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Sam MYPI

by.Sam
접속 : 3239   Lv. 49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 명
  • 전체 : 6394 명
  • Mypi Ver. 0.3.1 β
[기본] 루리웹에 오토레인져를 하시는 분이 있으려나;; (1) 2013/10/16 PM 09:51

오토레인져도 슬슬 서비스 시작 두달여가 되가는데 오늘 처음으로 보스 게릴라 이벤트가 나왔습니다. 퍼즈도라로 치면 제우스같은 놈인거죠. 그런데 이 스테이지 난이도가 너무 높아서 여기저기서 불만의 목소리가 장난아니네요;;

혹시나 하시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니 일단 정보를 드리자면 보스 공격력은 매턴8800정도. 체력은 정확히는 모르지만 리더 프랜드로 단색4배 화력파티 구성에 한35턴 정도 두드렸습니다. 에너지는 총10개 사용했네요;;이벤트로 모은거 다 날아갔습니다ㅋ

파티 체력은13500정도. 공격력은3700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성능은 뭔가 미묘;; 꼭 얻어야겠다! 정도까지의 능력은 아닌듯. 애초에 7성급 초인이 없으면 도전하기도 힘드니;;

신고

 

vincan    친구신청

헐 이걸 하시는 분이 계실줄이야..한국 앱스에는 없는거 아닌가요?
저야 아는 분이 참여했다고 그러셔서 해보는 중인데 너무 퍼즈도라더군요 ㅎㅎ
[기본] 대학 연구주제에 필요한 간단한 설문입니다. 댓글한번씩만 달아주세요- (26) 2012/06/13 PM 11:12
제가 이번 학기 일본어학 특강 연구주제로 일본 게임에있어서 번역을 주제로 삼았는데요.

그 일환으로 간단한 설문을 하려고합니다. 관심있으신분은 댓글 달아주세면 감사하겠습니다.

특정 게시판의 취향을 최대한 피하기위해 부득이하게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마이피에

글을 남기게되었습니다.

설문 내용은 게임 번역에있어서


1.원작 나라의 문화나 게임의 코드를 살리는 번역

ex)원피스 영문 자막의 일부 기술명이나 nakama(동료)표기, 페르소나3 북미판의 senpai(선배)표기,

일반적인 ちゃん쨩, くん군, 일본게임은 아니지만 쇼군시리즈의 병종이름 Yari Ronin(낭인 창병) 등


2.발매 되는나라(이경우엔 한국)의 문화나 코드를 존중하는 번역

ex)괴혼, 반숙영웅, 디스가이아1등의 한글화. 디스가이아1의 인명 번역사례 중

ゼニ(돈)スキ(좋아하다) =돈죠앙 등


둘 중 선호하는 번역 스타일은 어떤것인가? 입니다.

물론 경우에따라 다르겠지만 대체적으로 선호하는 번역 스타일을 고르시면 됩니다.

그냥1,2라고 써주셔도 감사하고, 간단한 이유도 써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아이고 바로 전글은 카테고리 설정안해서 메인노출 안됐었네;; 그래도 댓글달아주신3분 감사합니다.

라고 생각했는데 메인 노출 되고 왜이러지;; 본의 아니게 도배해버렸네요 죄송합니다 ㅜㅠ

아, 이전에도 같은 글을 올렸었지만 이번이 마지막입니다 (전글은;;)

신고

 

아르미타    친구신청

전 1번입니다.
예시로 게임이나 만화에서 친근하게
~짱 하고 부르는 데 우리나라에는 거의 ~씨 밖에 대처할 게 없고,
이 ~씨를 사용하면 짱에서 느낄 수 있는 친근함이 좀 떨어지더군요..

우리나라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부분이나, 감정표현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1번식의 번역이 더 좋다고 느끼네요..
(게임 대사 번역하다 보면 그런 느낌을 굉장히 많이 받게 되더군요..)

Lv5.멘탈붕괴    친구신청

2번. 원피스 번역 담당이 금정으로 알고 있는데

이분이 요츠바랑에서의 해나리 인형이라던가.

원피스에서 불가사리 파파구의 일본어 언허유희성 노래를

한국어로 번역한걸 봤을때 원문 그대로 번역해 주석을 다는것 보다

맛깔나게 번역하는게 좋다고 생각하네요.

다만 문제는 2번의 경우 호불호가 갈리는데다

번역자의 센스에 따라 초월번역이 될수도 이뭐병이 될수도 있으니...

