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 MYPI

택~*
접속 : 4947   Lv. 5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221 명
  • 전체 : 81158 명
  • Mypi Ver. 0.3.1 β
[기본] 진짜 오랜만에 혼자 극장에 가려 합니다. (10) 2013/12/20 PM 02:19
이미 극장 예매까지 마친 상태입니다. 인터넷 예약으로다가

아침 9시에 조조로 변호인 보며 눈물 콧물 좀 짜고

바로 이동해서 11시 30분에 퉁퉁 부운 눈을 웅켜잡고 호빗을 보려고 합니다.


지난번에 집앞 너때시네마를 갔었는데 아담함에도 불구하고 시설 자체는 꾀 좋게 해놨더라구요.

의외로 혼자 보러 오는 사람도 좀 되구요.

분명 제가 고등학교 다닐때까지만 해도(지방) 극장이 좌석제가 아니여서 오전에 보러 가서 한 2-3번 보고

나오곤 했었는데 (고딩 때 타이타닉을 그렇게 해서 서서 봤다능)...

언젠가부터인지는 모르겠는데 극장에 혼자 가서 보면 좀 이상한 시선같은걸 느낄때가 있더라구요.

제가 혼자 갔을때 그런게 아니고 극장에 혼자 온듯한 사람들을 쳐다보는 시선같은게 느껴진다랄까요?

우야둥둥


내일은 오전 반나절 동안 싕나게 영화나 보고 와야겠습니다.




걱정인건


변호인 보면 눈물 흘릴거 같은데.....호빗 보러 들어가는데 눈 퉁퉁 부어있으면....그게 더 민망.....

음....






신고

 

글리젠 마스터    친구신청

선글라스 끼고 가세요

Plastika    친구신청

전 정말 영화를 연달아 극장서 본적은 없는것같네요. 한편만 봐도 기력이 빠져서ㅜ 킹콩보다 졸도하는줄 알았습니다(피터잭슨) 스태미너가 부럽네요

신겟타    친구신청

올해 왕십리에서 조조 한편보고 집근처에서 블루재스민이 시간이 맞아서 달아서 봤는데 두편째에는 어쩔 수 없는 졸음이...ㅡ0ㅡ;;;
전 거진 혼자 보러 다녀서 눈치줘도 신경안쓰고 봅니다~~ㅎㅎ

모짜렐라듬뿍    친구신청

전혀 그러실 필요 없어요.
혼자 오시는 분도 꾀나 많답니다.

택~*    친구신청

체력은 예전만 못하지만 그래도 보면서 졸진 않겠지요~
호빗이 초반에 좀 지루하다던데...일단 아메리까노 진하게 대용량으로 같이 들고 가려고 합니다.

개리와지효    친구신청

호빗이조금 지루한 편이라 그냥 점식 식사 하시고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연달아 보기에는 호빗이라는 영화는 좋지 않습니다.

Plastika    친구신청

변호인은 저도 봤는데 내용보단 배우들연기가 일품이엏습니다

리자드걸    친구신청

눈물 참기 힘든 영화지만 눈 붓는건 막을만합니다 크윽 ㅠ

택~*    친구신청

호빗 1편보다 더 지루하나요? 1편은 한 3-40분 참 지루하던데 ;;;;;

톱을노려라    친구신청

혼자 영화 보는 사람들 의외로 많습니다.

그러니 전혀 신경쓸 필요 없죠
[기본] 프로젝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2013/12/04 PM 06:22
이번에 부모님댁에 프로젝터 하나 설치해 드릴려고 합니다.

지난번 내려갔더니 테레비가 너무 작다고 하셔서....

물론 거실 크기 대비해서 테레비가 좀 작긴 했지만 그래도 47인치 테레비가 작다고 하심.....;;;;

여튼 대안은 프로젝터 밖에 없을 듯 하여 프로젝터를 이리 저리 알아보고 있습니다.


