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MYPI

=ONE=
접속 : 4517   Lv. 53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12 명
  • 전체 : 214462 명
  • Mypi Ver. 0.3.1 β
[일상잡담] 두부는 사드세요..... 제발 (18) 2020/12/17 PM 10:53

만드는 데 정신팔려서 사진이 띄엄띄엄 있네요ㅋㅋㅋ

 

1. 콩을 잘 씻어서 물에 불린다(여름엔 반나절, 겨울엔 하루).

2. 불린 콩을 잘 간다. 건더기 없이 미세하게 갈릴 수록 맛있다기에 분쇄기-믹서기 2단계로 갈음.

3. 큰 들통에 물을 1/3정도 받아 끓인다. 원래 밖에 있는 가마솥으로 끓이려했으나 날씨가 말도 안되게 추워서 주방 가스렌지로 함.

img/20/12/17/17670e5fcb0b2a0a.jpeg

4. 들통의 물이 끓으면 갈아둔 콩을 천천히 부어 뭉근히 끓인다. 콩물이 너무 진하면 눌어붙을 수 있으므로 나무주걱으로 잘 저어가며 적당량만 섞는다. 가마솥 말고 들통으로 하느라 두 번에 나누어 끓임ㅠ

img/20/12/17/17670ed2d23b2a0a.jpeg

5. 콩물이 보글보글 끓으면 면포로 콩비지를 거른다. 콩비지가 식으면 뭉쳐지면서 콩물이 안 빠지니 뜨거울 때 꾹꾹 눌러가면서 콩물을 뺀다.

img/20/12/17/17670edb9c5b2a0a.jpeg

6. 걸러낸 콩물이 아직 뜨거울 때 간수를 약간 섞는다. 살짝 넣고 저어주고 간보고, 살짝 넣고 저어주고 간보고 하다보면 뭔가가 몽글몽글 뭉치기 시작함.

7. 두부틀에 면포를 펴놓고 몽글이들을 천천히 부어준다. 몽글이들이 면포의 구멍을 막으면 뜬물이 잘 안 빠지니 주걱으로 살살 긁어주면서 하면 좋다. 두부틀에 몽글이들이 다 차면 면포 끄트머리를 여며 덮어주고 두부틀 뚜껑을 닫아 무거운 걸로 몇 시간 눌러준다.

8. 두부틀에서 두부를 꺼내 맛을 본다. 응고제가 아니라 간수를 써서 그런가 맛이 무지하게 쓰다. 대야에 물을 가득 받고 두부틀에서 꺼낸 두부를 통째로 퐁당 담궈 쓴 맛을 빼준다.

img/20/12/17/17670f7f44cb2a0a.jpeg

9. 쓴 맛이 적당히 빠진 것 같으면 썰어서 먹는다. 김장김치랑 먹어도 되고, 볶음김치랑 먹어도 되고, 양념간장이랑 먹어도 되지만 간수로 굳힌 전통방식 두부는 그냥 순정으로 먹는 게 제일인 것 같다.

10. 들인 품과 시간 등등을 계산해보고, 다음엔 그냥 사서 먹어야겠다고 다짐한다.

11. 대기업 두부, 마트 두부, 시장 두부 등 여러 시판 두부들을 사먹으며 항상 뭔가 부족한 느낌에 시달린다.

12. 울면서 이 짓거리를 또 한다. 킹치만 시판 두부에선 이런 맛이 안 나는걸ㅠㅠㅠㅠ

신고

 