1번은 그냥저냥 평타. 2번은 하는 사람에 따라 대박이나 쪽박이냐 차이?

에덴하자르    친구신청

2번이요.
가까운 나라지만 일본의 문화를 잘 모르는 사람은
한국의 정서에 맞게 번역하는 게 이해가 더 잘될거 같아요.

reonhart    친구신청

2번을 하겠네요.

박규리강지영    친구신청

전 2번
정말 그나라 말이 아니면 이해가 안되는 농담이나 단어가 아니면 우리나라 말이 좋아요
번역하면서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어느정도 참작도 되면 보기도 편하고요

페니블랙    친구신청

2번이요.
개인적으로 번역은 하나의 재창조라고 생각해요.
물론 원작에서 한없이 탈선하면 안되지만, 원작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재미난 번역도 좋다고 봅니다.

removeman    친구신청

번역자에겐 1번이 더 쉬울 것 같지만, 독자 입장에서는 저도 2번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역시 정서를 담기는 모국어 만큼 좋은게 없죠 ㅎ

달과별의선율    친구신청

자료수집 오래하시네요. ㅋ
이 글 꽤 여러번 봤는데 이번이 진짜 마지막이라고 하시니 저도 동참.

전 1번 선호합니다.
국민게임이라 불릴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게임을 즐긴다기보다 매니아층이 많아서 먹고살수 있다고 불리는 비디오게임 시장에선 2번보다 1번이 더 먹히지 않을까 생각되고 제 개인적인 기호로도 그게 더 맞거든요. 제가 일문과고 접하는 일본어가 다른 사람보다 더 많아서 그렇게 느끼는지 모르겠는데 어느정도 일본적 문화를 접해왔던게 당연시 여겨질정도로 비디오게이머들은 많이 익숙하고해서, 그 코드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을까 싶네요. 그래서 그런 문화나 코드를 살리는 것이 매니아층에겐 즐겁게 여겨지기만 할 것 같네요. 물론 2번에서 제대로 유행어 등을 살려서 번역하면 그게 더 좋겠지만요.

제가 츤데레를 엉뚱하게 번역해서 손발이 오그라드는 경험을 많이해서 이런 대답을 한건 아닙니다 ㅋ (뭐 이런 시도가 좋다는 분들도 많이 계시지만요.;)

paemato    친구신청

2번. 자연스런 한쿡의 느낌이 좋습니다.
일본어를 배우면 배울수록 자연스런 번역의 힘을 느끼게 되더군요.

paemato    친구신청

달과별의선율// 코드를 느낄 줄 아는 사람은 번역을 하도 안해줘서 일본어를 다 배웠죠....
더러운 일본어... 영어나 배울걸......

라임맛녹차    친구신청

2번이 짱입니다!!!대신 2번으로 하시면 고생좀 하시겠네요 ㅎ 진짜 대박아니면 쪽박이니....ㅎ

by.Sam    친구신청

달과별의선율//일단 온라인쪽으로는 원하는 분량 수집은 완료했는데 이왕하는거 더 모아보려고 또 올렸습니다. ㅎ 마지막이에요.

오홍홍도    친구신청

저도 2번입니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끔 번역하면 오히려 더 재밌게 받아들여 지는게 많고, 타국의 문화중에 받아들이기 힘든게 많다고 생각되서 2번입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용되는 타국의 문화권 용어들은 오히려 해석하는 바람에 어색해 질수도 있기 때문에 2번이긴하나 1번이 약간은 섞여있는 2번이 좋지 않을까 라고 생각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후후후후

愉快한男子    친구신청

2번입니다
번역한다는걸 생각하면 외국어를 얼마나 우리나라말로 맛깔나게? 번역해주는것이 가장중요하다고 봅니다
어그로성 멘트일지모르겟지만 굳이 1번처럼 쨩,군 이런번역을 붙이는걸 원하면 번역판말고 원판하시던가...라고 말하고싶네요-0-;;
번역한결과물을 보는사람들중 모두가 일본문화의 특유의단어등을 알고있는 사람이 많을지...도 모르겟구요

주장이 엉망진창이라 죄송합니다-0-;; 여튼 2번입니다.
등짝좀 보자! 라는 초월번역이 있으니깐요 ㅋㅋㅋㅋ

CORA    친구신청

2번이요.