다행히 고향에 아는 형님이 이쪽 계통의 일을 하고 계셔서 통화를 해보니

프로젝터는 다른건 모르겠고 옵토마꺼는 딜러가로 제공 가능하고

스크린은 120인치 짜리 사무실에 굴러댕기는거 하나 가져다 쓰라고 하십니다.


부모님이 주로 쓰실 용도는 외장 하드로 연결해 영화 보시는거구요. 간혹 셋탑에 연결해 테레비 시청

정도가 될 듯 합니다.

첨에 usb 동영상 재생 + spdif 출력 + hdmi 2 포트 요 옵션으로 프로젝터를 찾아보니.....

가격이 엄한 제품들 외엔 선택권이 아예 없더라구요....



그래서 다시 생각한게 디빅스 플레이어(usb 지원되는)하나를 사고

프로젝터는 그냥 100보 양보해서 적당한 것으로 사기로 했습니다.


다른건 필요없고

hd급 화질에 어느정도의 밝기(낮에도 커튼치면 볼 수 있을 정도의 안시정도면...)에

오디오 출력단자만 있으면 될 듯한데...hdmi 단자는 2개 있었음 더욱 좋겠고요.

생각하는 가격대는 최대 80만원 정도 생각합니다.


옆동네 글을 올렸었는데 영 반응이 시원찮네요 ㅠ_ㅠ;;


아 그리고 hdmi to d-sub 케이블로 셋탑에서 프로젝터로 영상만 전송 가능하겠지요?

신고

 

하암    친구신청

lg pa75k 700 안시 어떠신지?

택~*    친구신청

지금 가장 유력한 후보는 그녀석인데....아무래도 좀 맘에 걸리는감이 있어서요

지나가던행인    친구신청

저는 옵토마 hd21을 보고 있는데요 fhd에 1900안시 가격은 50만원대입니다

택~*    친구신청

hd21은 인터넷 최저가가 110만원 정도 하는데요?

하마아찌    친구신청

저도 지금 혹해서 알아보니 50만원은 렌즈만 파는 놈이네요 --

김꼴통    친구신청

1. 일단 lg 추천

2. 프로젝터의 동영상 재생기능은 대체로 참 후집니다.
그리고 디빅플레이어보단 싸게 베어본을 맞추는걸 추천.
두개 다 해보고 드리는 말씀임.

3. 모바일이라 글을 듬성듬성 봤는데
영상 연결은 그냥 스펙데로 간다고 보면 됨

택~*    친구신청

제가 쓸게 아니고 부모님이 쓰실거라 거기에 외장하드가 이미 있습니다.
제가 쓸거였음 베어본 같은거 생각도 안하고 그냥 있는 pc에 물렸겠죠^^

실카루    친구신청

dvdprime도 한번 가보세요. 홈시어터 꾸미시는분들이 많아서
참고 되실지도~ 아 너무 깊이 보시면 풀HD에 고급 스피커로 넘어가실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택~*    친구신청

이미 깊이 빠질데로 빠져서 살고 있습니다 OTL.....
제가 쓰는건 55" LED 에 클립쉬 RF 시리즈로 룸씨어터 해놓고 살죠 ㅎㅎ
[기본] 소니 MDR-DS6500을 샀습니다. (1) 2013/11/08 AM 09:00
얼마전에도 마이피에 문의겸 해서 글 썼었는데요.

엊그제 결국 지름신을 이기지 못하고 질렀습니다.

어제 밤 늦게(9시가 넘어서)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늦은 시간까지 하시는 대한통운 택배 기사님 드릴려고 캔음료 하나 준비하고 기다리고 있었는데

너무 바쁘게 가셔서 음료수 못 드렸네요;; 뭐 그건 그거고...


여튼 어제 부랴 부랴 설치...(라고 해봐야 케이블 2개 꼽는거 밖에 없습니다...)하고 감상해 봤습니다.


가장 큰 목적이었던 영화 감상을 해봤는데 리시버 SPDIF 출력단에 물려서 하니 바로 DD 및 DTS 바로 인식하더군요.

앰프 자체가 따로 있어서인지 리시버의 볼륨을 Mute 해놔도 헤드폰에서는 소리가 잘 나왔고요.