Fluffy♥    친구신청

시장 두부가 땡기네요. :3

=ONE=    친구신청

몽글탱글 고소담백한 두부가 채고시죠ㅎㅎ

왈로위츠    친구신청

이 날씨에 이 손 많이 가는걸 직접 하시다니....근데 수제두부의 고소함은 진짜 최고
비지 좀 주십시오 굽신굽신 ㅋㅋ

=ONE=    친구신청

큰집 잔치날에 큰어머니께서 해오신 두부맛이 사먹는 두부보다 훨씬 맛있더라구요.
그게 다 고생의 맛이었음을 이제야 깨닫네요ㅠㅠ

비지는 내일 고추기름 내고 앞다릿살 송송 썰어넣어 비지찌개 끓여먹을 겁니다ㅋㅋㅋㅋㅋㅋ

SillyWalker.    친구신청

사먹겠습니다

=ONE=    친구신청

현명한 선택이십니다ㅎㅎ

룰뷁씨    친구신청

진짜 공장두부 말고 손두부 먹어보면 맛이나 식감 등등이 차원이 다르죠..
두부제조기를 사보고 싶긴한데..
그래도 손가는건 똑같은듯..

=ONE=    친구신청

두부맛이 다 거기서 거기같지만 손두부는 확실히 다르더라구요.
어렸을 때는 순전히 큰어머니 손두부가 먹고싶어서 큰집 가고싶다고 떼쓴 기억도 나네요ㅋㅋㅋㅋㅋㅋ

†아우디R8    친구신청

으아아;;;;
두부 직접 만드는거 되게 번거로운데 ㅠㅠㅠㅠ

=ONE=    친구신청

손은 오지게 많이 가는데 응고제 대신 간수로 만들면 양도 적게 나와서 이중고더라구요ㅠㅠ
킹치맛 맛있는 건 정말 참을 수 없어서 울면서 이 짓을 또 하네요ㅋㅋㅋㅋㅋㅋ

츄푸덕    친구신청

한입만!!!!!!!!!!!!!!!!!

=ONE=    친구신청

헤이!! 메이킹 뚜부 츄라이 츄라이~

SAY L    친구신청

콩 간것만 따로 사실수 있습니다. 바로 끓이면되서 품이 상당히 절약되죠.. 간수는 조금만 많이 넣어도 쓴맛이 확 올라오더라구요.. 그럴땐 그냥 간을 쎄게 해서 커버를;

=ONE=    친구신청

콩 곱게 가는 것도 일이더라구요ㅎㅎ 어차피 논두렁콩 남은 걸로 만드는거라 품보다 재료비를 아끼는 길을 택했습니다ㅎㅎ
간수는 몇 번을 해도 적당히를 모르겠어요ㅋㅋㅋㅋㅋㅋ 안뭉치는 것 같다가 조금 더 넣으면 갑자기 확 뭉치기 시작하면서 쓴맛도 확ㅠㅠㅠㅠ

IAMGAME    친구신청

대단하시네여~~

=ONE=    친구신청

그냥 한 번 해봤습니다ㅎㅎ

놀면뭐하니 열심히살자    친구신청

시판두부는 기름을 쫙 뺴놔서 고소한 맛이없죠.. 그래서 흔히 말하는 콩비린내가 안나는 대신이 맛이 무미건조하죠..

=ONE=    친구신청

콩비린내라고 하는 독특한 향 때문에 이 고소함을 포기하긴 아까울 것 같아요ㅎㅎ
그래서인지 호불호 갈린다는 음식들도 되도록이면 먹어보려 하는 편이네요.
[일상잡담] [노잼글 주의] 똥통에 빠진 진흙 속의 진주 (1) 2020/12/08 PM 10:55

저녁 먹고 마약피 빨던 도중 흥미로운 영상을 보았습니다.

 

'과학적으로 비교한 진보와 보수의 뇌'

'진보의 뇌는 자기조절을 못한다?'

 

아니 이건 무슨 뿌슝삐슝빠슝안녕하세요병신티비입니다오늘은개똥빨아먹는소리를들려드릴까합니다같은 소리야.


영상을 보았습니다.

아니 이건 무슨 뿌슝삐슝빠슝안녕하세요병신티비입니다오늘은개똥빨아먹는소리를들려드릴까합니다같은 소리야.

 

검색해서 원문(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0-72980-x)을 읽어봤습니다.

...... 별 문제 없는데?