잉여엠페러    친구신청

2번이요

아무로레이    친구신청

단연코 2번. 만일 1번의 느낌을 살려야만 하는 부분이 있다면 각주 등으로 처리하면 될 문제라고 봅니다.

by.Sam    친구신청

아무로레이//사실 게임에선 주석달기가 애매한 부분이 많지요 ㅎ
기억에 남는 주석들은 이브 버스트 에러, 캐서린 정도일까요;;

아리도루    친구신청

2번이 좋네요. 만화책보다가 1번 같은걸 보면 왠지 손발이 오그라드는것 같아요

THE NErD    친구신청

저도 2번이 좋더군요. 특히나 한국과 일본처럼 비슷한 문화가 많은 나라에선 2번 번역이 매끄럽고 자연스럽잖아요.
참고로 센빠이는 많이 들어서 알고있었지만 나카마가 동료란건 첨 알았네요.

ㅋㅅㅋV    친구신청

전 1+2/2 요. 어느 언어건 각자가 풍기는 느낌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확실하게 2번을 지지하기엔 무리가 있죠. 그렇다고 1번을 지지하기에도 번역의 문제라던가 여러가지 문제로 번역이 이상하게 변하는 경우가 많죠.

상자1    친구신청

2번이죠. 1번은 전문번역으로 사용하기는 문제가 있습니다.
아름다운 우리말이 어쩌니 소중한 우리 문화가 저쩌니 하는게 아니라
번역이라면 당연히 해당 나라 문화에 맞춰서 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원본의 느낌을 100% 못 살린다? 못 살립니다. 불가능하죠.
하지만 1번 방식으로 번역을 해도 살리는건 불가능합니다.
원어 및 그 문화에 대한 이해력이 아주 뛰어난 사람이라면 몰라도
그런 사람 정말 소수입니다. 자기가 나름 알거 다 안다는 식인 사람들도
사실 반 이상 이해 못하고 있습니다. 확신합니다.
되려 어리숙한 지식으로 '이거 원래는 약간 다른 뜻 아닌가요?'라며
번역에 토다는 분들 신경 쓰면 안됩니다.
그런 거에 일일이 반응하면 번역이라는 것 자체가 성립이 안되니까요.
그렇다고 무조건 2번을 선호하는 것도 아닙니다.
일본 서브컬쳐 중 처음부터 오타쿠만을 겨냥해 나오는,
서브컬쳐 용어가 난무하는 계열의 물건은 어쩔도리가 없다고 봅니다.
원본 자체가 그쪽 계열 지식이 없으면 못 읽는 물건이니까요. 이건 원어민도 마찬가지죠. 그리고 우리나라에 들어와도 그쪽 계열 지식이 없는 사람은 안 건드립니다. 못 건드리죠. 이 경우는 특정 은어와 같은 용어들에 한해 일본식 용어를 그대로 들여와도 괜찮다고 봅니다.
하지만 선은 있죠. 위에서 예로 드신 くん이나 ちゃん과 같은 호칭, 일본식 말장난같은 경우는 번역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입니다.
이걸 번역하지 못하고 그대로 쓰는건 번역자 역량의 문제라고 생각되는군요.
..이상하게 글이 길어졌습니다만 요점은 기본적으로 2번 형식이지만 번역 대상을 고려해야 된다는 겁니다.
이런걸 조사하시는 분이라면 당연히 아시는 일입겁니다.
장르와 독자층을 고려하는 건 번역의 기본 아니겠습니까

가디즈1    친구신청

번역을 잘한다면 2번이 갑이죠 일분문화를 모르는 사람이라며 1번을 봐도 잘..
다만 어중간한 2번은 정말 안하느니만 못하더군요 그래서 전 2번!

by.Sam    친구신청

상자1//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ㅎ 물론 번역에 왕도는 없지요. 이번에 제가 잡은 주제의 메인은 번역자체보다는 게임에있어서의 번역 문제랍니다. 상자1님꼐서 말씀하신 번역대상을 고려해야되는 물건중 하나죠 문학이나 영화 심지어 에니메이션조차도 그에따른 번역기법이나 번역론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지 않지만 게임이란 분야는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지라 이번에 제가 한번 해보기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그 일환이죠 ㅎ 사실 제 전공은 번역보다는 문학쪽이라서요;; 아니 내가 지금 무슨 글을쓰는겨;; 저도 이상하게 글이 길어지네요. 졸려서 그런가...