야간에 쓰려고 했던 목적은 100% 달성했습니다.


근데 이놈.....생각보다 음색이 제가 생각했던 거랑은 다르네요.

영화 감상용으로 구매했는데 음색이 중, 고음에 더 탁월합니다. 물론 저음이 없는건 아닌데 영화 감상할 때의 임팩트를

주기에는 영 부족한 듯 합니다.

폭발씬이나 기타 저음의 양감이 필요한 부분에서 두우우웅 하고 여운있게 양감있는 저음이 울리는게 아니라

도옹 하고 짧게 양감도 부족하게 울리고 말아버리네요 ㅡ,.ㅡ;;

헤드폰 자체 볼륨을 올려도 보았지만 중고음도 같이 올라가버려 귀만 더 따가워질뿐 저음의 양감은 크게 늘지 않더군요.

그리고 가상 7.1 서라운드 테스트

우선 5.1 테스트 소스로 돌려보니 분리가 확실히는 되는데, 뭔가 각각의 채널에서도 다른 채널의 소리가 약간씩은 들립니다.

이는 헤드폰 특성상 그런거라고 생각하고 넘어갑니다.

일반 dts-es 소스를 7.1 채널로 업하여 감상해봤습니다.

오.....공간감 표현은 그럭 저럭 괜찮네요. 어거지로 늘려놓는게 아닌 뭔가 좀 자연스러운 느낌이 듭니다.

제 방이 소음에 좀 신경을 써서 평상시 컴퓨터를 켜놔도 25db을 넘지 않습니다. 많이 조용한 편이죠.

이 상태에서 헤드폰을 벗어 영상 감상시 소리가 얼마나 새는지 시험해 봤습니다.

딱 맞는 조건은 아니겠지만 허벅지에 헤드폰을 밀착시켜 최대한 소리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해봤는데

생각보다는 소리가 많이 새어나가네요. 볼륨을 최대로 했을시(이렇게 쓸 일은 거의 없겠지만)엔 휴대폰의 작은 음량으로
영상을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하는 때와 비슷한 수준까지 소리가 샙니다.



뭐 한 3시간 정도밖에 사용 안해봐서 아직까진 100% 성능은 아니겠지만

일단 첫느낌은 이렇네요. 이래 저래 해서 20만원 들었는데 20만에 이 정도라면 솔직히 돈값은 못한다는 생각이 ㅠ_ㅠ

확실히 뭐래도 헤드폰보다는 직접 스피커로 듣는게 백만배는 좋은거 같습니다.

신고

 

㈜有我獨存™    친구신청

아마 7500을 샀으면 중저음 조절하는 옵션이있는데..
6500보다는 7000이상으로 가셨어야 한다고 봅니다.
[기본] SONY MDR-DS6500 무선 헤드폰 써보신분? (16) 2013/11/05 PM 03:49

요사이 들어 부쩍 A/V (어덜트 비됴 아뉨)쪽에 다시금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그냥 저냥한 리시버(데논 1802)에 클립쉬 RF-35 시리즈 물려 사용하며

PC에 물려서 주로 영화 및 애니 감상하고 게임 좀 하고 음악은 비중이 한 10% 정도 될 듯 합니다.
(분명 전에는 음악이 50% 넘었었는데;;)

여튼


낮에는 일하고 주로 저녁부터 밤에 기기들을 사용하니 볼륨에 대한 제약이 크지요.

특히 블록버스터급 영화들을 개미 눈물만한 볼륨으로 틀어놓고 감상해야 할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뭐 주말 낮에는 어느 정도 올려놓긴 하지만 이거도 한계가 있고요....

그래서 헤드폰을 한번 알아봤는데....


SONY MDR-DS6500 요 제품이 평이 괜찮네요?

무선인 점도 좋고

가상 7.1 이라는게 좀 걸리긴 하는데 사용해보신 분들 글을 보면 공간감은 좋다고들 하시고.....

써보신 분들이나 사용하고 계신분들 ... 저거 어떨까요?

20만원 초반대 가격이던데...