 

 

엄밀히 따지자면

1. 연구대상자들의 부족과 편중

2. 자기평가방식 정치적 성향 구분의 불명확성

3. 정치적 극단주의가 정서적 경직성에 주는 영향을 고려할 때, 극단적 지지자에게도 이 연구결과가 적용된다 보기 힘듦

이런 한계들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연구 내적으로는 (뇌과학 전공이 아닌 일반인이 보기에는) 별 문제가 없는 논문입니다.

연구진들은 뇌의 특정 영역에서 보수주의자들의 강한 연결 강도에 주목했을 뿐

그것이 뇌의 모든 기능에서 그렇다거나, 진보주의자들은 그런 강한 연결이 없다거나 등의 언질은 하지 않았거든요.

 

게다가 다른 영역에서는 진보주의자들이 상대적으로 더 강한 연결 강도를 지니거나,

다중 비교에 의한 교정 이전의 normalized modurality에서는 진보주의자들의 평균이 더 높지만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고 그냥 넘어갔네요.

괜찮아요. 왜냐하면 그 부분은 연구의 목적에서 벗어나는 거니까요.

 


 

그러면 문제는 무엇인가.

 

 

 

영상 내에서 이런 얘기를 합니다.

 

"아무튼 연구진은 총 106명의 서울대 학생들을 모았습니다."

"~ 진보는 42명, 보수는 16명, 중도는 44명이었습니다."

 

... 이상하지 않아요?


42 + 16 + 44 = 102

106명이라며???

 

 

 

원문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원래 모집한 대상은 116명입니다.

그 중 심리학적 테스트와 면담을 통해 102명을 선별해 연구했다고 합니다.

논문 전체를 뒤져봐도 106이란 숫자는 딱 네 번 등장합니다.

측정 대상자가 촬영한 뇌영상에서의 관심 영역 수 (106 ROIs).

어떤 저널의 통권 106호.

다른 저널의 통권 106호.

다른 저널의 1069쪽.

대체 106명이란 듣도보도못한 수치는 어디서 튀어나온 걸까요?

 

 

흥미로운 것은,

2020년 11월 17일에 중앙일보, 매일경제, 한국일보, SBS, 국민일보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와 관련된 기사를 쏟아냈는데

그 기사들에선 죄다 '106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다고 하네요.

보도자료를 돌려봤는지 내용도 대동소이하고요.

의학전문 미디어가 아닌 메이저 언론사 중에서는 '특정 성향'의 언론들이 주로 이 기사를 실었다는 점도 특기할 만 하네요.

 

 

그 기자들은 대체 원문을 읽어보긴 한 걸까요? 뭔 생각으로 기본적인 사실확인도 채 안된 기사를 올릴까요?

그리고 이 유투버는 대체 원문을 읽어보긴 한 걸까요? 뭔 생각으로 기본적인 사실확인도 채 안된 영상을 만들까요?

그리고 그걸 퍼나른 모 마이퍼는 대체 (이하 생략)

 

 

추측하자면 이렇습니다.

연구진은 그저 뇌과학자이자 뉴로폴리틱스 연구자로서 정치적 성향과 뇌 신경망의 구조가 연관이 있는지 연구했을 뿐이고

기레기들은 원문도 안보고 연구 일부를 잘라 오독을 유도하도록 자극적으로 맛사지하고는 그걸 서로 파쿠리하면서 기레기짓 했으며

렉카유투버는 원문 본 척 기사만 읽고 기레기들도 남겨놓은 단서조항마저 빼놓은 채 어그로 옴팡 끌리는 자극적 영상을 만들고는

'저어는 중립입니다.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전달했을 뿐이니 반박하려면 SCI급 논문 들고왕ㅋㅋㅋ'이라며 조회수 달달하게 뽑고

팔랑귀는 귀가 팔랑팔랑해서 똥인지 된장인지 모르고 좋다며 헤헤 퍼온 것 같네요.

 

 

 

네 줄 요약

1. 연구진은 연구했는데

2. 기레기가 기레기짓 하고

3. 렉카유투버가 렉카유투버짓 하고

4. 팔랑귀가 팔랑귀짓했다.