여하튼 늦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댓글달아주신 모든 분들꼐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내일 하루도 즐거운 일들만 가득하시기를!

찰나From성령    친구신청

2번. 좋은 예로 등짝!등짝을 보자!가 있지요ㅋ

캐슬마인    친구신청

1,2번 양쪽 다 좋습니다만 2번의 경우, 번역자의 능력? 센스?가 중요시되기 때문에 어중간하게 현지화되서 의미가 바뀌거나 이상해지는 것보단 1번으로 고유명사화하고 주석같은걸 따로 다는게 좋더군요. 결론은 1번인건가...? (.. ;)
[기본] 대학 연구주제에 필요한 간단한 설문입니다. 댓글한번씩만 달아주세요- (7) 2012/06/13 PM 10:57
제가 이번 학기 일본어학 특강 연구주제로 일본 게임에있어서 번역을 주제로 삼았는데요.

그 일환으로 간단한 설문을 하려고합니다. 관심있으신분은 댓글 달아주세면 감사하겠습니다.

특정 게시판의 취향을 최대한 피하기위해 부득이하게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마이피에

글을 남기게되었습니다.

설문 내용은 게임 번역에있어서


1.원작 나라의 문화나 게임의 코드를 살리는 번역

ex)원피스 영문 자막의 일부 기술명이나 nakama(동료)표기, 페르소나3 북미판의 senpai(선배)표기,

일반적인 ちゃん쨩, くん군, 일본게임은 아니지만 쇼군시리즈의 병종이름 Yari Ronin(낭인 창병) 등


2.발매 되는나라(이경우엔 한국)의 문화나 코드를 존중하는 번역

ex)괴혼, 반숙영웅, 디스가이아1등의 한글화. 디스가이아1의 인명 번역사례 중

ゼニ(돈)スキ(좋아하다) =돈죠앙 등


둘 중 선호하는 번역 스타일은 어떤것인가? 입니다.

물론 경우에따라 다르겠지만 대체적으로 선호하는 번역 스타일을 고르시면 됩니다.

그냥1,2라고 써주셔도 감사하고, 간단한 이유도 써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아, 이전에도 두번 같은 글을 올렸었지만 이번이 마지막입니다 ㅎ

신고

 

Healing Planet    친구신청

역사왜곡 관련만 아니라면 당연 1번..
아즈망가대왕에 나왔던 번역.부산댁같은건 괜찮았던..
포켓몬스터 이름짓는것도 나름괜찮았던.

세르니아=이오리=프레임하트    친구신청

솔직히 2번.
선비같은 이유겠지만
1번은 게임하는 어린 학생에게 악영향을 줄 수도 있음.

F2SLikeG    친구신청

1번과 2번을 적절히 섞어주는 센스.

El_guaje    친구신청

2번

밀가루소녀    친구신청

2번
딱 들으면 느낌이 와닿을수 있게 적절히 현지화시켜서 해주는게 좋은것 같아요.

수줍수줍    친구신청

2번.

김상디    친구신청

일본의 문화를 존중하나, 그것이 번역된 게임으로까지 국내에 전파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일까? 라는 의문이 함께 하는 편입니다.
전 당연히 2번을 선택하겠습니다.

ps.이미 일본어의 잔재가 국어에 많이 있으므로...
[기본] 루리웹 유저분들의 힘을 빌려주세요! 간단한 설문입니다! (18) 2012/05/16 PM 10:13
제가 이번 학기 일본어학 특강 연구주제로 일본 게임에있어서 번역을 주제로 삼았는데요.

그 일환으로 간단한 설문을 하려고합니다. 관심있으신분은 댓글 달아주세면 감사하겠습니다.

특정 게시판의 취향을 최대한 피하기위해 부득이하게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마이피에

글을 남기게되었습니다.

설문 내용은 게임 번역에있어서


1.원작 나라의 문화나 게임의 코드를 살리는 번역

ex)원피스 영문 자막의 일부 기술명이나 nakama(동료)표기, 페르소나3 북미판의 senpai(선배)표기,

일반적인 ちゃん쨩, くん군, 일본게임은 아니지만 쇼군시리즈의 병종이름 Yari Ronin(낭인 창병) 등


2.발매 되는나라(이경우엔 한국)의 문화나 코드를 존중하는 번역

ex)괴혼, 반숙영웅, 디스가이아1등의 한글화. 디스가이아1의 인명 번역사례 중

ゼニ(돈)スキ(좋아하다) =돈죠앙 등


둘 중 선호하는 번역 스타일은 어떤것인가? 입니다.