신고

 

Cirrus    친구신청

이뿌네영..

붉은사과    친구신청

지금 사용 목적에 아주 잘 어울린다고 생각되네요. 주변에 피해도 안주고. 전 DS7500쓰는데요. 가상화는 좌우 빼고는 잘 모르겠더라구요. DS7500만 있는 버그인지는 몰라도 중간에 켜면 광출력으로 전환이 되서 음이 안나오는 사태가;;; 그래서 몇번을 모니터(라고 쓰고 티뷔;;)를 켜고 끄기를 반복 중이네요.

Secon-dL™    친구신청

삼실 옆자리에 이거 있어서 써보다가 저는 7100 구매했네요. 순수하게 디자인만 위주로 ㅋ 사운드 좋아요

원이    친구신청

저 지난 주에 질러서 쓰고있는데..
막귀라 잘 모르겠네요.ㅋㅋ;;;;;

일단 무선인 점이 좋구요...아쉬운점은 입력단이 한개(옵티컬)뿐이라 한개의 기기만 연결할수 있다는 거네요..(그래서 지금 옵티컬 분배기 알아보는 중입니다.)

리뷰에는 다들 추천하는데..저도 다른기기를 써본 적이 없어서 비교가 안돼서 잘은 모르겠구요..음분리는 확실합니다...

다만 이거 좀 무거워요...

소라넷회원    친구신청

저 이거 2년전쯤 사서 잘 쓰고있습니다. 일단 디자인은 굉장히 좋습니다.
일단 저도 사용목적은 게임 과 영화 감상인데. 음질은 저음이 좀 약한거 빼고는 그냥 쓸만한 수준의 음질입니다. 일단 dts 지원이 되기때문에 플삼 dts 지원되는 게임이나 블루레이 영상을 볼때는 확실히 좋더군요. dts랑 그냥 일반이랑 차이가 나긴 납니다. 그리고 7.1 채널 이건 별로 기대 안하시는게 좋구요. fps 게임할때. 옆에서 바로 소리가 난다던가 뒤에서 소리가 난다던가.. 어느 정도 구현은 해주는데. 가상이라 별로 구분이 안갑니다... 그래도 밤늦게 음악 이나 영화 게임 감상하실땐 정말 좋습니다. 그리고 단점이 광단자 연결이 1포트 박에 없어서.. 여러기기 연결하기 까다롭다는거.. 그냥 티비가 광단자 지원하면 물리면 되는데. 이러면 tv에서만 dts 가 송출 되고 다른기기 연결할시에는 dts 가 지원안되고 돌비 디지털로만 됩니다.. 그래도 뭐 꽤 좋은 기기에요 2년동안 잘쓰고 있으니까.

원이    친구신청

리뷰어들의 음질평은 6500이나 7100이나 7500이나 비슷하다고 하더라구요...다만 편의성(입출력단자)라던가 기능(헤드폰에 콘트롤러가 달려있는)의 차이가 좀 있다고 하더군요...아참 그리고 7X00시리즈가 더 고급스럽다고 하더군요.ㅋ

일단 6500이 유일한 정발 제품이고 가격도 저렴해서 전 이걸로 구입한거구요.
5.1헤드폰에선 소니가 가장좋다고들 하니 지르실만 할꺼 같네요.

Going Merry    친구신청

전 나쁘지 않았습니다.(현재 사용중입니다^^)
리얼 5.1 보다는 확실히 소리면에선 좀 부족한면이 느껴지긴 했지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당연히 유선하고 비교하면 어쩔수 없어서 ㅎㅎ) 자금 여유만 있으시다면 이것보다 위에 버전들을 추천 드리고요!
(친구가 다른버전 쓰는데 그게 더 좋았기에 ㅎㅎ)
적어도 유선보다는 편하다는 점 느끼실수 있을거고요!(당연한거겠지만 ㅎㅎ)
사용하려는 용도가 저와 매우 비슷하신데요! 전 게임과 영화용 이구요!
단 게임한다 하시니 단점이라면 헤드폰 이다 보니 헤드셋 기능이 없는게 단점이에요!
(전 처음에 샤쿤 5.1 처럼 마이크 당연히 꼽을수 있는지 알고 샀다가 낭패 봤었네요^^ ㅎㅎ) 상대방이 말하는 소리는 당연히 들리지만 사용자는 말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 원이님이 말씀하신 단자수의 부족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고요^^ ㅎㅎ
무선 헤드폰중 전 나쁘지 않다고 생각 합니다^^