 

 

네 줄도 길다면, 한 줄 요약

진주를 진흙으로 코팅하고 똥통에 빠트려 똥으로 뒤덮고는 똥 묻은 손으로 던짐

 

 

p.s - 조회수 대비 어그로가 과하게 튀었는지 23:30분 기준으로는 영상 제목도, 썸네일도 바꿔놨네요.

신고

 

루리웹-0114684163    친구신청

알통이 굵으면 보수 생각나네 ㅋㅋㅋㅋㅋ
[일상잡담] [도움!] 멀티페어링시 엑박 4세대 패드가 많이 편할까요? (2) 2020/11/26 PM 02:31
360 유선패드를 10년째 쓰고 있습니다;;;

 

PC와 노트북에서는 USB 연결해서,

안드 폰과 탭에서는 OTG젠더 연결해서,

아이폰에서는 활용 못 하고 있는데요

 

선 없는 생활로의 전환 + 지름신 입질로

엑박패드 3세대 또는 신형인 4세대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PC용 신형 무선 리시버는 (구할 수 있으면) 같이 구입할 예정이고

충전지는 기존에 사용하던 거 돌려쓰면 될 것 같으며

4세대 패드의 개선점이라는 공유버튼은 어차피 안 쓰는데다

그립감이나 십자키 개선은 360에서 넘어간다 쳤을 때 3세대든 4세대든 신세계 수준이니

이런 기타 제반 여건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PC, 노트북, 안드폰, 안드탭, 아이폰을 넘나들며 사용하는 환경에서

(아이폰에서 4세대 패드가 아직 지원 예정인 건 알고 있습니다)

멀티페어링 지원되는 4세대 패드의 편의성이 크게 차이 날까요?

 

큰 차이 없다면 당근에 저렴하게 올라온 3세대+신형 리시버 사오고

차이가 크다면 4세대 패드 신품으로 사고 신형 리시버 구하러 발품 팔려고요ㅎㅎ

신고

 

하얀고래    친구신청

크게 차이는 없다는게 중론입니다.
십자키 개선은 확실하지만 격투게임 말고는 요즘 거의 안쓰이는편이고
저렴한 3세대 추천 드립니다.

=ONE=    친구신청

댓글 감사합니다.
관련된 정보가 부족해서 레딧같은 곳 뒤져봐도
마소가 말하는 '멀티페어링'이란 기능이
흔히 생각하는 '버튼 한 번으로 여기 붙였다가 저기 붙였다가' 가 아니라는 얘기도 많아서
아직까지는 4세대의 특별한 장점이 없는 것 같네요.
[일상잡담] 김장한 날 저녁은 모다? (8) 2020/11/22 PM 11:14

아침에는 배추 절이고

 

오전에는 마늘 양파 무 다듬고

 

점심에는 아버지가 어제 '백파더' 보고 만드신 프렌치토스트 대충 먹고

 

오후에는 영화 보면서 마늘 양파 무 청양고추 갈아서 김치 양념 만들고

(영화 클라이막스때 눈이 매워서 펑펑 울었네요. 암튼 눈매워서임ㅎㅎ)

 

저녁에 배추김치 총각김치 호박김치 동치미 만들어서 창고에 그득그득 쌓아놨어요.

 

바빠서 정작 김장 사진은 없네요ㅋㅋㅋㅋㅋㅋ


 

 

 

 

 



김장한 날 저녁은 약속된 메뉴...


 

 

 











img/20/11/22/175f04b499ab2a0a.jpg

 

 


스떼이끼!!!!!!!

(막 찍어서 그런가 너무 까맣게 나왔네요ㅎㅎ)




부모님 몫까지 고기 3토막 손질한 뒤 소금, 후추, 올리브오일로 밑간해서 상온에 한 시간 정도 놔뒀다가

 

미리 예열한 에어프라이어에 70도로 한 시간, 뒤집어서 다시 한 시간.