물론 경우에따라 다르겠지만 대체적으로 선호하는 번역 스타일을 고르시면 됩니다.

그냥1,2라고 써주셔도 감사하고, 간단한 이유도 써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신고

 

노이즈맨    친구신청

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

semi oduk!!!    친구신청

이거 저번에 하지 않았나요? ㅋ
전 2번이요

차기 캡짱    친구신청

선택 : 2번
이유 : 자막 이해가 더 쉬울 듯 함

최후의수    친구신청

2

by.Sam    친구신청

주기적으로 하고있습니다. ㅎㅎ 가능한한 많은 의견을 모아보려구요.

초쳉    친구신청

2번.

거리글수    친구신청

2

아틀리에사랑    친구신청

2번

1은 정말 어쩔 수 없을 때 눈물을 머금고 씁니다

미키미키모던    친구신청

2

미키미키모던    친구신청

2가 좋지만 재대로 못할거면 1이 더 낫더군요.

밥 로스    친구신청

222222222

어흥늑대    친구신청

당연히 2번이 좋지만 발번역할꺼면 1번이 더 나을거같음

Coma Breed    친구신청

당연히 2번

자허토르테    친구신청

기본적으론 다들 2번으로 하려고 함
근데 특정 오덕 문화를 살리거나 하려면 어쩔 수 없이 1번으로 해야할 때가 있죠

I요한I    친구신청

센스가 좋다면 2번이 좋죠..

마리니1    친구신청

2번

1번은 사실 번역이라고 하기 힘들지 않을까요. 아는 사람들만 아는 그런 번역이 되어버리니. 그런데 2가 힘든 이유는 그만큼 센스를 발휘하기 힘들고 덕구들의 그 '원작의 느낌이 안난다' 타령 때문에...이렇게 말하는 저도 가끔은 2번 번역이 아쉬운 경우가 많으니.
한가지 사례를 들어보자면 FSS의 경우 중간에 역자가 바뀌었는데 전임자는 2번스타일이었고 후임자는 1번 스타일이었는데. 전임자의 경우 2번 돈죠앙 처럼 정말 엄청난 센스로 번역을 해주었고 독자들도 만족 했었음. 근데 후임자는 1번 스타일로 번역을 보고 원문을 유추가능할 정도의 사람이라면 무슨뜻인지, 어떤 개그였는지 이해할 수 있을 정도였지만....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겐 전임자의 변역을 그리워할 정도의 번역이었지요.
근데 오히려 몇몇 장면에서는 오히려 전임자보다 더 좋은 경우도 있었기에...2를 베이스로 하되 1번을 살리는것도 좋다고 생각함.
그리고 역자에게 더 중요한건 해당 작품이나 시리즈에 관한 지식의 정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이건 설문과 매우 관계 없지만, 시리즈 설정도 제대로 모르면서 지 맘대로 번역하는 역자들 보면 프로가 이정도 수준이라면 나도 하겠다. 라고 생각하게 됨)

만약 RPG 게임에서 기술 이름이 なげやり 라는 창을 던지는 기술인데 投げ槍의 뜻과 投げ遣り의 뜻을 합쳐서 케릭터가 엄청 대충대충 창을 던지는 약간의 개그성 기술이라면 1번 번역과 2번 번역 어느쪽이 더 좋을지. 일단 결과물을 내놓고 비교선택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함.

세가소닉    친구신청

역시나 2번 번역자센스가필요하죠

진리의아이유    친구신청

2번이지만 번역센스가 좀 필요할듯하네요
어떤결과가 되던 힘내서 잘마무리 하셨음 좋겠습니다 ㅎ
[기본] 루리웹 여러분들의 힘을 빌려주세요! 간단한 설문입니다! (49) 2012/05/10 AM 01:35
제가 이번 학기 일본어학 특강 연구주제로 일본 게임에있어서 번역을 주제로 삼았는데요.

그 일환으로 간단한 설문을 하려고합니다. 관심있으신분은 댓글 달아주세면 감사하겠습니다.

특정 게시판의 취향을 최대한 피하기위해 부득이하게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마이피에

글을 남기게되었습니다.