tomovsky™    친구신청

음질을 따시지는 분이라면 무선은 손대지 마세요.
어떤 상황이라도 무선이 유선보다 음질이 좋은 법은 없습니다.

무명    친구신청

기능은 위에 분들이 많이 작성해주셨구 일단 가격에서 많이 유리합니다.

택~*    친구신청

음...답변 주신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일단 사용용도는 위에 있듯 오로지 PC에서 리시버로 물려서 사용중인것에 부가로 연결하는겁니다.
PC->리시버->헤드폰 이정도로요...게임은 뭐 거의 안하니 주로 영화 보는데 쓸 듯 하구요.
사용중인 리시버에 광출력단자가 있으니 거기서 헤드폰에 연결하면 되는건지? 입력단에 연결해야하나?....입력단은 다 쓰고 있는데 ;;;

소라넷회원    친구신청

음. 저같은 경우는 그냥 티비 광출력 단자에 헤드폰 거치대에 있는 광출력 단자 연결하니까 티비 pc 게임기 다 나오더라구요. 그냥 서로 광출력 단자에 연결하면될거에요

소라넷회원    친구신청

진짜 제대로 된놈 사실려면 젠하이저 rs220.. 요게있네요. 간지도 좋고.

다만 미칠듯한 가격과. 안써봐도 모르겠지만. 그만한 갑어치를 해줄지가 의문이네요.

대충살면어때    친구신청

무선 헤드셋 사는경우

무조건

2..4Ghz 제품은 피해야함

간섭때문에 뭘 하지를 못함

루리유져    친구신청

이거 요즘 싸져서 살만함 전 2년 전에 삿는데 비쌌음

레인폴드    친구신청

장시간 착용시 땀이 좀 차더군요 귀도 좀 눌려서 아프고...
뭐 헤드폰들은 거진 대부분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전 굉장히 만족해하면서 사용중이네요 게임즐길때나 영화를 볼때 몰입감이 정말 최고더라구요

㈜有我獨存™    친구신청

6500보단 7000이상이 좋습니다.
일단 입출력수가 2개씩이구요.
써보시면 아시겠지만 6500은 7000번대 마이너버전이에요
[기본] 옥션 이베이에서 구매 대행 해보신분 계신가요? (8) 2013/10/29 PM 12:55

요새 65인치 테레비가 자꾸 눈앞에 아른거려서

중소기업 55인치 제품을 PC 모니터 대용으로 쓰고 있긴 한데 ..... 인풋렉 없고 PC 가독성 등도 뛰어나서

큰 불편 없이 쓰고 있긴 합니다. 근데 크기도 크기지만 대기업 제품에 비교해 물빠진 듯한 색감과 쨍한 화면 때문에

대기업 제품에 대한 동경이 자꾸만 커집니다.


근데 아시다시피 대기업 제품은 가격이 국내에서 살 때는 넘사벽 급이라

하여 생각해본게 이베이나 아마존 등에 국내 대기업 제품이나 미국내 내수용으로 출시되는 타 브랜드의 테레비들이

가격이 국내 가격에 비해 굉장히 싼 가격에 올라오더군요.

이런 저런 관세나 배송비를 다 포함해도 국내에서 사는 가격에 절반 정도 가격밖에 안되는.....

그래서 요새 시간 날때마다 이베이를 계속 둘러보고 있습니다.


비지오 라는 브랜드도 미국내에서는 꾀 좋은 평을 듣고 있는듯 하고...

삼성 제품도 가격이 참 착하네요.


이베이에서 구매대행 해서 구입해 보신분 계신지요?