 

팬에 버터 올려서 녹인 뒤 겉면 고루고루 굴려가며 잠깐 굽고

 

잔열감 있는 에어프라이어에 다시 잠깐 넣어서 레스팅하는 사이

 

길게 찢은 새송이버섯을 육즙먹은 버터에 후다닥 볶고

 

너무 숨이 죽기 전에 접시에 휘리릭 하고

 

갓 만든 생김치 좍좍 찢어서 레스팅하던 고기와 같이 내가면 끝~





img/20/11/22/175f04bc7edb2a0a.jpg

 


여기까지 읽느라 고생하셨으니 한 입 드세욯ㅎㅎ

신고

 

Fluffy♥    친구신청

고생 많으셨어요. :3

=ONE=    친구신청

감사합니다. 플러피님 마이피에서 많은 힘 얻고 갑니다(❁´◡`❁)

레온스페리온    친구신청

김장이면 보쌈이지 하다가 스테이크 보고 깜짝놀랐네요ㅋㅋ
스테이크와 김장조합도 나쁘지는않네요^^

=ONE=    친구신청

매콤하고 아삭한 생김치와 함께라면
보쌈이든 스테이크든 다 고기서 고기 아니겠습니까ㅎㅎ

츄푸덕    친구신청

수육, 갈비탕, 곰탕, 국밥처럼 물에 담근 고기를 싫어하다보니
김장김치에 스테이크가 정말! 좋아보입니다!
와 나는 왜 그 생각을 못했을까!!!!!!!!!!

=ONE=    친구신청

사실 선물받은 소고기를 처리하려다보니 얻어걸린 조합이에요ㅋㅋㅋㅋㅋㅋ
다음번엔 스떼이끼를 김치에 싸서 드셔보세요~

엘사아렌델    친구신청

고기와 새김치를 먹기위한 노력! 고생하셧네ㅇ요

=ONE=    친구신청

양념 만든다고 하루 종일 흘린 눈물이 아깝지 않은 맛이었습니다.
고기는 언제나 옳다!!!
[일상잡담] 영화 '빅 피쉬' 후기 (8) 2020/11/22 PM 05:50

김장 하면서 TV를 틀었는데 EBS에서 해줌.

몇 번을 봤지만 다시 봐도 새롭게 다가오는 영화.


팀 버튼식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

허풍은 떨지언정 구라는 치지 않는, 이 시대의 모든 남작들을 위해.




Have you ever heard a joke so many times you've forgotten why it's funny?

And then you hear it again and suddenly it's new.

You remember why you loved it in the first place.

That was my father's final joke, I guess.

A man tells his stories so many times that he becomes the stories.

They live on after him.

And in that way, he becomes immortal.

 

 


img/20/11/22/175ef242a22b2a0a.jpg

 


한줄 요약: 최후의 스토리텔링이라는 건... 스토리텔러 자신이... 스토리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제 점수는요~

★★★★☆

신고

 

고져스크라이스트바티스타    친구신청

팀버튼 최고의 작품 중 하나

=ONE=    친구신청

팀 버튼 감독 작품들 중 유독 뽀사시한 느낌이라 이질감이 느껴지면서도
구석구석 보이는 무언가 뒤틀린 블랙조크 보면 친숙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그러더라구요ㅎㅎ
믿.보.팀

꼭지    친구신청

마지막에 감동

=ONE=    친구신청

흑흑흑 이건 양파 갈아놓은 게 매워서 흐르는 눈물이여 절대 울컥해서가 아니여 흑흑흑

Redsim7828    친구신청

극장에서 봤던기억이 나네요
눈 많이오던 겨울이었는데...2003 년인가?벌써,,,

=ONE=    친구신청

아마 태극기 휘날리며랑 비슷한 시기에 개봉했던 것 같아요.
친구들이랑 이거 볼까 저거 볼까 하다가 남자라면 전쟁영화지! 하며 태극기 들어갔던 기억이 떠오르네요ㅎㅎ

돌아온leejh    친구신청

명작입니다

=ONE=    친구신청

어떻게 끝나는지 이미 잘 알고 있지만
몇 번을 봐도 질리지 않고 다시 정주행하게되는
말 그대로 명작이죠ㅎㅎ
이전 현재페이지11 12 13 14 15 다음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