설문 내용은 게임 번역에있어서


1.원작 나라의 문화나 게임의 코드를 살리는 번역

ex)원피스 영문 자막의 일부 기술명이나 nakama표기, 페르소나3 북미판의 senpai표기,

일반적인 ちゃん쨩, くん군 등


2.발매 되는나라(이경우엔 한국)의 문화나 코드를 존중하는 번역

ex)괴혼, 반숙영웅, 디스가이아1등의 한글화. 디스가이아1의 인명 번역사례 중

ゼニ(돈)スキ(좋아하다) =돈죠앙 등


간단히1,2라고 써주셔도되고 간단한 이유도 써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이유는 안써주셔도 되요 ㅎ)




신고

 

나멜리아    친구신청

2. 번역이 괜히 2차 창작이 아니지요.
예전엔 전문 번역인이 작가수준의 대접을 받던 때도 있었다고 하던데 말이죠.
만화 번역가 중에서는 금정씨 번역이 최고죠. 다리미!

최후의수    친구신청

둘중 하나 고르라는건가요? 전 2 고르겠네요.

디쿠맨    친구신청

전 개인적으로 2번이 더 끌리네요.

Sizz    친구신청

저도 2번 고르겠습니다. 엉망인 번역이라면 문제가 있을지 모르지만, 제대로 된 번역이라면 2번일때 콘텐츠를 정말 즐길 수 있을 것 같네요.

★베지닭★    친구신청

2

포켓풀    친구신청

1번은 어설프게 번역이 번역된거 같은 느낌이 들어요 차라리 한국어로 써버리던지
2번의 경우에는 번역가의 센스가 필요할뿐더러 그 게임의 흐름에 필요할수 있는 명사를 적절하게 번역해서 더 좋아요

월천영    친구신청

저도 2번이요.

K_chic    친구신청

2

아아아아    친구신청

2

by.Sam    친구신청

아, 1번사례의 경우는 국내에선 보기힘듭니다. 그래서 영문번역사례중 몇개를 예로든거랍니다. ㅎㅎ

★베지닭★    친구신청

2 현지화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짱이나 군붙였을 때 일본문화 잘 모르는 사람이 접했을 때 뭐야 이거 -.- 이럴듯

새벽 산책    친구신청

ee

원작을 망치니 어쩌니하는 얘기도 있지만-
그런소리 할꺼면 원판으로 하라곳!

gbasagosipu    친구신청

저는 영어도 그렇고 1번이 더 좋습니다. 원문의 느낌을 알아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요. 각주를 달아주면 더 좋구요.

오만과 편견에서 엘리자베스를 엘리, 일라이자로 표현하는 것처럼요.

랫서판다    친구신청

저도 1번이 좀 더...

해츨링아린    친구신청

2
저 같은 경우는 ~쨩 같은 일본어 표현이 한국어 문장 안에 여과없이 포함되어 있으면 불쾌감을 느낌.

흙장미    친구신청

2번
처음 하는 사람도 알기쉬운 결과물이 나와야지요

블리치    친구신청

2번

오래된손님    친구신청

2번 !
충분한 주석이나 해설이 담긴 경우에는 1번이 더 좋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으니, 해당 국가의 문화나 실정이 반영된 2번에 한표 던집니다~

ilex cornuta    친구신청

불특정한 대상을 상대로 한다면 2번이요.

단 독자층 혹은 플레이어층 대다수가 해당 국가의 문화 코드를 잘 알고 있다면 1번도 나쁘진 않을것 같긴 합니다.

에흐    친구신청

2번요

7*7/0 14*1/1    친구신청

2번
아무나 부담없이 접근가능 할거같아요

폴리폴리오    친구신청

으, 갈등하다가 저도 오래된손님과 같은 의견으로 2번이 낫겠네요. 그런데 조금 애메한게 케이스 따라 틀릴것 같아용. 자막만 바꾸는거라면 1번, 아예 더빙+자막으로 한다면 2번이 나을것 같네요.

Now Loading...    친구신청

외국어를 전공하거나 좀 깊게 공부한 사람들은 알겠지만, 당연히 2번이죠.

원문을 그대로 옮겨 적어서 그 느낌을 그대로 살린다는 건 있을 수 없습니다.

아무리 각주를 적든 뭘 한다고 해도 번역물을 실제로 보는 건 그 외국어를 모르는 사람들인데 원어민이 받는 느낌을 그대로 받기는 커녕 각주만 보고 그런 게 있는가보다 하고 넘어가게 됩니다.