절차나 사후 A/S 등은 포기를 하고 사야하는건지?

또 국내 티비 방식과 미국 방식이 다른건지 같은건지? (어디서 줏어듣기로 뭔 방식이 서로 다르다던데...)
달라서 국내에선 테레비가 안나올 수도 있는건지?

궁금한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네요.


사진은 비지오 65인치 테레비....이베이에서 가격이 100만원 초반대 -ㅂ-;;

삼성 65인치 스마트 테레비도 새제품이 150만원대 ㄷㄷㄷ



생각같아선 72인치나 80인치로 가는것도 생각해봤는데...이건 가격이 안드로메다급......

이걸 사느니 그냥 프로젝터를 사는게 낫다라는 판단이 서더군요.

신고

 

막후로스F    친구신청

음.. 구매대행은 해봤는데 전자제품이 아니라서 뭐라 드리기 힘드네요;

삼성 스마트폰 같은 경우는 구미공장에 넣으면 AS가 된다고 하는데

한번 삼성 서비스센터에 문의해보시는게 빠를 것 같습니다.

왠만하면 회사내의 비슷한 종류의 제품은 부품을 통일시켜야 원가가 절감되니

가능할 것 같습니다.

Fluffy♥    친구신청

TV는 개인한테 구매하지 마시고 아마존이나 베스트바이같은곳에서 구매하세요.

배송은 대행업체 의뢰하시구요.

★아키하바라★    친구신청

비지오 등은 국내에서 고장나면 답 없구요.
삼성 같은 경우는 월드 워런티 제품은 as가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사용에는 지장이 없는데 무슨 락이 걸어져 있던걸로 기억하구요.
LG 같은 경우는 월드 워런티가 아니라서 유상 수리만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택~*    친구신청

햐....지금 계속 알아보고는 있는데...A/S도 그렇지만 배송중 파손에 대한 부분도 답이 없는거 같네요. ㅡ,ㅡ;;;
대형인치에서는 배송 중 문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
아직은 좀 시기 상조인가......

jbx83    친구신청

옥션이베이쇼핑을 통해 구매하시면 A/S는 불가능합니다.
사실 디지털 제품은 구매대행으로 구매하면 대부분 A/S는 어렵다고 봐야 합니다.
그래도 TV 구매하시려면 삼성제품으로 구매하세요.
삼성 TV는 월드 워렌티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A/S가 가능합니다.
정확히는 모르지만 주파수방식이 틀려 TV가 안나올수도 있을지 모르지만 요즘처럼 인터넷TV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셋탑박스를 연결하면 국내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구매하실때 무게를 정하셔야 하는데 아마 거기에 있는 무게는 실제 상품 무게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카테고리 별로 정해진 무게가 표시되는 겁니다.
그래서 상품이 창고에 도착하면 실제 무게를 측정해서 처음 결제시 냈던 무게보다 더 많이 나오면 추가배송료를 청구합니다.
65인치 TV정도면 35~40키로 사이가 측정될거 같은데 주문하실때 무게를 그정도로 하시고 결제금액을 확인하신 다음에 주문하시는게 좋을 겁니다.

택~*    친구신청

전에 프라모델을 중국 구매대행으로 구매해본 적이 있는데....
그걸랑 크게 다르지는 않나 보네요.
근데 프라랑 다르게 가격이 가격인지라 쉽사리 결정하긴 좀 겁나네요.

dream2938    친구신청

삼성 65인치가 한국에서 700하던데... 진짜 자국민은 개호갱이이군요...
토나온다 삼성...

jbx83    친구신청

배송 중 파손 문제는 주문하실때 일단 상품에 파손부분이 없는지 정확히 확인하시고 주문시 안전보험이라는 걸 드세요. 그리고 주문하신 다음에 콜센터에 전화하셔서 창고에서 패킹을 조금 더 단단히 해주는 게 있는데 그걸 요청하세요. 그리고 배송 중 파손은 결과적으로 업체의 잘못이기 때문에 업체에서 보상을 해줄겁니다.
이전 16 17 현재페이지18 19 20 다음
X