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onoon MYPI

orionoon
접속 : 137   Lv. 4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41 명
  • 전체 : 79465 명
  • Mypi Ver. 0.3.1 β
[WAVE NEWS] 포터블이란? (0) 2016/11/10 AM 10:55

제목_없음3.png

 

사실 포터블은 헤드파이 보다는 '휴대용'이라는 뜻으로 아주 널리 쓰입니다.
명사 앞에 '포터블'을 붙이면 무조건 휴대용이 되는 마법이죠.
포터블 오디오, 포터블 게임기, 포터블PC, 포터블 스피커, 포터블 난로(?) 등등 말이죠.

[출처] 포터블이란?|작성자 Psyhallo

 

신고

 
[WAVE NEWS] HI-RES 이어폰이나 헤드폰 (0) 2016/11/09 AM 09:36

제목_없음 (1).png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Hi-RES 인증을 받는 것은 무진장 어려운 일입니다. 

                   일단 제대로 된 측정기를 보면서 만들어야 하는데, 현재 20kHz 이상에서도 

                   정확성을 담보 할 수 있는 측정 환경이 무진장 비싸기 때문이죠. 

                   게다가 22kHz 이상을 귀로 듣고 차이를 알아낼 수 있는 사람도 거의 없다보니,

                   은근히 가혹한 제작환경이 된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Hi-Res 규격 발표 후 

                   관련 지원 드라이버가 늘어나다 보니 점점 더 만들기 편해지고 있기도 합니다.

 

신고

 
[WAVE NEWS] 행거형 이어폰은 좋을까? (2) 2016/11/08 AM 10:41

제목_없음2.png

OMX980. 행거만 튼튼하면 완벽했을 텐데 말이죠.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선호하긴 합니다.
오픈형이라면 행거형을 쓰는 게 제작자가 의도한 소리를 제대로 듣기에 좋기도 하고요.
다만.. 행거가 약하면 오히려 불안불안한게 문제죠.

 

 

 

신고

 

레드미스트    친구신청

오르바나 에어 오래전에 사서 다행이도 아직 잘 쓰고있어요.
이 후로 커널형 방식도 많이 사긴 했는데 오픈형의 매력이 있더라구요~.~

orionoon    친구신청

오픈형 특유의 개방감은 인이어로 재현이 어렵죠.
[WAVE NEWS] DAP는 필요할까요? (2) 2016/11/07 AM 08:22

undefined

제 개인적인 소견을 말하자면....

필요합니다.

가격은 안 착하지만 필요해요. 좋은 플레이어와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는 커요. 그냥 처음 들어서는 모르는 데, 좋은 음원과 좋은 플레이어는 음악듣는 취향을 바꿔버릴 만큼 강력한 물건이고 어마어마한 조합입니다. 

신고

 

Routebreaker    친구신청

리시버 > 음원 > DAC = DAP 라고 하면 얼추 맞을까요?

orionoon    친구신청

얼추 맞을 거 같네요. 그런데,
DAC≒DAP쪽이 조금 더 정확 할 거 같아요.
[WAVE NEWS] 금 케이블의 효능이란? (10) 2016/11/06 AM 08:31

1478358278140.jpg

 

재료로서 금은 썩 좋은 게 아닙니다. 그냥 은 보다 변질이 덜 되고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을 뿐이죠.
색이 이뻐서 금 도금선을 쓴다면 말릴 수야 없겠지만.. 전기가 금속 표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정말 미세한 차이가 생길 뿐입니다. 그걸 소리 차이로 느낀다면 그야말로 플라시보효과죠.

아니면 금도금으로 인해 임피던스가 높아졌다거나.. 케이블 성능을 따지려고 들면 도선의 두께, 

묶여있는 수, 금속 순도, 도금 두께등등 다양한 요소를 봐야 합니다. 

그런데 그걸 본다고 해서 차이가 큰 건 아니에요. 특히 이어폰 쪽은 더욱 더 그렇지요.

신고

 

키쿄    친구신청

차이 실제로 느끼지도 못할꺼같은데...

실제로 제품 놓고 하면 맞추지도 못할듯

orionoon    친구신청

맞추면 측정기입니다. 그럼요!

프린세스 버블검✅    친구신청

? 오디오에선 플러그 도금에 금이 들어가지 선재도금은 은을 쓰죠... 플러그 도금도 가끔 로듐 쓰고요.
그리고 오디오라는게 그 mV와 몇옴 차이에 소리가 확 변합니다.
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대게 정작 맹목적으로 아날로그만 좋아하거나 디지털도 뻥비트레이트는 전혀 경계 안하는 음알못.

orionoon    친구신청

아주 정밀한 오디오라면 그럴수도 있겠지요.

세컨트    친구신청

재미있는 사건글 하나 올려드릴게요
https://namu.wiki/w/%EC%88%9C%EC%9D%80%20SATA%20%EC%BC%80%EC%9D%B4%EB%B8%94%20%EB%85%BC%EB%9E%80
오디오 분야에서도 결국 비슷하겠지만 금칠한다고 그거 다 구분할정도면 기인입니다 ㅋㅋ
그냥 플라시보 효과에요...
그...음향분석 인터뷰에 항상나오던 배명진 교수님이시던가? 어떤프로에서 비교한거 영상 있었는데 거기서도 구분불가였음 ㅋㅋ

orionoon    친구신청

패션을 위해서 금도금선을 선택한다면 말릴 수는 없을 겁니다.
그런데 이어폰에서 그 차이를 식별하는 건 쉽지 않은게 맞고요.

라블루걸    친구신청

소리 출력만 살짝 올라가도 그게 음질이 좋다고 착각하는 게 사람귀죠.
플라시보 효과는 정말 모든 분야에 적용되는 만병통치약 수준입니다.
사운드에는 특히 더요.
시각적 효과도 중요한 게 스피커, 앰프, 캐이블 '브랜드'를 알고 듣든 것과 모르고 듣는 것에 또한 차이가 심합니다.

orionoon    친구신청

사실 볼륨 조절 기능은 굉장히
유용한 기능입니다.(음!?)

Ezrit    친구신청

진짜 오디오계에서 플라시보 효과는 엄청나더군요.
저는 오디오에 수천 투자했다는 사람이 오디오 인터페이스 USB케이블 고급으로 바꿨다고
녹음품질 올라갔다고 하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디지털 신호니 아무 의미 없다고 해도, 실제로 소리 좋아졌다고 우기니 속으로 머지 이 또라이는 했다는..;

orionoon    친구신청

디지털 신호 케이블은 선재 특서을 거의 안타죠.
사실 선재 특성을 탄다면 그게 더 이상한 일인 거고요.
이전 11 12 13 14 현재페이지15 다음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