각주를 적고 넘어가는 건 정말 어쩔 수 없을 때나 하는 거구요. 물론 고유명사도 예외입니다.

차라리 의미나 그 정서에 가장 잘 맞는 번역을 해서 독자에게 보여주는 게 가장 원문에 가까운 느낌을 살릴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런게 번역에 있어서 실력이고 센스죠.

개인적으로 일본어 자막 만들 때 뒤에 '상'이나 '쨩' 붙이는 거 정말 싫으네요.

에흐    친구신청

슈퍼마리오에 나오는 구름위에서 망치 던지는 거북이도 우리나라

사정에 맞게 이름이 바뀌었다네요


밑은 설명입니다.
------------------------------------------------------------------
김수한무..?

아마 대부분은 김수한무라는 이름에서 물음표마크를 띄웠을지도 모른다.
사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본인조차 그러했으니까.
다만 여기에는 깊은 뜻이 숨겨있다.

먼저 위에서 언급하지 않은 쥬겜에 대해서 기억하시는지..?
일단 쥬겜또한 어설프게 알아봐서는 알수없는, 이름의 어원이 불분명한 캐릭터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김수한무라는 명칭은..

기억하는가..?
그 옛날 모 고전코미디프로에서 나왔던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라는 고전코미디소재를 말이다.

사실 이러한 소재는 일본코미디프로에서 온것인데
일본의 개그장르중 하나인 라쿠고에서 쓰이던 소재라고 한다.

그럼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의 일본어버전을 보자.

寿限無 寿限無 五劫の擦り切れ 海砂利水魚の 水行末 雲 来末 風 来末
食う 寝る 処に住む 処 やぶら小路の藪柑子 パイポパイポ パイポのシュ ーリンガン
シュ ーリンガンのグ ーリンダイ グ ーリンダイのポンポコピ ーのポンポコナ ーの 長久命の長助
「じゅげむ じゅげむ ごこうのすりきれ かいじゃりすいぎょの すいぎょうまつ うんらいまつ ふうらいまつ くうねるところにすむところ やぶらこうじのやぶこうじ ぱいぽぱいぽぱいぽのしゅ ーりんがん しゅ ーりんがんのぐ ーりんだい ぐ ーりんだいのぽんぽこぴ ーのぽんぽこな ーの ちょうきゅうめいの ちょうすけ」

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름이 시작하는 부분이
寿限無
일본어 발음 : 쥬게무
한국어 발음 : 수한무
인 것이다.

여기에 한국의 대표적인 성씨인 '김'을 붙여 만들어진 단어가 '김수한무'가 된다.

saza4mary    친구신청

게임내 세계관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만약 일본문화가 아니라 게임 자체적인 세계관을 다룬다면 2번이 더 끌립니다.
다만 호칭의 경우 당연히 번역이 되야겠지만 기술명 같은 경우엔 고유명사로 보는 편이 낫지 않을까 싶네요. 사실 정작 하다보면 번역 할때마다 매번 다르겠지만요.흨큼

폴리폴리오    친구신청

now loading // 싸움거는건 아니지만 '외국어를 전공하거나 좀 깊게 공부한 사람들은 알겠지만, 당연히 2번이죠.' 의 뉘앙스가 뭣도 모르는 사람은 1번이다 라고 말하는것 처럼 보여요. 오해의 소지가 있을법 하네요. 글쓴이님은 단순히 받아들이는 취향을 물어보는것 같은데 말이죠.

카시와자키 세나    친구신청

저도 1번을 고르겠습니다 !

토마토    친구신청

2

스나    친구신청

기본적으로 영어도 일어도 직역이 우선이라고 생각해서 1번고르겠습니다~ 2번은 국어능력이 많이 필요한지라...

Calyce    친구신청

2번 정말 센스있는 번역가라면

Laughing Man    친구신청

당연히 2번입니다.
일본의 호칭은 대체할만한 유사호칭이 있기도 하고..(상-씨, 사마-님, 군-군 같은.. 쨩은 좀 애매하지만 ㅋ)
원작 세계관의 문화를 최대한 살리되 현지화하는 번역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여기서 말하는 원작 세계관이란.. 언급하셨던 페르소나 같이 현재의 일본이 배경이라면 일본의 호칭이나 존칭문화를 살리되 대체할 수 있는 표현으로 번역을 하는거죠.)
간단한 예시라면 일본이나 외국은 성을 자주 부르지만, 우리는 그냥 이름을 부르는데 옛날 일본만화 번역한걸 보면 우리나라식으로 그냥 이름 부르는 거로 나오죠. 이런 부분을 살리되 번역과 표현은 현지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ㅋ

