭣 하지만 내 이야길 좀 할께. 지루하겠지만 들어줘.

내가 처음으로 음악 이라는걸 좋아하게 되었던 때가 9살 쯤인거 같아.

나보다 세살, 여섯살 많았던 사촌형들의 영향을 받아 가요에 빠지게 되었지.

기억하겠지만 91년 쯤의 가요는 지금의 아이돌 세상과는 달리 다양한 개성을 지닌 뮤지션

들이 빼곡하게 앨범을 내곤 했었어. 이승환 이라던지 윤상 이라던지 신해철 이라던지

전람회 라던지.. 서태지와 아이들 이라던지.

돌아보면 나도 가장 좋아했던건 서태지와 아이들 이었던것 같아. 취향이 독특해서 2집에서

죽음의 늪 이라던지 3집에서 재킬박사와 하이드 같은 곡들을 좋아했지.

돌이켜 보니까 그때도 좀 묵직하고 스피드감 있는 락 취향이었던 것 같아.

그로부터 몇년이 지나서 넥스트의 2집을 듣게 되면서 아, 내가 좋아하는게 이거구나

하고 알게 된거야.

어렸을때부터 장기자랑에서 노래하는걸 좋아했거든 뭐 그땐 정식적인 안무 같은게

없던때라, 음악에 맞춰서 그냥 추면서 특징적인 몇개 회오리춤 같은거만 해줘도

우와 멋지다- 했던 때야. (아 부끄러워지네;) 어쨌든.

그때까지만 해도 가수가 되겠다고 말하는 친구들이 참 철없어 보였어.

도대체 앨범 제작비라는 몇억은 어디서 벌 것이며 화려함에 눈이 먼것처럼 보였거든.

그런데, ...중학교 3학년때 정말 음악이 좋아지더라.

노래를 한다는 것 자체가 참 기분이 좋았어. 공연때 그 화려한 액션이라던가

관객들을 들었다 놓았다 하는 음악 이라는게 좋았거든.

그로부터 몇년이 또 지나서 군대도 갔다 왔고.. 이젠 특별히 날 구속하는게 없는데도

뭐가 진척이 안돼. 벌써 스물 일곱이나 먹었는데 음반 한장도 내지 못했고

제대로된 실력도 없어.

그래, 나처럼 될까봐 걱정도 될거야. 그런데 있잖아...

음악이라는게 좋은거야, 인기스타가 되고 싶은거야?

아마, 난 나이도 많고 장르도 장르인지라 티비에서 화려하게 나오는 그런 인기가수는

영영 안될지도 몰라. 아니 아마 안되는게 당연하겠지.

그런데 그럼 뭐 어때? 그래도 내가 좋아하는 음악하면서 음반 만들고 내 음악 장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들어주면, 그래서 그 장르에서만 이라도 인정받으면

그걸로 된거 아닐까?

좀 스케일이 다르지만 잉베이는 아마 앞으로 빌보드 1위 같은건 못할거야.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잉베이가 이제 의미 없는건가? 아니잖아.

그래도 여전히 우린 잉베이를 사랑하잖아.

음악을 시작하려는 친구, 있잖아.

인생은 100m 달리기가 아니라 마라톤이래.

그런데 인생만 그런걸까? 음악도 그렇지 않을까?

이제 음반 한장 내는데 몇억이 아니라 돈 한푼 들이지 않고도 낼수 있는 세상이잖아.

우린 어쩌면 행운보다 행복을 얻은 걸지도 몰라.

그러니까, 힘내고 웃어.

신고

 

매드★몬스터    친구신청

네 노력하겠습니다.

godcore    친구신청

뭔가 진척이 없는것은 니가 루리질을 하기 때문이야 나도그래 ㅋ

내눈에CCTV    친구신청

엄한 화성학에 쩔고있는 제 어깨를 토닥이는 글...

*린다린다린다*    친구신청

음악에 스타고 뭐고 그 어떤 선긋기도 사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을 말하는 사람이라면 아직도 한참 멀고 먼 사람이다.

이 세상의 그 어떤 일이건
남들이 안할 시간에 그것을 하면서,
열심히 노력하고 자신 스스로의 만족을 느끼는 바로 그 순간이,
가장 행복한 순간이다.

하지만 시작부터 너무 높은 곳을 바로보고 그 어떤일을 시도했다간
겉만 번지르르한 포장된 상품에 지나지 않게 된다.

노력해서 얻는 이득은 신이 주시는 선물이므로 겸허히 받는것.


잉베이가 빌보드 1위를 해도 좋은거고,
지금도 수많은 기타를 잡게되는 소년들의 꿈을 키워주는
존재인 것만으로도 좋은거다.
어느쪽으로든 노력의 결과물에 의한 신만이 알 수 있는
결과물이겠지만 결과물은 일단 그 영역에서의 스타.

스타는 노력 후 결과물의 산물이지만
절대 겉포장된 빈수레엔 따라가지 않는다.
겉포장의 스타는 인공적인 가짜 별임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녹색번개    친구신청

좋은 글이네요
[음악] 그림리퍼- 지옥에서 보자 (0) 2009/02/11 PM 01:36


스티브 그리멧이 조금만 날씬했더라도...

지옥에서 보자 친구여~

신고

 
이전 6 현재페이지7 8 9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