차도남    친구신청

직역은 그 문화를 알면 상관없는데 몰르면 어색하죠 차라리 의역좀 하고 좀 자연스럽게 번역하는게 첨 접해보는 사람이나 좀 알고 있는사람에게도 괜찬게 느껴집니다 2번

세가소닉    친구신청

2번입니다 걍직역해버리면 어감이라던지 그다지 맘에 안드는군요

물론 1번을해버리면 아는사람마만알고 모르는사람은모르니

문화자체가다르니 무슨말인지모르고 걍넘어갈때도있습니ㅡㄱ.

[쪼렙]    친구신청

2

forever10대    친구신청

초월번역이 가능하다면 당연히 2번
그 예가 페르소나4의 도라가 아이템 갓슈의 기지마
그리고 둠 코믹스의 각종 명언들

ArchAngelx    친구신청

당연히 2번.

한글로 얼마든지 대체할 수 있는데도 상, 쨩 붙는거 겁나 짜증납니다.

SFGFG    친구신청

전 1번,

2차 창작이라는 것 나름 존중합니다만, 원작(자)의 작품 내용을 최대한 원문에 맞게 전달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청오리    친구신청

2번이긴한데,

단, 번역이 어려운 부분을 억지로 번역하는건 좋지 않다고 봅니다.

진여신전생을 보아도, 명칭이나 기타 이름들을 원문 그대로 번역했고,
다른 대사나 그런건 2번을 많이 따랐던걸로 기억하네요.

일본역사에 관한거나, 혹은 딱 스토리 자체가 일본을 배경해야만 하는 경우엔 1번을 해야된다고 봅니다

S플래티넘    친구신청

2번이 좋죠
주석을 달아야하는 번역이라면 할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지라
바케모노가타리(괴물이야기)정발판이 잘됬죠
간장공장공장장을 강간공장장으로 번역하고 야하다고 태클거는거보면 찰져요

N.T.S    친구신청

2번~ 뭐든 융통성 있게~

김호덕    친구신청

2번입니다. 번역은 해당 언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봅니다.

PooLeeランサ―    친구신청

게임이라면 유저층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하네요.

만화를 예를들어 투러브 정발은 호칭 뒤에 쨩을 붙이는데 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읽는 독자들도 만화를 좋아하는 사람들만 읽을테니까요.

하지만 대중적인 작품, 드래곤볼이나 원피스에 쨩을 붙이면.. 젖같이 보이겠죠 ㅋ;

phantom-2    친구신청

2

beliron-    친구신청

2번이긴 한데 제대로 작품의 설정 및 뉘앙스등을 반영한 2번 방식.
(대신 유행어를 사용한 번역방식은 정말로 비추!!!그건 그 시대(?)에만 통용되니까요.)
컨텐츠의 내용이나 장르(?)에 따라서 1번 방식이 괜찮을 때도 있긴 하겠지만요.
(예를 들면 발음을 이용한 말장난 같은것들....물론 이것도 나름대로 현지화가 가능하겠지만...^^;;;)

by.Sam    친구신청

좀있으면 메인에서 내려가겠네요. 지금까지 답해주신 모든 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오늘 하루 행복한 일들만 있으시길!

trowazero    친구신청

2

도서도 그렇지만 번역이란게 직역을 잘하는 것보다 의역을
얼마나 잘하냐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즉 글솜씨가 있는 사람들이 뛰어난 번역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거죠.

KUROSAGI    친구신청

1번 선택인데...
1번을 번역을 잘해야됩니다..
그리고 장르,문화에 컨텐츠 등등 1,2번 선택을 잘해야된다고 생각되네요..
무조건 1번..무조건 2번 이건 아니라고 생각하네요..

don-quixotex    친구신청

2

비운의모사    친구신청

위에 분들 말대로 실력이 확실한 프로분들이 원문의 재미를 살려서 번역을 한다면 2번이 더 좋지요.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서브컬쳐의 경우 호칭이 꽤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서 호칭의 경우는 자연스러운 번역이 어려운 호칭은 그대로 쓰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시간 등의 한계로 초월번역이 어려운 아마추어 자막은 1번을 더 선호합니다.)
현재페이지1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